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중국 민족 현대 중국 소수 민족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중화민족 조선족 중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소수민족 중국 민족 현대 중국 소수 민족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중화민족 조선족 중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중국의 소수민족

3. 인구분포의 특징

4. 소수민족의 문제와 대안

5. 소수민족정책과 그 문제점

7. 중국역사에 있어서 소수민족의 역할

8. 결론

본문내용

있는 동시에 통용 문자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족, 나시족, 먀오족, 징퍼족, 리수족, 라후족, 와족 등 7개 민족은 비록 자신들의 문자를 가지고 있지만 별로 사용하지 않고, 그 나머지 34개 민족은 자신들의 문자가 없습니다.
중국 각 민족의 언어는 각각 서로 다른 어계에 속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한장어계 : 중국어, 좡어(壯語), 부이어(布衣語), 다이어(語), 둥어(語), 수이어(水語),
무라오어(語), 마오난어(毛南語), 리어(黎語), 먀오어(苗語), 야오어(瑤語), 티벳어(藏語),
바이어(白語), 징어(京語), 리수어(語), 나시어(納西語), 라구어(拉祜語), 하니어(哈尼語),
징퍼어(景頗語) 투쟈어(土家語) 등 20개 어종.
알타이어계 : 위구르어(維吾爾語), 카자흐어(哈薩克語), 우즈벡어(烏孜別克語), 다다르어(塔塔爾語),
조선어(朝鮮語), 키르기스어(柯爾克孜語), 사라어(撒拉語), 위구어(裕固語), 몽고어(蒙古語),
다우르어(達斡爾語), 둥샹어(東鄕語), 바오안어(保安語), 에벵크어(鄂溫克語), 오르죤어 (鄂倫春語),
만주어(滿語), 시버어(錫伯語), 허저어(赫哲語) 등 17개 어종.
남아시아어계 : 와어(語), 부랑어(布朗語), 더앙어(德昻語).
인도유럽어계 : 다지크어(塔吉克語), 러시아어(俄語).
남도(南島)어계 : 대만의 가오산어(高山語).
이처럼 소수민족들은 자신들만의 언어를 갖으면서 그 민족의 존재의미를 부여해나가고 있습니다.
소수민족의 특성 그 두 번째로는 종교와 풍습을 들 수 있겠습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일반적으로 모두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3대 종교인 이슬람교, 불교, 기독교는 중국소수민족들에게 매우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슬람교 : 후이족, 위구르족, 카자흐족, 키리키스족, 다다르족, 우즈벡종 등 10개 민족.
라마교 또는 불교 : 티벳족, 몽고족 ,투족, 위구족, 다이족, 부랑족, 더앙족 등.
기 독 교 : 일부의 먀족과 이족 등.
이외에도 어떤 소수민족은 조상숭배, 토템숭배, 무교(巫敎), 샤머니즘(薩滿敎), 등을 포함한원시 자연숭배의 여러 가지 신앙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두룽족, 누족, 와족, 징퍼족, 가오산족, 오르죤족 등이 있다.
소수민족간의 풍속 습관도 매우 다르다. 옷차림 음식 거주 관혼상제 명절 오락 금기 등 각 방면에서 모두 자신들의 전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슬람교를 믿는 10개의 소수민족은 돼지고기 먹는 것을 금기시 하고 있습니다. 각 민족은 모두 자신들의 전통적인 특징을 가기고 있는데요. 예를 들면 다이족의 발수절, 이족의 화파절, 티벳족의 장력절, 몽고족의 나담페어대회 등이 있습니다.
발수절은 다이족의 신년으로 다이력 6월(양력 4월 중순)에 3~4일간 계속됩니다. 이날에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두 목욕을 하고 옷을 깨끗이 갈아입은 다음 절에 가서 예불을 드리는데, 이때에 불상에 물을 뿌려서 먼지를 씻기 때문에 ‘욕불절’ 이라고도 합니다.
화파절은 중국 서남지역의 이족, 바이족, 나시족, 리수족, 라후족 , 푸미족 등의 전통적인 민속 명절입니다. 구체적인 날짜는 민족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다수는 음력 6월23일,24일, 25일 전후입니다. 화파절은 원시시대의 불에 대한 숭배에 그 기원들 두고 있습니다. 원시인들은 불은 태양의 숭배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장력절은 티벳족의 전통적인 신년으로 한족의 춘절보다 며칠 늦습니다. 주로 티벳, 청해, 감숙 등 티벳족 거주지역에서 유행합니다.
나담페어는 몽고어로 \'오락\' 또는 \'즐거운 모임\'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몽고족의 전통적인 대중 오락활동인데, 일반적으로 초원에 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소와 양이 살찌는 7~8월에 \'오포(敖包: 돌이나 익, 풀 등을쌓아 올려 길이나 경계를 표시한것)에서 제사를 지낼 때 거행하는 행사이다. 이처럼 각 소수민족은 자신들만의 신념들을 확고히 다지면서 그들의 관습이나 관례들을 인정받길 원하며 중국정보에서도 대부분의 관습들은 허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럼 이제 소수민족들의 개개인적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漢族(한족)
비록 한족은 소수민족은 아니지만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1990년 인구조사때 1,039,187명으로 전국인구 비중의 91.99%였다.한족인구의 총적인 추세는 성장하나 전국인구 비율은 감소 추세이다. 인구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한족은 황하유역으로부터 발원하였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전국각지로 분포 되었다.주요 거주 지역은 황하주강 장강의 3대 유역 및 송요평원이다.장기적인 역사 발전 중 다른 소수민족들과 광범위한 정치, 경제, 문화교류를 진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면에서 소수민족보다 발전하였으며 중국에서 주도적 역할을한다. 중국의 5천년 역사를 보면 원조, 청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족이 집권하였다. 한족은 농후한 도덕관념이 있다. 서로 돕고 단결하여 이웃끼리 화목하게지내는 것을 중시한다. 한족의 거주방식은 보통 3대가 한집 에서 사는데 선대는 후대를 사랑하고 후대는 선대를 존경한다. 한족의 집은 주로 기와집이며 도시에서는 보편적으로 철근 콘크리터로 되었으며 대다수는 고층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분포된 식당을 보면 한족은 풍부한 음식문화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한족의 음식은 신선하고 맛있으며 지역에 따라 맛이 틀린다. 전?! 뮌岵막? 유명한 요리로는 사천, 광동, 산동요리 등이 있다. 한족의 혼인제도는 일부일처제이다. 한족의 결혼은 자유연애로 이전과 같이 부모가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한족 가정은 남자는 밭갈이를 하고 여자는 천을 짜는 소농경제에서 소위 말하는“남자주외, 여자주내”에서 남존여비사상이 존재하였다. 현재는 부녀의 사회 직위가 높아가고 경제적으로 독립함에 따라 부부는 가정에서의 지위가 평등한 추세로 발전하였다.
2. 壯族(장족)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으로 15.555.820명이다. 그래서 그 사는 지역에 따라 20여종의 명칭으로 불리우던 것이 중국정부 수립 후 \"똥족(潼族)\"으로 통일되었다. 그후 1965년 주은래(周恩來) 총리의 제창과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장족(壯族)\"으로 개칭되었다. 광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8.01.24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