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다.
④철저한 고증, 아름다운 영상, 춘향의 성격
<춘향뎐>에는 또 한국의 아름다운 사계가 정일성 촬영감독에 의해 수려하게 담겨져 있다. 가을 걷이가 한창인 들녁은 오곡이 익어가는듯한 노란색, 겨울은 인상주의풍의 터치로 회색톤이 첨가되었다. 곡선이 아름다운 처마, 원경으로 잡힌 지리산 등도 아름답다. 태흥영화사 제작진은 화면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20억원이 넘는 제작비를 들여 전북 남원시에 1천3백평 규모의 춘향마을과 옥사를 만들기도 했다.
우리 민족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뻔한 줄거리인데도 불구하고 2시간 12분의 상영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춘향뎐>의 시청각적 결합이 그만큼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사랑가>처럼 열여섯 청춘남녀가 농탕지게 어우러지는 장면에서 판소리의 구성진 리듬과 영상이 농익게 넘나든 것이나, 「이별가」 「십장가」처럼 유장한 비장미가 흘러넘치는 곳에서 관객들이 눈시울을 적실만큼 감독은 춘향에 대한 해석도 다르게 하고 있다. 춘향은 「엄청난 열녀에 교양을 갖춘」 여자가 아니라 이도령이 한양으로 떠나겠다고 하자 「치마를 찢는」 평범한 아낙네였다는 것이다. <춘향전과 춘향뎐>, 하재봉(영화평론가)
3. 고전소설 <춘향전>vs 영화 <춘향뎐> 아래 내용에서 ①은 <열녀춘향수절가>(참고자료)이며 ②는 영화 <춘향뎐>(영상자료)이다.
1) 사랑가 - 첫날밤
여기서 ①과 ②는 먼저 내용상의 차이를 보인다. ①에서는 춘향의 집을 찾은 몽룡이 서로 석경과 옥지환을 주고 받지만 ②에서는 이러한 장면 대신 춘향모 월매가 등장하며 이후에 잊지 않겠다는 불망기를 받는 장면이 있다. 또 ①에서 춘향의 방을 구경하는 몽룡의 시선을 ②에서 그대로 좇아 춘향 방의 그림을 그대로 재현하며 또 ①에서 길게 표현되는 주효상은 ②에서는 한 장면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몽룡과 춘향의 첫날밤의 모습이다. ①에서 첫날밤의 모습이 주로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이루어지는 두 남녀의 대화로 이루어져 설명되고 있는데 비해 ②는 대화를 생략하고 그 대화에서 나타나는 두 남녀의 모습 즉 행동에 초점을 두어 그들의 행동을 영상적으로 묘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①에서는 색정적 느낌이 덜하고 첫날밤인데도 불구하고 신명나는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게 된다. 그러나 ②는 대화의 모습 그대로 몽룡과 춘향이 전라의 모습으로 즐겁게 서로를 탐닉하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 곳, 저 곳 두 남녀는 서로를
④철저한 고증, 아름다운 영상, 춘향의 성격
<춘향뎐>에는 또 한국의 아름다운 사계가 정일성 촬영감독에 의해 수려하게 담겨져 있다. 가을 걷이가 한창인 들녁은 오곡이 익어가는듯한 노란색, 겨울은 인상주의풍의 터치로 회색톤이 첨가되었다. 곡선이 아름다운 처마, 원경으로 잡힌 지리산 등도 아름답다. 태흥영화사 제작진은 화면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20억원이 넘는 제작비를 들여 전북 남원시에 1천3백평 규모의 춘향마을과 옥사를 만들기도 했다.
우리 민족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뻔한 줄거리인데도 불구하고 2시간 12분의 상영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춘향뎐>의 시청각적 결합이 그만큼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사랑가>처럼 열여섯 청춘남녀가 농탕지게 어우러지는 장면에서 판소리의 구성진 리듬과 영상이 농익게 넘나든 것이나, 「이별가」 「십장가」처럼 유장한 비장미가 흘러넘치는 곳에서 관객들이 눈시울을 적실만큼 감독은 춘향에 대한 해석도 다르게 하고 있다. 춘향은 「엄청난 열녀에 교양을 갖춘」 여자가 아니라 이도령이 한양으로 떠나겠다고 하자 「치마를 찢는」 평범한 아낙네였다는 것이다. <춘향전과 춘향뎐>, 하재봉(영화평론가)
3. 고전소설 <춘향전>vs 영화 <춘향뎐> 아래 내용에서 ①은 <열녀춘향수절가>(참고자료)이며 ②는 영화 <춘향뎐>(영상자료)이다.
1) 사랑가 - 첫날밤
여기서 ①과 ②는 먼저 내용상의 차이를 보인다. ①에서는 춘향의 집을 찾은 몽룡이 서로 석경과 옥지환을 주고 받지만 ②에서는 이러한 장면 대신 춘향모 월매가 등장하며 이후에 잊지 않겠다는 불망기를 받는 장면이 있다. 또 ①에서 춘향의 방을 구경하는 몽룡의 시선을 ②에서 그대로 좇아 춘향 방의 그림을 그대로 재현하며 또 ①에서 길게 표현되는 주효상은 ②에서는 한 장면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몽룡과 춘향의 첫날밤의 모습이다. ①에서 첫날밤의 모습이 주로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이루어지는 두 남녀의 대화로 이루어져 설명되고 있는데 비해 ②는 대화를 생략하고 그 대화에서 나타나는 두 남녀의 모습 즉 행동에 초점을 두어 그들의 행동을 영상적으로 묘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①에서는 색정적 느낌이 덜하고 첫날밤인데도 불구하고 신명나는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게 된다. 그러나 ②는 대화의 모습 그대로 몽룡과 춘향이 전라의 모습으로 즐겁게 서로를 탐닉하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 곳, 저 곳 두 남녀는 서로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