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P,
Neutrophil,
Monocyte가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정상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절개부위가 치유될 것이다.
호흡증진간호
1.호흡수, 리듬, 깊이, 호흡노력을 모니터한다.
2.심호흡을 권장한다.
3.호흡곤란을 경감시켜주는 semi fowler's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4.호흡음을 청진하고, 흡인의 필요여부를 결정한다.
5.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하여 자주 연습하여서 폐확장운동을 한다.
-공이 잠깐 올라갔다 떨어지면 안되고 천천히 들이쉬어서 잠깐 숨을 멈춰 공이 떠있는 시간이 길어져야 함을 설명한다.
6.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감염예방 간호
1.대상자의 wound를 시진한다. 감염증상(발적, 발열, oozing)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2.카테터가 삽입된 부위 드레싱을 교환한다.
3.충분한 영양을 보충하여 회복을 돕는다.
4.환경을 깨끗이한다.
5.간호활동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6.구강간호 : 입안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한다.
7.손톱, 발톱은 너무 짧게 깎아 피부에 상처 주지 않도록 하며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양말을 신는다.
8.전염성 질환이나 최근에 예방접종한 사람은 피한다.
1.대상자의 호흡을 모니터하여 변화에 대처하도록 한다.
2.심호흡을 통해 폐의 기능을 증진시킨다.
3.semi fowler's 체위는 호흡을 쉽게 하도록 도와준다.
5..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해 폐기능을 증가시킨다.
4.6기도에 분비물이 있으면 호흡을 하기 어렵다.
2.절개부위와 카테터 삽입부위를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드레싱을 교환한다.
3.충분한 영양은 수술 회복을 도와준다.
4.더러운 환경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5.손씻기를 통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6.7외상은 감염경로에 있어서 치명적이므로 상처입지 않도록 해야한다.
2.심호흡을 한다
3.semi-fowler체위로 휴식을 취한다.
4.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하여 수시로 연습한다.
6.수분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Wound 주위에 발열이나 발적 oozing은 없었다.
대상자의 WBC, 체온은 정상범위 내에 있으나 CRP, Neutrophil
Monocyte가 상승하였다.
4. 출혈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O: -출혈 sign
RBC 3.93↓,3.16↓
Hb 12.4↓, 9.9↓
Hct 35.7↓, 28.9↓
Platelet 92↓,103↓
PT time 14.2↑
activated PTT 38,6↑
Total protein 4.3↓ 5.3↓
-수혈 10.1
RBC84Occ FFP360cc함.
-혈액량 증가 약물 주입.
Pentaspan 150ml
Voluven 100ml
출혈의 증상 및 징후(저혈량,허약,혼미,불안,차고 축축한 피부,저혈압,빈맥)가 없을 것이다.
대상자의RBC
Hb, Hct, Platelet
PT time 이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수혈이나 혈액량증가 약물을 투여받지 않을 것이다.
출혈경향이 완화될 것이다.
출혈감소간호
1.혈압과 맥박을 자주 측정하고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2.혈소판 수치를 측정한다.
3.점상출혈의 발생과 확산상태를 관찰한다.
4.환자를 조심스럽게 움직이게하고
낙상되지 않도록 side rail을 올린다
5.구강간호 후 잇몸출혈을 관찰하
고 잇몸출혈이 있으면 국소 thrombin을 바른다.
6.부드러운 칫솔, 거즈, 솜으로 매일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7.부드럽고 씹기 쉬운 음식을 제공
8.근육주사,직장체온측정을 금한다
9. 아스피린이 포함된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4.환자를 조심스럽게 움직여 부딪히거나 낙상되어 멍 드는 것을 방지한다.
8.근육주사,직장체온 측정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9. 아스피린제제는 출혈을 일으킬수 있다.
출혈경향이 완화되었고 출혈증상 나타나지 않았다.
수혈이나 혈액량증가 약물을 투여되지 않았다.
5.흉통, 위협적인 환경, 침습적인 치료 및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S: “ 큰수술하고 나니까 낳을 지 불안하네
면회시간 언제입니까?”
O: 말 하기를 꺼리고
힘이 없는 듯한 말소리
시계를 자주 본다.
대상자의 불안증상이 없을 것이다.
대상자는 불안하지 않다고 말을 할 것이다.
불안감소간호
1.물품, 잦은 사정의 필요성과 절차를 환자와 가족에게 설명한다.
방문시간과 휴식시간에 대해 토의한다.
면회 온 가족과 정서적 증진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자율신경계 증상-불안의 증상 예: 심장박동수 ,혈압과 호흡수 증가에 대해 관찰한다.
3.diazepam(valium)을 투여한다.
4.등마사지를 한다.
5.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1.위협적인 환경으로 인한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된다.
2.불안은 심장의 작업량을 증가시키는 교감신경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
3.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다.
4.접촉과 마사지는 이완을 향상시킨다.
5.신뢰감과 확신감을 증진시킨다.
1.환자와 가족은 간호계획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며 방문시간을 위한 계획도 설정되었다.
2.불안징후가 없다.
3.투약 후 불안의 경감을 표현한다.
4.마사지 후 긴장의 감소를 표현한다.
5.간호에 협조하며 직원과 대화한다.
6.질병과 치료 및 예후와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질병과정과 치료를 이해한다.
심맥관계 위험요인들을 안다.
협심통의 예방법을 이해한다.
처방된 활동수준에 대해 이해한다.
1.환자의 학습태도와 수준에 맞게 교육한다.
2.재발 위험요인을 설명한다.
3.위험인자인 당뇨병을 계속 치료받도록한다.
4.칼로리,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이 낮은 식이를 섭취하게 한다.
5.체중을 이상적인 체중으로 조절하게 한다.
6.투여하는 약물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7.담당의사 지시아래 활동을 증가하고 활동으로 인한 심장부담을 평가한다.
8.환자와 가족이 의료인에게 질문하도록 돕는다.
수술 후 성공적인 심장재활을 위해서 대상자와 보호자들은 질병과정과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가 자신의 질병과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이해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중환자 간호 (현문사)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Neutrophil,
Monocyte가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정상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절개부위가 치유될 것이다.
호흡증진간호
1.호흡수, 리듬, 깊이, 호흡노력을 모니터한다.
2.심호흡을 권장한다.
3.호흡곤란을 경감시켜주는 semi fowler's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4.호흡음을 청진하고, 흡인의 필요여부를 결정한다.
5.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하여 자주 연습하여서 폐확장운동을 한다.
-공이 잠깐 올라갔다 떨어지면 안되고 천천히 들이쉬어서 잠깐 숨을 멈춰 공이 떠있는 시간이 길어져야 함을 설명한다.
6.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감염예방 간호
1.대상자의 wound를 시진한다. 감염증상(발적, 발열, oozing)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2.카테터가 삽입된 부위 드레싱을 교환한다.
3.충분한 영양을 보충하여 회복을 돕는다.
4.환경을 깨끗이한다.
5.간호활동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6.구강간호 : 입안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질을 한다.
7.손톱, 발톱은 너무 짧게 깎아 피부에 상처 주지 않도록 하며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양말을 신는다.
8.전염성 질환이나 최근에 예방접종한 사람은 피한다.
1.대상자의 호흡을 모니터하여 변화에 대처하도록 한다.
2.심호흡을 통해 폐의 기능을 증진시킨다.
3.semi fowler's 체위는 호흡을 쉽게 하도록 도와준다.
5..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해 폐기능을 증가시킨다.
4.6기도에 분비물이 있으면 호흡을 하기 어렵다.
2.절개부위와 카테터 삽입부위를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드레싱을 교환한다.
3.충분한 영양은 수술 회복을 도와준다.
4.더러운 환경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5.손씻기를 통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6.7외상은 감염경로에 있어서 치명적이므로 상처입지 않도록 해야한다.
2.심호흡을 한다
3.semi-fowler체위로 휴식을 취한다.
4.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하여 수시로 연습한다.
6.수분섭취량이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Wound 주위에 발열이나 발적 oozing은 없었다.
대상자의 WBC, 체온은 정상범위 내에 있으나 CRP, Neutrophil
Monocyte가 상승하였다.
4. 출혈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O: -출혈 sign
RBC 3.93↓,3.16↓
Hb 12.4↓, 9.9↓
Hct 35.7↓, 28.9↓
Platelet 92↓,103↓
PT time 14.2↑
activated PTT 38,6↑
Total protein 4.3↓ 5.3↓
-수혈 10.1
RBC84Occ FFP360cc함.
-혈액량 증가 약물 주입.
Pentaspan 150ml
Voluven 100ml
출혈의 증상 및 징후(저혈량,허약,혼미,불안,차고 축축한 피부,저혈압,빈맥)가 없을 것이다.
대상자의RBC
Hb, Hct, Platelet
PT time 이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수혈이나 혈액량증가 약물을 투여받지 않을 것이다.
출혈경향이 완화될 것이다.
출혈감소간호
1.혈압과 맥박을 자주 측정하고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2.혈소판 수치를 측정한다.
3.점상출혈의 발생과 확산상태를 관찰한다.
4.환자를 조심스럽게 움직이게하고
낙상되지 않도록 side rail을 올린다
5.구강간호 후 잇몸출혈을 관찰하
고 잇몸출혈이 있으면 국소 thrombin을 바른다.
6.부드러운 칫솔, 거즈, 솜으로 매일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7.부드럽고 씹기 쉬운 음식을 제공
8.근육주사,직장체온측정을 금한다
9. 아스피린이 포함된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4.환자를 조심스럽게 움직여 부딪히거나 낙상되어 멍 드는 것을 방지한다.
8.근육주사,직장체온 측정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9. 아스피린제제는 출혈을 일으킬수 있다.
출혈경향이 완화되었고 출혈증상 나타나지 않았다.
수혈이나 혈액량증가 약물을 투여되지 않았다.
5.흉통, 위협적인 환경, 침습적인 치료 및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S: “ 큰수술하고 나니까 낳을 지 불안하네
면회시간 언제입니까?”
O: 말 하기를 꺼리고
힘이 없는 듯한 말소리
시계를 자주 본다.
대상자의 불안증상이 없을 것이다.
대상자는 불안하지 않다고 말을 할 것이다.
불안감소간호
1.물품, 잦은 사정의 필요성과 절차를 환자와 가족에게 설명한다.
방문시간과 휴식시간에 대해 토의한다.
면회 온 가족과 정서적 증진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자율신경계 증상-불안의 증상 예: 심장박동수 ,혈압과 호흡수 증가에 대해 관찰한다.
3.diazepam(valium)을 투여한다.
4.등마사지를 한다.
5.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1.위협적인 환경으로 인한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된다.
2.불안은 심장의 작업량을 증가시키는 교감신경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
3.불안을 경감시킬 수 있다.
4.접촉과 마사지는 이완을 향상시킨다.
5.신뢰감과 확신감을 증진시킨다.
1.환자와 가족은 간호계획에 대한 이해를 표현하며 방문시간을 위한 계획도 설정되었다.
2.불안징후가 없다.
3.투약 후 불안의 경감을 표현한다.
4.마사지 후 긴장의 감소를 표현한다.
5.간호에 협조하며 직원과 대화한다.
6.질병과 치료 및 예후와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질병과정과 치료를 이해한다.
심맥관계 위험요인들을 안다.
협심통의 예방법을 이해한다.
처방된 활동수준에 대해 이해한다.
1.환자의 학습태도와 수준에 맞게 교육한다.
2.재발 위험요인을 설명한다.
3.위험인자인 당뇨병을 계속 치료받도록한다.
4.칼로리,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이 낮은 식이를 섭취하게 한다.
5.체중을 이상적인 체중으로 조절하게 한다.
6.투여하는 약물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7.담당의사 지시아래 활동을 증가하고 활동으로 인한 심장부담을 평가한다.
8.환자와 가족이 의료인에게 질문하도록 돕는다.
수술 후 성공적인 심장재활을 위해서 대상자와 보호자들은 질병과정과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가 자신의 질병과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이해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중환자 간호 (현문사)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