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무원평정
사기와 동기부여
보수와 연금제도
인사행정의 이 내용들을 간략하게 요약정리
사기와 동기부여
보수와 연금제도
인사행정의 이 내용들을 간략하게 요약정리
본문내용
수행 동기가 유지되고 활성화되는 과정이나 배경에 그 어휘의 비중이 있는 표현.(외재적 동기 유발, 내재적 동기 유발)
3. 사기조사
0.목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좀더 진지하게 다루고, 또한 직무 만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0.정의: 조직행동에 공통 목적을 가진 개인 또는 단체의 심정이나 태도가 어떤 수준인지를 측정하는 것.
0.사기 조사의 분류
1)통계적 방법에 의한 사기조사
2)직원들의 심리적/감정적 상태를 조사하여 그들의 의견과 희망 사항을 듣고 불평불만의 모든 원인과 그 소재를 파악하는 방법.(여론자소, 의견조사)
제 2 절 동기부여이론
1. 내용이론
- 사람 마음 속의 무엇이 개인의 행동을 유지 혹은 활성화시키는가, 혹은 환경 속의 무슨 용인이 사람의 행동을 움직이게 하는 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1)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
-사람은 욕구의 존재이며, 생리적/안전의 욕구, 안전과 안정의 욕구, 애정의 욕구, 사회적/소속적 욕구, 존경의 욕구, 존경과 인정의 욕구 등 다섯가지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
2)앨더퍼의 ERG이론
-머슬로의 욕구이론을 수정하여 개인의 욕구 동기를 좀더 현실적인 시각에서 정리.
-머슬로의 다섯 단계 기본적 욕구를 존재 욕구, 관계 욕구, 성장 욕구의 세 단계로 축약.
3)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1)위생 요인(불만족 요인): 개인의 불만족을 방지 해주는효과를 가져오는 요인. 직무 환경에 관련된 요소
(2)동기 요인(만족 요인): 만족을 제고시키는 요인으로서 열심히 일하게 하고 작업 성과도 높여주는 요인으로서 성취, 인정, 직무 내용, 책임, 승진/승급, ,성장 등을 포함. 직무 내재적 성격.
4)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 이론
(1)성취욕구: 무언가를 잘하려고 하는 갈망 혹은 이전에 한 것보다도 더 능률적으로 하려는 욕구
(2)권력 욕구와 소속욕구
2. 과정이론(=인식절차이론)
-정보 처리나 인식 혹은 직무환경 요인과 상황등에 초점을 맞춤.
1)브룸의 기대이론(VIE 모형)
-행위와 보상이 어떻게 연결된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지각에 의한 동기 부여의 과정을 설명하려 하였다.
-동기부여: 사람들이 여러 자발적인 행위들 가운데서 어떤 선택 과정을 지배하는 것.
-행동 형성에서 선택행동의 중요성을 지적
-브롬의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세가지 요소: 유의성, 수단성, 기대감
(1)유의성: 개인이 특정 결과에 대하여 갖는 선호의 강도
(2)수단성: 개인이 지각하는 1차적 결과와 2차적 결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인지도
(3)기대감: 개인 행동이 자기 자신에게 가져올 결과에 대한 주관적 믿음.
2)포터와 롤러의 동기 유발 모형(EPRS 모형)
-브룸의 기대이론을 기초로 하여 추가 변수를 포함하여 조직에서의 근무에 대한 태도와 성과와의 관계를 설명
-이들의 동기유발이론의 틀: 노력, 성과, 보상, 만족
3)애덤스의 공정성 이론
-개인의 투입 대 결과 대 결과의 비율을 동일한 직무 상황 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투입 대 결과의 비율과 비교
-이론의 내용
(1)지각된 불
3. 사기조사
0.목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좀더 진지하게 다루고, 또한 직무 만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0.정의: 조직행동에 공통 목적을 가진 개인 또는 단체의 심정이나 태도가 어떤 수준인지를 측정하는 것.
0.사기 조사의 분류
1)통계적 방법에 의한 사기조사
2)직원들의 심리적/감정적 상태를 조사하여 그들의 의견과 희망 사항을 듣고 불평불만의 모든 원인과 그 소재를 파악하는 방법.(여론자소, 의견조사)
제 2 절 동기부여이론
1. 내용이론
- 사람 마음 속의 무엇이 개인의 행동을 유지 혹은 활성화시키는가, 혹은 환경 속의 무슨 용인이 사람의 행동을 움직이게 하는 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1)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
-사람은 욕구의 존재이며, 생리적/안전의 욕구, 안전과 안정의 욕구, 애정의 욕구, 사회적/소속적 욕구, 존경의 욕구, 존경과 인정의 욕구 등 다섯가지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
2)앨더퍼의 ERG이론
-머슬로의 욕구이론을 수정하여 개인의 욕구 동기를 좀더 현실적인 시각에서 정리.
-머슬로의 다섯 단계 기본적 욕구를 존재 욕구, 관계 욕구, 성장 욕구의 세 단계로 축약.
3)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1)위생 요인(불만족 요인): 개인의 불만족을 방지 해주는효과를 가져오는 요인. 직무 환경에 관련된 요소
(2)동기 요인(만족 요인): 만족을 제고시키는 요인으로서 열심히 일하게 하고 작업 성과도 높여주는 요인으로서 성취, 인정, 직무 내용, 책임, 승진/승급, ,성장 등을 포함. 직무 내재적 성격.
4)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 이론
(1)성취욕구: 무언가를 잘하려고 하는 갈망 혹은 이전에 한 것보다도 더 능률적으로 하려는 욕구
(2)권력 욕구와 소속욕구
2. 과정이론(=인식절차이론)
-정보 처리나 인식 혹은 직무환경 요인과 상황등에 초점을 맞춤.
1)브룸의 기대이론(VIE 모형)
-행위와 보상이 어떻게 연결된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지각에 의한 동기 부여의 과정을 설명하려 하였다.
-동기부여: 사람들이 여러 자발적인 행위들 가운데서 어떤 선택 과정을 지배하는 것.
-행동 형성에서 선택행동의 중요성을 지적
-브롬의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세가지 요소: 유의성, 수단성, 기대감
(1)유의성: 개인이 특정 결과에 대하여 갖는 선호의 강도
(2)수단성: 개인이 지각하는 1차적 결과와 2차적 결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인지도
(3)기대감: 개인 행동이 자기 자신에게 가져올 결과에 대한 주관적 믿음.
2)포터와 롤러의 동기 유발 모형(EPRS 모형)
-브룸의 기대이론을 기초로 하여 추가 변수를 포함하여 조직에서의 근무에 대한 태도와 성과와의 관계를 설명
-이들의 동기유발이론의 틀: 노력, 성과, 보상, 만족
3)애덤스의 공정성 이론
-개인의 투입 대 결과 대 결과의 비율을 동일한 직무 상황 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투입 대 결과의 비율과 비교
-이론의 내용
(1)지각된 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