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티프(motif)와 화소(話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티프(motif)와 화소(話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모티프(motif)와 화소(話素)

<목 차>
서론

본론
1. 화소
1)화소의 정의
2)화소의 종류
2. 모티프
1)모티프의 정의
2)모티프의 종류
3. 모티프와 화소의 관계
4. 모티프와 화소를 알아야 하는 이유

결론

Bonus!

본문내용

을 미치지 않는 부분, 즉 자유 모티프가 없이는 소설다운 형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자유모티프의 사용은 사건의 진행 속도를 느리게 하고 이야기 내용 파악을 오히려 어렵게 하지만, 반면에 그것은 낯설게 하기의 효과를 십분 살려 작품의 예술성을 높이게 한다.
사실 작가의 역량은 소설을 예술적으로 만드는 자유 모티프의 적절한 사용에서 나타난다고 형식주의자들은 주장하였다.
2). 동적모티프(dynamic motif)와 정적모티프(static motif)
① 동적모티프: 한 작품에서 상황의 변화를 드러내는 모티프.
② 정적모티프: 상황의 변화와 관련이 없는 모티프.
주요 등장인물의 행동이나 돌발사는 동적모티프이고, 자연과 장소, 환경, 인물의 성격 등에 관한 묘사는 정적모티프라 볼 수 있다. 작가는 이처럼 이야기를 앞으로 밀고 나가는 동적모티프의 구상도 중요하지만 수많은 정적모티프를 적절히 삽입시키는 일을 해야 한다.
자유모티프는 정적모티프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모든 정적모티프가 자유모티프인 것은 아니다. 이야기 줄거리를 끌고 나가는 것은 동적 모티프이지만, 일단 플롯이 이루어지면 정적 모티프가 더 우세할 수 도 있다.
예) 한창 대낮의 그 불볕 더위도 산그늘이 마을을 서슴서슴 먹어들면서부터 서서히 열기를 죽이다가 어둠이 깔리는 저녁이면 제법 썰렁한 느낌까지 돌아왔다. 시골의 여름은 이처 럼 낮과 밤의 온도가 완연하게 달랐다.
박종대 경사는 지서 건물과 울타리 하나를 사이에 둔 사택에서 저녁을 끝내자 곧장 사 무실로 나왔다. 그의 아내가 이웃에서 보내 온 것이라며 찐 옥수수를 상 위에 올려놓았 지만 손도 대지 않은 채 일어섰던 것이다. 위장에 이렇다 할 이상이 없는 것 같은데도 항상 배가 그득 하고 거북스러워 먹는다는 일에 대해 시덥잖은 느낌이 들게 마련이었 다.
- 전상국의 <외등>에서
작품의 서두에 해당하는 이 대목에서 최소 의미 단위를 찾는다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시골의 여름은 낮과 밤의 온도가 크게 다르다. (기온)
㉯ 박종대 경사는 저녁을 마치자마자 파출소로 나갔다. (나감)
㉰ 그는 요즘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소화)
이 세 가지 중에서 ‘나감’에 대한 진술은 한정 또는 동적모티프에 해당하고, ‘기온’과 ‘소화’에 대한 진술은 자유 또는 정적모티프라고 볼 수 있다.
‘소화’에 대한 진술은 이 소설에서 여러 차례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주인공이 지금 심한 외적 갈등을 겪고 있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이를 자유모티프가 아니라 한정모티프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갈등의 구성과 간접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유모티프로 보는 것이 옳다. 이 모티프가 아니고서도 박경사가 갈등을 겪는 사건이 직접 나온다는 점을 염두 해 둔다면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3. 모티프와 화소의 관계
모티프와 화소의 관계는 작품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여 실제 작품분석을 통하여 그 관계를 알아보자.
1)장자못 작품분석
※줄거리
옛날 전북 옥구군 미면(米面) 지금의 미제제(米提池)에 큰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그는 욕심이 많고, 포악한 사람이었다. 하루는 중이 와서 시주를 권하자 그는 심술궂게 시주 대신 소의 똥을 잔뜩 자루에 담아주었다. 때마침 그 광경을 보던 며느리가 몰래 중을 불러 쌀을 주면서 시아버지의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빌었다. 중은 그 며느리에게 부처님의 심부름으로 시아버지를 벌주기 위해서 왔다 하고 내일 아침 그 집을 피해 뒷산으로 달아나되 무슨 소리가 나도 뒤돌아 보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이튿날 며느리는 어린아이를 업고 뒷산으로 올라가던 중, 천지가 진동하는 소리가 나므로 금기(禁忌)를 어기고 뒤를 돌아보았더니 조금 전까지 있던 집은 간 곳이 없고 그곳에 물이 괴어 있었다. 여인은 놀란 나머지 소리를 지르려는 순간 어린아이와 함께 돌로 화하고 말았다 한다. 이후로부터 큰 부잣집은 큰 연못이 되어버렸다.
※작품분석
① 학승(虐僧) 모티프 : 장자가 중에게 쇠똥을 주었다.
장자가
학승 모티프 중에게
쇠똥을 주었다.
예 <옹고집전>
옹고집은 불도를 능멸하여 중들을 자주 골리자, 월출봉 취암사의 도사가 학대사를 시켜 옹고집을 찾게 한다. 천 냥 시주를 부탁하니, 중은 부모를 배신하고 부처의 제자 행세로 거짓 공부나 하고 어른 보면 동냥을 구하고 아이 보면 가자고 해, 불효하고 불충하다며 꾸짖는다. 오래 살지 못 한다고 관상을 봐 주자, 옹 고집은 학대사를 곤장치고 내

키워드

모티브,   화소,   motif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