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활력 징후
# 체온 (B.T)
# 맥박 (PR)
# 혈압(BP)
# 호흡
# 침상 만들기
# 체위변경
# hot bag
# ice bag
* 개인위생
# 구강간호 (oral care)
# 등 마사지 (back massage)
# 모발간호 (shampoo)
# 귀 세척
# 보청기 관리
#비세척
* 식이요법과 간호
중략..
# 체온 (B.T)
# 맥박 (PR)
# 혈압(BP)
# 호흡
# 침상 만들기
# 체위변경
# hot bag
# ice bag
* 개인위생
# 구강간호 (oral care)
# 등 마사지 (back massage)
# 모발간호 (shampoo)
# 귀 세척
# 보청기 관리
#비세척
* 식이요법과 간호
중략..
본문내용
od) 그대로 수혈.
성분 수혈: 적혈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적혈구(RBCs)를, 혈소판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혈 소판 (Platelet Concentrates)을, 그리고 혈액 응고 인자가 결핍된 환자에게는 혈장 (Fresh Frozen Plasma, FFP)을 수혈
# 수혈의 부작용과 간호
@ 혈성 수혈부작용: ABO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한 경우 생길 수 있는 부작 용.
-> 예방하기 위하여 수혈할 때마다 혈액형 검사와 교차시험을 철저하 게 시행. 부작용이 의심될 때는 즉시 수혈을 중지해야한다.
@ 발열성 수혈부작용 : 수혈에 의해 오한과 발열이 나는 경우.
->대략 1-2%의 환자에서 생길 수 있는데 해열제를 쓰면 쉽게 좋아 진다.
@ 수혈 후 두드러기가 생기는 알러지성 수혈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 대부분 경미하므로 수혈을 중지할 필요까지는 없다.
@ 수혈로 인해 B형 또는 C형 간염에 감염될 수 있다.
@ 아주 드물지만 에이즈(AIDS)에 감염될 수도 있다.
# 알부민
@ 정의: 알부민은 혈장으로부터 한냉알콜분획법를 이용하여 제조한 혈장분획제제이다.
2 쓰이는 경우: 일반적으로 순환혈액량 감소와 저알부민혈증이 동시에 있는 환자에게 적응.
혈장교환술의 보충 용액으로도 사용.
@ 주의점: 20% 알부민은 혈장보다 삼투압이 4배나 높으므로 투여시 주의.
탈수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반드시 결정질 (crystalloid) 용액과 같이 투여.
혈액량 과부하가 생기기 쉬운 환자에게 사용할 때는 주의.
만성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알부민 투여로 알부민치가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장기 적인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 홍조, 두드러기, 오한, 발열 및 두통 등이 생길 수 있다.
@ 투여방법 : 알부민은 수혈세트를 통해 주입할 필요가 없다.
ABO 혈액형 항원 및 항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교차시험도 불필요.
알부민은 혈장단백 농도가 5.2 g/dL 이상 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양 만큼 투여.
* 배액간호
# PTBD
이 관을 통해 담즙을 흘러 나가게 할 수 있으므로 황달을 치료 할 수 있다.
#l-tube drainage
상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상부 위장관(십이지장 2번째 부분 상부에서 출혈된 경우를 말하며 대개 위,십이지장 궤양이나 위식도 정맥류의 출혈의 경우가 많음)의 출혈일 경우 그 출혈되는 양을 알기 위해서 또는 그 출혈되는 부위를 생리식염수 등으로 세척해서 씻어내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코를 통해서 위까지 튜브를 집어 넣은 경우 입니다..
입으로 음식이나 물 등을 섭취 할수 없는 경우->뇌졸중 같은 흔히 우리가 중풍이라고 불리는 질환이나 입에 인공호흡기와 연결된 기관지삽관등이 되어있어서 정상적인 방법(입으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할수 없는)으로 식사가 불가능 할때
일반외과 등에서 소화기관 관련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 -> 일반외과 등에서 위암이나 소화성궤양 또는 기타 위장관 관련 수술을 시행할때 감압 및 위장관 내의 분비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한 것
내과나 일반외과에서 장폐색의 경우 치료목적->대개 일반외과에서 자주 보는 경우로써 소장등의 폐색이 있는 경우 코끝으로 집어넣는 튜브 끝에 수은 등의 무거운 물질을 넣고 위와 십이지장이 만나는 유문부를 그 튜브가 통과해서 소장까지 들어가게 할 목적으로 만든 튜브
# PCD
우측 늑막강에서 배액할 목적
#ENBD(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내시경을 이용해서 담즙을 코를 통해 배출시키는 시술로 담관에 튜브를 삽관해서 식도를 통해 콧구멍으로 그 튜브를 밖으로 빼서 담즙을 배출.
이러한 시술은 대개 폐쇄성황달(담석, 담도염, 담도암. 담낭염) 등이 왔을 때 과도한 담즙 정체로 감염의 위험성을 없애기 위해 응급으로 시행하는 시술.
#j-p drain
(책을 찾아보고 인터넷도 찾아 봤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물어보고 다시 보내 겠습니다.)
# Hemovac
목적 : 수술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하기 위함이다.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함이다.
간호시 고려사항 : 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 수술환자 간호
# 피부준비
일반적으로 prepare 이라고 부르며 목적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미생물, 오물, 피부에 기름기가 없도록 하여 피부 절개시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기계적 세척.-> 목욕은 피부로부터 많은 매생물을 제거한다.
털의 제거 -> 미생물 침입과 군집화의 기회를 제공하여 감염의 잠재적 원인이 되므로
# 수술 승낙서
치료와 관련해서 치료여부를 결정할 권리.
목적 : 자가 결정의 권리를 보호.
침습적 절차나 위임이 되지 않는 수술의 요구로부터 외과의사와 병원,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다.
#NPO (금식)
마취동안에 구토와 흡인 가능성을 줄여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고 소장이나 대장 수술을 할때 분변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술 7~10시간 전, 즉 자정 이후부터는 금식 시킨다.
# 각종 검사결과 확인
-> 여러 가지 검사를 하고 다 정상 범위일 시에만 수술이 가능하다.
# 수술전 투약
의사에게 처방된 약을 확인 하고 수술실에 내려가기 전에 투여한다.
(거담제. 진경제. 진해제...)
# 수술전 환자 교육
수술의 종류와 목적 절차 및 수술 소요시간
수술승낙서의 목적과 그 방법
수술 전 청결과 삭모를 해야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투약의 약물과 그 효과
수술 후 기침, 심호흡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검사 종류, 목적과 방법
수술 전 금식을 해야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관장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 전 관장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실 환경에 대한 정보
수술 후 체위변경의 목적과 방법
#check list
간호사에 의해 환자의 신체 상태, 정서 상태, 활력징후가 기록되여야 한다.
환자는 깨끗한 가운으로 갈아 입고 침요는 교환된다.
모든 귀급속은 안전하게 보관된다.
의치는 제거해서 마취로 인한 호흡기 폐쇄를 에방한다.
보조기(콘텍즈 렌즈, 안경, 보청기)는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한다.
긴머리는 묶고 머리핀은 두피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제거된다.
미리 소변을 보게 한다.
수술 전 두
성분 수혈: 적혈구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적혈구(RBCs)를, 혈소판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혈 소판 (Platelet Concentrates)을, 그리고 혈액 응고 인자가 결핍된 환자에게는 혈장 (Fresh Frozen Plasma, FFP)을 수혈
# 수혈의 부작용과 간호
@ 혈성 수혈부작용: ABO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한 경우 생길 수 있는 부작 용.
-> 예방하기 위하여 수혈할 때마다 혈액형 검사와 교차시험을 철저하 게 시행. 부작용이 의심될 때는 즉시 수혈을 중지해야한다.
@ 발열성 수혈부작용 : 수혈에 의해 오한과 발열이 나는 경우.
->대략 1-2%의 환자에서 생길 수 있는데 해열제를 쓰면 쉽게 좋아 진다.
@ 수혈 후 두드러기가 생기는 알러지성 수혈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 대부분 경미하므로 수혈을 중지할 필요까지는 없다.
@ 수혈로 인해 B형 또는 C형 간염에 감염될 수 있다.
@ 아주 드물지만 에이즈(AIDS)에 감염될 수도 있다.
# 알부민
@ 정의: 알부민은 혈장으로부터 한냉알콜분획법를 이용하여 제조한 혈장분획제제이다.
2 쓰이는 경우: 일반적으로 순환혈액량 감소와 저알부민혈증이 동시에 있는 환자에게 적응.
혈장교환술의 보충 용액으로도 사용.
@ 주의점: 20% 알부민은 혈장보다 삼투압이 4배나 높으므로 투여시 주의.
탈수 환자에게 투여할 때는 반드시 결정질 (crystalloid) 용액과 같이 투여.
혈액량 과부하가 생기기 쉬운 환자에게 사용할 때는 주의.
만성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알부민 투여로 알부민치가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장기 적인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 홍조, 두드러기, 오한, 발열 및 두통 등이 생길 수 있다.
@ 투여방법 : 알부민은 수혈세트를 통해 주입할 필요가 없다.
ABO 혈액형 항원 및 항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교차시험도 불필요.
알부민은 혈장단백 농도가 5.2 g/dL 이상 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양 만큼 투여.
* 배액간호
# PTBD
이 관을 통해 담즙을 흘러 나가게 할 수 있으므로 황달을 치료 할 수 있다.
#l-tube drainage
상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상부 위장관(십이지장 2번째 부분 상부에서 출혈된 경우를 말하며 대개 위,십이지장 궤양이나 위식도 정맥류의 출혈의 경우가 많음)의 출혈일 경우 그 출혈되는 양을 알기 위해서 또는 그 출혈되는 부위를 생리식염수 등으로 세척해서 씻어내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코를 통해서 위까지 튜브를 집어 넣은 경우 입니다..
입으로 음식이나 물 등을 섭취 할수 없는 경우->뇌졸중 같은 흔히 우리가 중풍이라고 불리는 질환이나 입에 인공호흡기와 연결된 기관지삽관등이 되어있어서 정상적인 방법(입으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할수 없는)으로 식사가 불가능 할때
일반외과 등에서 소화기관 관련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 -> 일반외과 등에서 위암이나 소화성궤양 또는 기타 위장관 관련 수술을 시행할때 감압 및 위장관 내의 분비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한 것
내과나 일반외과에서 장폐색의 경우 치료목적->대개 일반외과에서 자주 보는 경우로써 소장등의 폐색이 있는 경우 코끝으로 집어넣는 튜브 끝에 수은 등의 무거운 물질을 넣고 위와 십이지장이 만나는 유문부를 그 튜브가 통과해서 소장까지 들어가게 할 목적으로 만든 튜브
# PCD
우측 늑막강에서 배액할 목적
#ENBD(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내시경을 이용해서 담즙을 코를 통해 배출시키는 시술로 담관에 튜브를 삽관해서 식도를 통해 콧구멍으로 그 튜브를 밖으로 빼서 담즙을 배출.
이러한 시술은 대개 폐쇄성황달(담석, 담도염, 담도암. 담낭염) 등이 왔을 때 과도한 담즙 정체로 감염의 위험성을 없애기 위해 응급으로 시행하는 시술.
#j-p drain
(책을 찾아보고 인터넷도 찾아 봤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물어보고 다시 보내 겠습니다.)
# Hemovac
목적 : 수술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하기 위함이다.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함이다.
간호시 고려사항 : 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 수술환자 간호
# 피부준비
일반적으로 prepare 이라고 부르며 목적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미생물, 오물, 피부에 기름기가 없도록 하여 피부 절개시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기계적 세척.-> 목욕은 피부로부터 많은 매생물을 제거한다.
털의 제거 -> 미생물 침입과 군집화의 기회를 제공하여 감염의 잠재적 원인이 되므로
# 수술 승낙서
치료와 관련해서 치료여부를 결정할 권리.
목적 : 자가 결정의 권리를 보호.
침습적 절차나 위임이 되지 않는 수술의 요구로부터 외과의사와 병원,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다.
#NPO (금식)
마취동안에 구토와 흡인 가능성을 줄여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고 소장이나 대장 수술을 할때 분변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술 7~10시간 전, 즉 자정 이후부터는 금식 시킨다.
# 각종 검사결과 확인
-> 여러 가지 검사를 하고 다 정상 범위일 시에만 수술이 가능하다.
# 수술전 투약
의사에게 처방된 약을 확인 하고 수술실에 내려가기 전에 투여한다.
(거담제. 진경제. 진해제...)
# 수술전 환자 교육
수술의 종류와 목적 절차 및 수술 소요시간
수술승낙서의 목적과 그 방법
수술 전 청결과 삭모를 해야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투약의 약물과 그 효과
수술 후 기침, 심호흡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검사 종류, 목적과 방법
수술 전 금식을 해야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전 관장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 전 관장을 하는 목적과 방법
수술실 환경에 대한 정보
수술 후 체위변경의 목적과 방법
#check list
간호사에 의해 환자의 신체 상태, 정서 상태, 활력징후가 기록되여야 한다.
환자는 깨끗한 가운으로 갈아 입고 침요는 교환된다.
모든 귀급속은 안전하게 보관된다.
의치는 제거해서 마취로 인한 호흡기 폐쇄를 에방한다.
보조기(콘텍즈 렌즈, 안경, 보청기)는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한다.
긴머리는 묶고 머리핀은 두피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제거된다.
미리 소변을 보게 한다.
수술 전 두
추천자료
간호실습전 필수암기용어
정신간호학실습-병동약물 및 병동요법
대장암케이스- 성인간호학실습
충수돌기염(Appendectitis)-성인간호학실습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아동간호학실습 질병조사 로타바이러스에의한 장염대해서
정신간호학 실습-정신간호 오락 요법 계획안3개+ 느낀점3개
성인간호실습정형외과레포트
성인간호학실습 소화기계
기본간호학실습문제답안
(성인간호학실습)내과 병동 주요 진단명과 시술 문헌고찰
성인간호실습) 소화기내과 CASE'
성인간호실습 컨퍼런스(케이스) 간암(Liver Cancer) 입니다
수술실실습/ 간호학과실습/ 수술실기구 소독 및 멸균/ 소독/ 멸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