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담고 있는 주된 가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가 담고 있는 주된 가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미적 언어의 체험 요소

나. 함축적 의미 체험 요소

다. 미적, 직관적 상상 세계의 체험 요소

라. 정서적 체험 요소

4. 시는 어떤 방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

가. 분석과 이해

나. 해석과 설명

다. 가치 평가

라. 가치 수용과 자기화

5. 시의 가치 평가는 어떤 기준 위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가. 예술적 메시지의 측면

나. 형식과 표현, 또는 문체의 측면

다. 역사적, 사회적 존재성의 측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가 담고 있는 주된 가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시의 가치 수용은 흔히 분석적이라기보다 모든 구조 요소들의 총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시의 가치 요소를 추출하여 논하는 것이 지나치게 분석적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시의 구조 요소를 분석적으로 살핌으로써 시의 종합적 수용에 도움이 될 수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시의 가치 요소에 대하여도 분석적으로 살핌으로써 그 가치 수용에 도움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시의 가치 요소는 ①미적 언어 체험 요소, ②함축적 의미 체험 요소, ③미적, 직관적 상상 세계의 체험 요소, ④정서적 체험 요소의 4가지가 있다. 이 가치 요소들은 시를 읽는 과정 속에서 개별적으로 이해되기보다 종합적으로 공감되는 것이다. 이것을 공감적 감응(sympathetic emotion)이라고 한다. 따라서 어느 한 항목에 대해 불만을 갖게 되면 시 전체의 수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런 것과 연결되어 어느 것을 편향적으로 선호하는 독자가 발생하기도 하며, 작가 또한 마찬가지이다.
가. 미적 언어의 체험 요소
음악에 있어서 가사가 없이 곡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기도 하고, 미술에 있어서 구체적 대상이 없이 색체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기도 하는 것처럼, 문학에 있어서도 극단적으로는 의미를 배제하고 언어의 감각적 요소만을 재료로 삼아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낡은 아코뎡은 대화를 관뒀습니다
- 여보세요 -
<뽄뽄 다리아>
<마주르카>
<디젤 엔진에 피는 들국화>
- 왜 그러십니까?
모래밭에서
受話器(수화기)
女人(여인)의 허벅지
낙지 까아만 그림자
비둘기와 소녀들의 <랑데부아>
그 위에
손을 흔드는 파아란 기록들
나비는 起重機(기중기)의
허리에 붙어서
푸른 바다의 층계를 헤아린다
-조향의 <바다의 층계> 전문
모든 시는 일단 재료로서의 언어를 어떻게 조직함으로써 효과적인 예술성을 창조할 것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언어 조직에 고려되는 요소로는 대체로 ①음운론적 요소, ②운율적 요소, ③수사적 표현 요소, ④심상 요소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산문과는 달리 위에서 말한 여러 요소를 중심으로 한 압축적, 비약적, 단절적 표현 등의 효과적인 조작을 통해 창조된 언어적 질감을 통해 시의 중요한 가치 요소 중의 하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질감은 개념적 이해 이전에 매우 중요한 예술적 요소의 하나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돋쳐 오르는 아침 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의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전문
나. 함축적 의미 체험 요소
언어가 지닌 의미가 전해 주는 특수성 또한 중요한 체험적 요소의 하나가 되며, 시에 있어서 이러한 의미 요소가 지배적 중심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함축적 의미 요소란 시가 개념적으로 드러내 주는 메시지(내용 또는 주제 따위)를 말하는 것을 말하는데, 때로는 거의 표면화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시에 있어서 함축적 의미 요소는 내용적 특성에 따라 여러 갈래가 있을 수 있으며, 그 갈래는 개별 작품의 수만큼 많고 다양할 수 있지만 대체적인 특성으로 추상화 시켜보면 ①객관적 대상을 바라보는 순수 미학적 감정이나 감각을 내용으로 삼은 것, ②인간이나 자연을 판단하는 주관적 감정이나 사상, 또는 인간이나 자연의보편적 문제에 대한 반응을 내용으로 삼은 것, ③당대의 현실을 비판하여 변화를 추구하는 감정이나 사상을 내용으로 삼은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객관적 대상을 바라보는 순수 미학적 감정이나 감각을 내용으로 삼은 것
해질 녘
남색 꼬두밥
잠자며 걷는 나무들
열십자 팔각형, 크림이
묻은 빵떡 같은 별들
-김영태의 <별 하나 나 하나> 전문
②인간이나 자연을 판단하는 주관적 감정이나 사상, 또는 인간이나 자연의 보편적 문제에 대한 반응을 내용으로 삼은 것
꽃잎은
쌍그런 이슬에 지고,
상수리 가지 끝엔
다금(茶金) 빛 아람.
오, 사립문 가
서성이는 「저」는 누구뇨?
……잘 자거라!
이 즈음은 멧새도 깃에 잠들 때.
-민영의 <늦가을> 전문
③당대의 현실을 비판하여 변화를 추구하는 감정이나 사상을 내용으로 삼은 것
신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가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1.1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