산도와 알칼리도 조지방 정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도와 알칼리도 조지방 정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 Discussion

본문내용

42.5ml의 HCl을 사용하였고, 시료의 무게는 2.1209g이었다. 따라서 위의 식에 대입하여, 360.6960의 값을 얻었다.
42.5(ml) * 0.9
* 100 * 1/5 = 360.6960
2.1209(g)
또, 불용성 무기질을 적정할 때, 5.2ml의 NaOH를 사용하여, 위의 식에 대입해 315.584의 값을 얻었다.
42.5(ml) * 0.9 - 5.2(ml) * 0.92
*100 * 1/5 = 315.5830
2.1209(g)
그리하여, 총 알칼리도는 360.6960+315.5830=676.2790으로 얻어진다. 그러나 아래의 표 2를 확인해보면, 실제 대두의 알칼리도는 10.2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거의 60여 배의 오차인데, 여기서 표시된 대두의 10.2라는 알칼리도는 HCl과 NaOH의 기준을 1N로 정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위 식에서 1/5이 아닌, 1/50을 곱한 계산 값일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약 6~7배 정도의 오차가 생긴다. 이는, 실제 실험에서는 지난 시간에 얻어진 회화된 탈지대두를 사용했으나, 이 값은 탈지 대두가 아닌 일반 대두이기 때문에 오차가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공기 중에 미량 존재하는 알칼리 생성원소 Na, K, Ca, Mg, Fe, Gu, Mn, Co, Zn 에 영향을 받아 실험값에 차이가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불용성 무기질을 역적정할 때, NaOH용액을 노란색 빛이 보일 때까지만 적정해야하는데, 너무 많은 양을 넣어서 아주 진한 노란색이 되었다. 이로 인해 NaOH 사용량에 차이가 생겨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두의 실제 알칼리도
대두(탈지)의 알칼리도 실험값
10.2
676.2790
<표2> 대두의 알칼리도 비교
참고로 이때, 불용성 무기질을 역적정 하는 이유는, 고형분의 경우 HCl과 반응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과량의 HCl을 가해 반응을 시킨 후 NaOH를 사용해 남아있는 HCl을 적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이번 실험에서 지시약으로 메틸오렌지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시약은 적정을 하면서 중화점을 알기 위해, 혹은 수소이온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지시약은 용액의 상황이 변함에 따라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는 물질로, 이러한 변화가 색깔로 나타나는 지시약도 있고, 형광이나 발광 등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다. 용액이 혼탁해지거나 침전물이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색깔의 변화가 나타나는 지시약이다. 지시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변화가 나타나는 시점이 각각 다양하므로 중화점을 예측하여 그 근처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지시약을 사용하면 실험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지시약은 산염기지시약으로, 산염기지시약은 pH에 따라 그 색깔이 달라진다. 산염기지시약은 그 자체가 약산 또는 약염기다. 만약 산성용액에 약산인 지시약을 한 두 방울 떨어뜨리면 지시약에 붙어 있는 수소는 잘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 이미 용액 속에 수소이온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용액에 염기성 물질을 조금씩 넣어주면 용액 속의 수소이온 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지시약에 붙어 있던 수소들이 해리되어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분자의 수가 많아진다. 용액의 산성도가 변함에 따라 분자구조가 바뀌는 지시약 분자가 많아지고, 분자구조가 바뀔 때 분자의 색깔도 함께 변하게 된다. 나타나는 색깔을 관찰하면 대략적인 pH를 알 수 있고, 중화점을 찾을 수도 있다. 지시약의 색깔이 점차 변하는 pH의 범위를 변색범위라 하는데, 이는 지시약마다 다르며, 대표적인 산염기지시약들의 변색범위는 아래의 표와 같다.
산성쪽 색
변색범위(pH)
염기성쪽 색
Methyl Orange
적색
3.1 ~ 4.4
황색
methyl Red
적색
4.2 ~ 6.3
황색
pHenol Red
황색
6.8 ~ 8.4
적색
BrompHenol Blue
황색
3.0 ~ 4.6
청색
pHenolpHthalein
무색
8.3 ~ 10.0
적색
Bromthymol Bule
황색
6.2 ~ 7.6
청색
리트머스 용액
적색
6.0 ~ 8.2
청색
티몰불루 용액
적색
1.2 ~ 2.8
황색
티몰프탈레인 용액
무색
9.3 ~ 10.5
청색
Methyl Yellow
적색
2.9 ~ 4.1
황색
Congo Red
청자색
3.0 ~ 5.2
적색
Bromcresol Green
황색
3.8 ~ 5.4
청색
Neutral Red
적색
6.8 ~ 8.0
황색
<표3> 산염기지시약의 변색

키워드

산도,   알칼리도,   조지방,   정량,   식품,   화학,   실험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1.06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