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명
2. 입소일자
3. 사례연구 일자
4. 사례연구 기간
5. 진단명 및 장애등급
6. 대상 생육력
7. 대상 특이사항 및 재활원에서의 생활
8. 일과표 소개
9. 각 재활영역 진행과정
10. 담당도우미 선생님이 수립한 장․ 단기 계획
11. 서비스평가 및 향후 조정 방안
2. 입소일자
3. 사례연구 일자
4. 사례연구 기간
5. 진단명 및 장애등급
6. 대상 생육력
7. 대상 특이사항 및 재활원에서의 생활
8. 일과표 소개
9. 각 재활영역 진행과정
10. 담당도우미 선생님이 수립한 장․ 단기 계획
11. 서비스평가 및 향후 조정 방안
본문내용
.
- 11.21에는 사무실에 손님이 찾아 왔는데 연속적으로 누군가를 묻고 이유를 물으면 ‘그냥요’라고 하고는 관여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고 돌려보내도 연속적으로 물어봄.
- 2000.2 직원 연수시 체육활동을 하는데 ○○씨가 하지 못한다고 하며 화를 내며 체육활동에서 빠지라고함.
- 3월에는 옆방에서 생활하고 있는 ○○씨가 가족들을 때리고 다닌다고 하며 혼내주어야 한다고 연속적 으로 말을 하고 다님
③ 과장된 행동과 말을 한다.
- 웃을 때 상황에 맞지 않게 크게 손뼉을 치면서 웃거나 특히 남자 선생님들이 옆에 있으면 행동이 두드러진다.
- 99. 남자선생님이 있을 때 생활장애인중 자신에게 아줌마라고 했다고 하며 울면서 방으로 들어가 버리거나 2000. 손○○씨와 저녁 설거지를 같이 하다가 ○○씨가 말을 건네니까 김종률 선생님을 좋아하니까 건들지 말라고 갑자기 소리를 침.
④ 자신이 잘못을 했거나 기분이 나쁜 일이 있으면 몸이 좋지 않다고 하며 식사를 거른다.
- 자신의 생각에 잘못을 했다고 생각이 되거나 또한 선생님들에 혼이 났을 경우에는 대부분 속이 좋지 않다거나 입맛이 없다는 이유로 식사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 식사를 하도록 유도를 하면 국물만 먹겠다고 하고는 이전에 먹던 것보다 훨씬 많이 먹음.
⑤ 상스러운 말을 자주 사용한다.
- 초기보다는 상당량이 줄었지만 현재도 자신이 화가 많이 났거나 동생들을 혼낼 때는 서슴없이 욕설을 사용하며 구타를 하곤 하는데 그런 사실에 대해 물으면 정색을 하고 하지 않았다고 한다.
⑥ 반복적인 말을 많이 한다.
- 자신이 하고 싶은 말, 현장학습 등을 통해 경험했던 일, 특히 자신의 몸 상태가 좋지 않다거나, 동생에 관한 것은 한사람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선생님이나 재활원 가족들에게 이야기를 하고 다니며, 제지를 하면 ‘알았어요, 미안해요, 깜빡했어요’ 등으로 웃고 ‘안할께요’라고 하고는 뒤돌아 서서는 다시 반복 한다.
* 1차에 발견되었던 남의 물건에 손대는 경향은 올 초 ○○씨네와 생활한 이후에는 보이지 않으며, 엄마가 가지고 온 물건을 동생에게 주지 않고 자신만 가지고 가는 경향에 대해서는 2000년 추석명절을 다녀와서 속옷을 분배하는 모습, 동생에게 자신의 옷을 입히는 것을 보아서 없어졌다고 볼 수 있다.
3) 사회성
(1) 생활장애인과의 관계
- 특별히 적대시하는 장애인은 없고 99년 하반기에는 배○○씨와 가깝게 지내면서 서로간에 약속한바가 있어 다른 곳으로는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말을 한다. 한동안은 퇴소한 손○○씨와는 다툼이후로 상당기간 얼굴을 붉히며 지내기도 하였으나 5월에 새로이 입소한 이○○씨에게 도움을 주었는데 힘들어 하면서도 꿋꿋이 해냈다.
(2) 교사와의 관계
- 전체적으로 선생님들에게 평범하게 대하나 남자 선생님 99년에는 최상근선생님, 2000년 현재까지 김명석 선생님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도우미에게도 각별한 표현을 가끔한다 (예를들면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선생님, 사랑하는 선생님, 선생님한테는 나뿐이 없죠?등)
(3)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 재활원을 찾는 모든 자원봉사자에게 반갑게 인사를 하며 잘 따르는 편이며 특히, 사회봉사로 오는 학생들과는 같은 방에서 같이 자는 이유로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떠나 보낼 때는 항상 서운함에 울면서 보낸다.
4) 재활원에서의 생활
1) 일과준수
월
7
8
9
10
11
12
00.1
2
3
4
5
6
7
8
9
달성율
70%
84%
94%
91%
86%
99%
80%
100%
97%
80%
99%
94%
%
%
98%
평 가
일과상
2) 생활교육
월별
생활교육 내용
달성율
역할분담내용
달성율
비고
7
속옷갈아입기
65%
방닦기, 욕실바닥청소
65%
8
속옷갈아입기
78%
빨래챙기기, 세면대.욕조닦기, 침대시트갈기
78%
9
속옷갈아입기
61%
빨래챙기기, 세면대.욕조닦기, 침대시트갈기
61%
10
속옷갈아입기
50%
빨래챙기기, 세면대청소, 외부신발장정리
50%
11
같은말 반복하지 않기
59%
빨래챙기기, 외부신발장 정리, 욕실청소
59%
12
62%
62%
00.1
38%
빨래챙기기, 이불장정리. 소모품담당
74%
2
50%
82%
3
50%
92%
4
같은말 반복하지 않기
상스러운 말 하지 않기
50%
이불장 정리. 방 닦기
65%
5
57%
86%
6
66%
73%
7
%
%
8
50%
85%
9
상스러운 말 하지 않기
큰소리의 웃음과 행동 줄이기
54%
이불장 정리. 방 쓸기, 창틀닦기
88%
41%
8. 일과표 소개
2000. 3
- 11.21에는 사무실에 손님이 찾아 왔는데 연속적으로 누군가를 묻고 이유를 물으면 ‘그냥요’라고 하고는 관여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고 돌려보내도 연속적으로 물어봄.
- 2000.2 직원 연수시 체육활동을 하는데 ○○씨가 하지 못한다고 하며 화를 내며 체육활동에서 빠지라고함.
- 3월에는 옆방에서 생활하고 있는 ○○씨가 가족들을 때리고 다닌다고 하며 혼내주어야 한다고 연속적 으로 말을 하고 다님
③ 과장된 행동과 말을 한다.
- 웃을 때 상황에 맞지 않게 크게 손뼉을 치면서 웃거나 특히 남자 선생님들이 옆에 있으면 행동이 두드러진다.
- 99. 남자선생님이 있을 때 생활장애인중 자신에게 아줌마라고 했다고 하며 울면서 방으로 들어가 버리거나 2000. 손○○씨와 저녁 설거지를 같이 하다가 ○○씨가 말을 건네니까 김종률 선생님을 좋아하니까 건들지 말라고 갑자기 소리를 침.
④ 자신이 잘못을 했거나 기분이 나쁜 일이 있으면 몸이 좋지 않다고 하며 식사를 거른다.
- 자신의 생각에 잘못을 했다고 생각이 되거나 또한 선생님들에 혼이 났을 경우에는 대부분 속이 좋지 않다거나 입맛이 없다는 이유로 식사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 식사를 하도록 유도를 하면 국물만 먹겠다고 하고는 이전에 먹던 것보다 훨씬 많이 먹음.
⑤ 상스러운 말을 자주 사용한다.
- 초기보다는 상당량이 줄었지만 현재도 자신이 화가 많이 났거나 동생들을 혼낼 때는 서슴없이 욕설을 사용하며 구타를 하곤 하는데 그런 사실에 대해 물으면 정색을 하고 하지 않았다고 한다.
⑥ 반복적인 말을 많이 한다.
- 자신이 하고 싶은 말, 현장학습 등을 통해 경험했던 일, 특히 자신의 몸 상태가 좋지 않다거나, 동생에 관한 것은 한사람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선생님이나 재활원 가족들에게 이야기를 하고 다니며, 제지를 하면 ‘알았어요, 미안해요, 깜빡했어요’ 등으로 웃고 ‘안할께요’라고 하고는 뒤돌아 서서는 다시 반복 한다.
* 1차에 발견되었던 남의 물건에 손대는 경향은 올 초 ○○씨네와 생활한 이후에는 보이지 않으며, 엄마가 가지고 온 물건을 동생에게 주지 않고 자신만 가지고 가는 경향에 대해서는 2000년 추석명절을 다녀와서 속옷을 분배하는 모습, 동생에게 자신의 옷을 입히는 것을 보아서 없어졌다고 볼 수 있다.
3) 사회성
(1) 생활장애인과의 관계
- 특별히 적대시하는 장애인은 없고 99년 하반기에는 배○○씨와 가깝게 지내면서 서로간에 약속한바가 있어 다른 곳으로는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말을 한다. 한동안은 퇴소한 손○○씨와는 다툼이후로 상당기간 얼굴을 붉히며 지내기도 하였으나 5월에 새로이 입소한 이○○씨에게 도움을 주었는데 힘들어 하면서도 꿋꿋이 해냈다.
(2) 교사와의 관계
- 전체적으로 선생님들에게 평범하게 대하나 남자 선생님 99년에는 최상근선생님, 2000년 현재까지 김명석 선생님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도우미에게도 각별한 표현을 가끔한다 (예를들면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선생님, 사랑하는 선생님, 선생님한테는 나뿐이 없죠?등)
(3)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 재활원을 찾는 모든 자원봉사자에게 반갑게 인사를 하며 잘 따르는 편이며 특히, 사회봉사로 오는 학생들과는 같은 방에서 같이 자는 이유로 특별한 관심을 보이며 떠나 보낼 때는 항상 서운함에 울면서 보낸다.
4) 재활원에서의 생활
1) 일과준수
월
7
8
9
10
11
12
00.1
2
3
4
5
6
7
8
9
달성율
70%
84%
94%
91%
86%
99%
80%
100%
97%
80%
99%
94%
%
%
98%
평 가
일과상
2) 생활교육
월별
생활교육 내용
달성율
역할분담내용
달성율
비고
7
속옷갈아입기
65%
방닦기, 욕실바닥청소
65%
8
속옷갈아입기
78%
빨래챙기기, 세면대.욕조닦기, 침대시트갈기
78%
9
속옷갈아입기
61%
빨래챙기기, 세면대.욕조닦기, 침대시트갈기
61%
10
속옷갈아입기
50%
빨래챙기기, 세면대청소, 외부신발장정리
50%
11
같은말 반복하지 않기
59%
빨래챙기기, 외부신발장 정리, 욕실청소
59%
12
62%
62%
00.1
38%
빨래챙기기, 이불장정리. 소모품담당
74%
2
50%
82%
3
50%
92%
4
같은말 반복하지 않기
상스러운 말 하지 않기
50%
이불장 정리. 방 닦기
65%
5
57%
86%
6
66%
73%
7
%
%
8
50%
85%
9
상스러운 말 하지 않기
큰소리의 웃음과 행동 줄이기
54%
이불장 정리. 방 쓸기, 창틀닦기
88%
41%
8. 일과표 소개
2000. 3
키워드
추천자료
2007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현황과 정신보건센터 분석 사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언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정신지체][지적장애][직업교육][진로교육]정신지체아의 직업교육, ...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배경과 특성,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전제조건, 정신분석이론(...
정신지체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전제조건, 정신지체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발달과정과 의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인간성격구조와 인간...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유용성과 과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
정신지체아 놀이의 특성, 정신지체아 놀이의 중요성, 정신지체아 놀이의 사회성발달, 정신지...
[정신장애인직업재활]정신장애인직업재활의 원칙, 정신장애인직업재활의 과정, 정신장애인직...
[훈화자료사례, 진로]진로 훈화자료사례, 독서 훈화자료사례, 바른 정신 훈화자료사례, 잘못...
정신지체아동(정신지체아교육) 놀이활동 의의, 사회극놀이, 정신지체아동(정신지체아교육) 놀...
★평가우수자료★[정신분석 음악치료]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배경, 음악치료 특성, 정신분석 음...
추천레포트[만성정신질환자 치료] 만성정신병원 이해, 만성정신병원 소개, 정신질환 특징, 만...
정신장애(정신보건, 불안장애와사례, 강박장애와사례, 공황장애와사례, 공포장애와사례, 외상...
[정신건강론] 관심있는 정신 장애에 관한 원인 증상 진단적 근거, 치료방법 및 사례에 대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