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난소종양
난소종양이란?
난소 종양의 종류
1) 상피성 난소암
② 점액성 종양
③ 자궁내막 종양
④ 청명세포종양
⑤ 브레너 종양
⑥ 미 분화암
⑦ 중배엽 상피종
⑧ 복막암
⑨ 비분류 암(unclassified carcinoma)
․ 생식세포 종양
․ 간질성 특이성 난소 종양
난소 종양의 원인
난소 종양의 진단
난소암 가능성이 큰 경우
난소종양의 치료
자궁암
1. 자궁의 양성 종양
2. 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CIN)
3. 자궁의 악성종양
자궁암의 원인
진단
자궁암의치료
난소종양이란?
난소 종양의 종류
1) 상피성 난소암
② 점액성 종양
③ 자궁내막 종양
④ 청명세포종양
⑤ 브레너 종양
⑥ 미 분화암
⑦ 중배엽 상피종
⑧ 복막암
⑨ 비분류 암(unclassified carcinoma)
․ 생식세포 종양
․ 간질성 특이성 난소 종양
난소 종양의 원인
난소 종양의 진단
난소암 가능성이 큰 경우
난소종양의 치료
자궁암
1. 자궁의 양성 종양
2. 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CIN)
3. 자궁의 악성종양
자궁암의 원인
진단
자궁암의치료
본문내용
을 분비하는 상피세포를 가진 낭종성 종양이다.
ⅰ. 점액성 낭선종(mucinous cystadenoma)
- 인간에게 발생하는 큰 종양의 대부분을 차지함
- 크기 : 15~30cm
- 내용물은 투명하거나 끈끈한 점액으로 충만되어 있음
- 치료 : 양성 → 일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함
나이가 많고 아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 자궁절제술과 양측 부속기 절제술
ⅱ. 복막 위점액종(pseudomyxoma peritonii)
- 복강내 점액성 복수를 일으키는 질환
- 증상 : 점진적 영양실조, 악액질, 빈혈, 빈맥, 식욕부진, 복부팽만, 오심, 구토, 설사 등
말기엔 장 폐쇄증을 보일 수 있음
- 진단 : 복부촉진과 과거력 조사, 복막천자
- 치료 : 반복 수술요법 → 병의 진행을 지연시켜줌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는 효과가 없음
ⅲ. 점액성 난소암(mucinous carcinoma)
- 난소암의 5~15%를 차지함
- 30~60세의 연령군에 호발함
- 발생 : 거의 양측성
- 육안적 : 증상의 표면이 매끈하고 다낭성이며 회백색
- 암세포 : 불규칙한 군집을 이루어 기질내로 침윤되는 모양을 보임
③ 자궁내막 종양
상피세포 종양의 6~8%를 차지하며, 자궁내막증의 특징을 갖는다.
- 대부분의 경우가 악성임
- 난소암 중 두 번째로 발생 빈도가 높음 : 40~50애의 연령군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크기 : 약 15~20cm
- 예후 : 장액성 난소암보다 좋음
④ 청명세포종양
다른 유형의 세포와 공존하는 빈도가 높고 임상적으로 이 종양은 고칼슘혈증이나 이상고열증을 보인다.
- 난소 표면의 상피에서 발생하는 것
- 난소 악성 종양의 4~5%를 차지하는 희귀한 질환
- 진단 : 복강내, 골반내 종양을 촉진
확진 → 현미경 조직검사
- 증상 : 하복통, 질출혈, 복부팽만, 체중감소, 배뇨곤란
- 치료 : 수술요법이 원칙
전자궁적출술, 양측 부속기 절제술, 임파결절생검 실시
질병이 진행된 경우 → 골반내 방사선치료와 액물치료를 함께 시행함
⑤ 브레너 종양
악성 브레너 종양은 침윤성 이행성 세포 또는 다른 유형의 암과 공존한다.
- 희귀한 종양으로 대부분이 양성임
-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주로 편측성으로 발생함
- 임상증상 : 복부팽만, 월경불순, 압박증상, 폐경기 후 출혈
- 치료 : 간단한 난소 절제술로 완치될 수 있음
- 예후 : 비교적 양호함
⑥ 미 분화암
이 종양은 대세포 유형과 소세포 유형이 있으며, 상피성 난소암 중 예후가 가장 나쁘다.
⑦ 중배엽 상피종
⑧ 복막암
⑨ 비분류 암(unclassified carcinoma)
분류할 수 없는 암
(2) 상피성 난소암의 유전적 위험
상피성 난소암의 발생빈도는 약 1.4%이나 가족력이 있을 때는 위험이 높다.
(3)증상
무증상이며, 초기단계에서는 폐경 전이면 불규칙 월경이 있고, 골반종양이 방광이나 직장을 누른다면 빈뇨, 변비 또는 하복부팽만, 압박감, 성교곤란증과 같은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생식세포 종양
대부분의 생식세포종양은 미분화된 생식세포의 성선에서 자란다.
① 증상
색식세포암은 상피성 난소종양에 비해 빨리 성장하므로 아급성 골반통증, 방광이나 직장 압통을 호소할 수 있으며, 초경 여성에서는 불규칙 원경을 일으킬 수 있다.
② 유형
가. 미분화 세포종 Dysgerminoma
- 생식세포가 배아구조로 분화되지 않은 상태의 순수한 생식세포로 형성된 악성종양
- 초기증상 : 복부증대, 하복부 동물, 무월경, 월경불순
- 치료 : 임신을 원하는 경우 → 한쪽 난소와 난관 절제술을 시행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 연령 관계없이 전 자궁절제술 및 양쪽 난관 절제술을 행함
나. 미성숙 기형종 Malignant (immature) teratoma
배아에서 유도된 조직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잇는 종양이다. 다른 생식세포 종양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미성숙 기형종은 분화 정도와 미성숙 조직의 양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 증상 : 복부동통, 복부의 증대, 염전이나 파열로 인한 급성 복통 있을 수 있음
- 치료 : 주로 수술,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은 수술의 보존적 요법
다. 양성 성숙 기형종 Dermoid cyst , Benign mature teratoma
- 난소에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에서유래된 성숙된 조직을 함유하고 있는 것
- 빈도 : 모든 난소 기형종의 96%이상 차지, 난소종양의 약 10~15%를 차지
- 호발연령 : 젊은 연령
- 다낭성이며 미끈한 피지물질과 머리카락으로 가득 차 있고 때로 치아, 연골, 뼈 등이나 위장관계, 호흡기계 및 신경조직들이 발견
- 인상적 특징 : 어느 나이에서나 발생하나 특히 20세 이하에 많음
무증상이나 복통,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이 있을 수 있음
태아의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을 다 가지고 있음
- 치료 : 유피낭종제거술, 난소보존술, 난소절제술
- 합병증 : Suppuration Rupture ect
라. 내배엽동 종양 Endodermal sinus tumor
난황낭암으로도 불리우는데, 이유는 원시 난황낭에서 유도되기 때무이며, 난소의 생식세포암 중 3번째를 차지한다.
- 증상 : 복부동통이 발생함, 괴사된 이후에는 미열이 있을 수 있음
- 치료 : 한쪽의 난소와 난관을 절제한 후 약물치료
마. 태생암
이 종양은 합포체층과 세포체층이 없어서 난소의 융모암과는 구별되는 희귀암 이다.
- 가장 미분화된 다야한 배자와 세포로 구성된 기형종
- 증상 : 복부의 동통, 복부나 골만의 이물촉진, 사춘기 조발증, 무월경, 불임, 전신소양, 요통, 흉통 등 호르몬 이상증세
바. 난소 융모상피암 Choriocarcinoma
난소에 전이된 임신성 융모암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사. 다배아종 Polyembryoma
초기 배아분화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초경 전 소녀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거짓사춘기 증상을 보인다.
사. 혼합생식세포 종양 Mixed germ cell tumor
이상의 종양이 2개 이상 혼합된 종양이다.
아. 유피낭종 dermoid cyst
- 배세포 종양 중 가장 많음
- 주로
ⅰ. 점액성 낭선종(mucinous cystadenoma)
- 인간에게 발생하는 큰 종양의 대부분을 차지함
- 크기 : 15~30cm
- 내용물은 투명하거나 끈끈한 점액으로 충만되어 있음
- 치료 : 양성 → 일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함
나이가 많고 아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 자궁절제술과 양측 부속기 절제술
ⅱ. 복막 위점액종(pseudomyxoma peritonii)
- 복강내 점액성 복수를 일으키는 질환
- 증상 : 점진적 영양실조, 악액질, 빈혈, 빈맥, 식욕부진, 복부팽만, 오심, 구토, 설사 등
말기엔 장 폐쇄증을 보일 수 있음
- 진단 : 복부촉진과 과거력 조사, 복막천자
- 치료 : 반복 수술요법 → 병의 진행을 지연시켜줌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는 효과가 없음
ⅲ. 점액성 난소암(mucinous carcinoma)
- 난소암의 5~15%를 차지함
- 30~60세의 연령군에 호발함
- 발생 : 거의 양측성
- 육안적 : 증상의 표면이 매끈하고 다낭성이며 회백색
- 암세포 : 불규칙한 군집을 이루어 기질내로 침윤되는 모양을 보임
③ 자궁내막 종양
상피세포 종양의 6~8%를 차지하며, 자궁내막증의 특징을 갖는다.
- 대부분의 경우가 악성임
- 난소암 중 두 번째로 발생 빈도가 높음 : 40~50애의 연령군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크기 : 약 15~20cm
- 예후 : 장액성 난소암보다 좋음
④ 청명세포종양
다른 유형의 세포와 공존하는 빈도가 높고 임상적으로 이 종양은 고칼슘혈증이나 이상고열증을 보인다.
- 난소 표면의 상피에서 발생하는 것
- 난소 악성 종양의 4~5%를 차지하는 희귀한 질환
- 진단 : 복강내, 골반내 종양을 촉진
확진 → 현미경 조직검사
- 증상 : 하복통, 질출혈, 복부팽만, 체중감소, 배뇨곤란
- 치료 : 수술요법이 원칙
전자궁적출술, 양측 부속기 절제술, 임파결절생검 실시
질병이 진행된 경우 → 골반내 방사선치료와 액물치료를 함께 시행함
⑤ 브레너 종양
악성 브레너 종양은 침윤성 이행성 세포 또는 다른 유형의 암과 공존한다.
- 희귀한 종양으로 대부분이 양성임
-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주로 편측성으로 발생함
- 임상증상 : 복부팽만, 월경불순, 압박증상, 폐경기 후 출혈
- 치료 : 간단한 난소 절제술로 완치될 수 있음
- 예후 : 비교적 양호함
⑥ 미 분화암
이 종양은 대세포 유형과 소세포 유형이 있으며, 상피성 난소암 중 예후가 가장 나쁘다.
⑦ 중배엽 상피종
⑧ 복막암
⑨ 비분류 암(unclassified carcinoma)
분류할 수 없는 암
(2) 상피성 난소암의 유전적 위험
상피성 난소암의 발생빈도는 약 1.4%이나 가족력이 있을 때는 위험이 높다.
(3)증상
무증상이며, 초기단계에서는 폐경 전이면 불규칙 월경이 있고, 골반종양이 방광이나 직장을 누른다면 빈뇨, 변비 또는 하복부팽만, 압박감, 성교곤란증과 같은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생식세포 종양
대부분의 생식세포종양은 미분화된 생식세포의 성선에서 자란다.
① 증상
색식세포암은 상피성 난소종양에 비해 빨리 성장하므로 아급성 골반통증, 방광이나 직장 압통을 호소할 수 있으며, 초경 여성에서는 불규칙 원경을 일으킬 수 있다.
② 유형
가. 미분화 세포종 Dysgerminoma
- 생식세포가 배아구조로 분화되지 않은 상태의 순수한 생식세포로 형성된 악성종양
- 초기증상 : 복부증대, 하복부 동물, 무월경, 월경불순
- 치료 : 임신을 원하는 경우 → 한쪽 난소와 난관 절제술을 시행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 연령 관계없이 전 자궁절제술 및 양쪽 난관 절제술을 행함
나. 미성숙 기형종 Malignant (immature) teratoma
배아에서 유도된 조직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잇는 종양이다. 다른 생식세포 종양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미성숙 기형종은 분화 정도와 미성숙 조직의 양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 증상 : 복부동통, 복부의 증대, 염전이나 파열로 인한 급성 복통 있을 수 있음
- 치료 : 주로 수술,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은 수술의 보존적 요법
다. 양성 성숙 기형종 Dermoid cyst , Benign mature teratoma
- 난소에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에서유래된 성숙된 조직을 함유하고 있는 것
- 빈도 : 모든 난소 기형종의 96%이상 차지, 난소종양의 약 10~15%를 차지
- 호발연령 : 젊은 연령
- 다낭성이며 미끈한 피지물질과 머리카락으로 가득 차 있고 때로 치아, 연골, 뼈 등이나 위장관계, 호흡기계 및 신경조직들이 발견
- 인상적 특징 : 어느 나이에서나 발생하나 특히 20세 이하에 많음
무증상이나 복통,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이 있을 수 있음
태아의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을 다 가지고 있음
- 치료 : 유피낭종제거술, 난소보존술, 난소절제술
- 합병증 : Suppuration Rupture ect
라. 내배엽동 종양 Endodermal sinus tumor
난황낭암으로도 불리우는데, 이유는 원시 난황낭에서 유도되기 때무이며, 난소의 생식세포암 중 3번째를 차지한다.
- 증상 : 복부동통이 발생함, 괴사된 이후에는 미열이 있을 수 있음
- 치료 : 한쪽의 난소와 난관을 절제한 후 약물치료
마. 태생암
이 종양은 합포체층과 세포체층이 없어서 난소의 융모암과는 구별되는 희귀암 이다.
- 가장 미분화된 다야한 배자와 세포로 구성된 기형종
- 증상 : 복부의 동통, 복부나 골만의 이물촉진, 사춘기 조발증, 무월경, 불임, 전신소양, 요통, 흉통 등 호르몬 이상증세
바. 난소 융모상피암 Choriocarcinoma
난소에 전이된 임신성 융모암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사. 다배아종 Polyembryoma
초기 배아분화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초경 전 소녀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거짓사춘기 증상을 보인다.
사. 혼합생식세포 종양 Mixed germ cell tumor
이상의 종양이 2개 이상 혼합된 종양이다.
아. 유피낭종 dermoid cyst
- 배세포 종양 중 가장 많음
- 주로
추천자료
Comprehension Test -(3) 종양
자궁적출수술 환자 케이스사례 보고
자궁근종 양성종양 임신 성생활
자궁근종케이스
[간호학 case study]부인과OBGY 난소의 양성종양(난소절제술)
복식전자궁적출술(TAH)과 간호
[기초간호과학]우리 몸에 있는 감염원의 경로와 방어기전, 부위별 병원감염 정의와 진단기준,...
[케이스스터디][제왕절개]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스터디(C...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기초간호과학+1.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설명하고,기초간호과학,4가지 과민반...
[기초간화과학]1. 면역에서 과민반응, 과민반응 발생기전과 사례 2. 종양의 발생단계, 원인과...
강력추천 A+ ) Ovarian tumor 난소종양 case study
자궁선근종 간호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