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19세기 판소리사
2. 변강쇠가를 통해 본, 창을 잃은 판소리
3. 맺음말.

본문내용

경우 기괴미까지)로 편향된데 비해 전승5가는 골계미 비장미의 두정서의 환기가 적절하였다는 것이다. 즉 7가의 실전은 판소리사에서 볼때 향유층의 변동이 직접적인 이유가 아니었고 또한 19세기 후반기의 시대적 상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작품의 내적구조에 일차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3. 맺음말.
어떤 분야의 연구든 시대를 구분하고 성격을 규정하는데에는 여러 가지 잣대가 필요한 듯하다. 판소리 연구에서 19세기 판소리사를 바라보는 시각과 실전판소리가 唱을 잃어버린 이유에 대한 논의는 향유층의 중심이동, 작품내적인 문제의 양방향으로 대치되어 온 듯하다. 인권환 인권환, 「판소리의 실전 원인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 7.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1995.
은 이 두 논의를 아우르면서 실전판소리에 있어서 이 향유층의 중심이동설과 작품내의 질적 저하의 문제 두 방향이 모두 창을 잃어버리는 데에 상승작용을 가져왔다고 하였다. 또한 판소리사를 밝히는데 판소리 향유층을 연행담당층, 청중층(①천민서민층②중인이서층③양반귀족층)으로 구분하고 다시 세층의 청중층을 단순청중층, 적극청중층으로 나누어 판소리를 예술의 발달사의 안에서 살펴보자는 제의는 이분화로 고정되어있던 논의들을 다시금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는 것같다.
논문들을 보면서 한가지 의문이 생겼다. 판소리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는 위의 논의들에서17세기 판소리가 연희(나례)에서 갈라져 나오는 과정은 무언가 엉성하다는 느낌이 가시지 않는다. 19세기가 판소리사의 주요한 쟁점이 되어왔지만 판소리 발생에 대해선 좀더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으로 발표문을 마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1.2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