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난청의 원인 소음
1) 소음의 개념
2) 소음의 정도
3) 소음에 의한 영향
2. 소음성 난청
3. 소음성 난청의 예방 및 관리
1) 직업병 발생 과정과 예방대책의 모형도
2) 작업장 소음 측정
3) 청력 검사
4) 청력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5) 대치
6) 격리
7. 보호구의 지급
1) 방음 보호구의 재료 조건
2) 귀마개(Ear plug)
3) 귀덮개(Ear muff)
❖ 결론
❖ 본론
1. 난청의 원인 소음
1) 소음의 개념
2) 소음의 정도
3) 소음에 의한 영향
2. 소음성 난청
3. 소음성 난청의 예방 및 관리
1) 직업병 발생 과정과 예방대책의 모형도
2) 작업장 소음 측정
3) 청력 검사
4) 청력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5) 대치
6) 격리
7. 보호구의 지급
1) 방음 보호구의 재료 조건
2) 귀마개(Ear plug)
3) 귀덮개(Ear muff)
❖ 결론
본문내용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데시벨(dB)을 이용해 음의 강약을 나타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2) 소음의 정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
소음 수준(dB)
음원
140
제트기
손상가능성이 매우 큼
130
리벳 해머
고통을 느끼기 시작함
120
110
프로펠러 비행기, 착암기, 체인, 톱
손상가능성이 큼
100
금속판 가공공장
8시간 노동시 허용 한계
90
교통량이 많은 도로
80
중형 트럭
대화 방해
70
세 단
안달감을 줌
60
일상 대화
50
저음의 대화
40
조용한 라디오 음악
30
속삭임
20
조용한 도시 아파트
10
부석거리는 낙엽 소리
청취 단계
0
3) 소음에 의한 영향
(1) 생리적 영향
혈압상승, 근육의 긴장, 혈액성분이나 오줌의 변화, 타액과 위액분비 억제, 위장관 운동으 억제, 부신호르몬의 이상 분비
(2) 심리적 영향
불쾌감,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사고나 집중력 방해, 두뇌작업이나 노동의 악영향, 대화나 텔레비전 청취 방해 등 일상생활을 방해, 초조
(3) 청력에 대한 영향
일상생활의 소음으로는 청력에 이상이 나타나는 일은 극히 드물다.
2. 소음성 난청
1) 종류
(1) 일시적 난청(temporary hearing impairment)
청신경 세포의 피로현상으로 전형적인 공장 소음의 경우 4,000 ~ 6,000Hz에서 일시적 난청이 일어난다. 강력한 소음에 몇 분간만 폭로되어도 발생하나 대부분 폭로 후 2시간 내에 일어나며 폭로 중지 후 1~2시간내에 회복되나 때로는 여러 달이 걸리기도 한다. 일시적 청력손실이 반복되고 완전 회복이 안된 상태가 지속되면 축적 효과로 영구적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2) 영구적 난청(permanent hearing impairment)
보통 소음성 난청은 영구적 난청을 말하며 장기간의 소음 폭로로 인해 내이의 corti 기관의 신경말단에 손상이 와서 영구적 청력 손실이 생기는 것이다. 난청 여부는 audiogram으로 표시하여 평가한다.
2) 소음성 난청의 특징
청력손실이 고주파음(3,000~6,000Hz)에서 시작되어 계속진행되면 그 주변의 주파영역이 파극ㅂ되며 특히 4,000Hz의 소리에 청력손실이 가장 심하다. 항상 좌우 한쪽으로 심히 치우친 소음에 노출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청력손실은 양쪽 귀에 대칭으로 오며, 일단 발생한 난청은 회복되지 않으나 소음에 폭로되는 것을 중지하면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3) 소음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직업의 종류
조선, 중기계 작업, 철강산업(판금,주물,리베팅,제관), 섬유방적사업의 일부, 탄광의 굴진 착암작업, 분쇄기, 송풍기, 내연기관의 작업 등
3. 소음성 난청의 예방 및 관리
1) 직업병 발생 과정과 예방대책의 모형도
소음성 난청은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관리적인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소음에 대한 예방대책을 세우려면 먼저 소음을 분석하고 또 폭로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치로부터 어떠한 방법을 세울 것인지 검토한다. 이 때 소음 수준의 감소, 폭로시간의 단축, 소움으로부터 작업자를 격리 또는 차단, 소리가 적은 기기나 공정으로대치, 차음 보호구의 지급 등 중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대책을 선택하여 단독으로 혹은 2가지 이상을 혼용한다. 아래 모형도에서 제시한 발생과정에 따른 대치, 격리 및 환기, 감독, 청결과 정돈, 보건 교육의 순으로 보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나 우선 작업장 소음측정 및 청력검사가 가장 우선 요구된다.
발생 과정
예방 대책
방법
환경
근로자
생산과정
유해작업 조건
유해물질의 발생
유해작업환경
유해작업조건의 정돈
유해물질의 양과 질
작업방법(강도, 시간, 자세 등)
생체 반응
침입경로
장애되는 장기, 기관
배설 경로
감수성
직업병
조기 발견
작업 전환
치료
1. 대치(substitution)
생산물(설비,원료 등) 자체의 무해화
작업 방법의 개선 및 변경
채용시 신체 검사
적성 배채
2. 격리 및 환기
(isolation & ventilation)
작업 환경의 개선(희석, 배기, 환기, 밀폐, 격리 등)
위생보호구의 착용
3. 감독(inspection)
환경 측정
작업장의 점검 및 보존
정기 신체검사 및 특수건강진단
건강 장애자의 조기 발견
4. 청결과 정돈
(cleanliness)
작업장의 청소와 정리 정돈
신체 청결
개인 위생의 철저
5. 보건교육
(education)
기업주 및 근로자에게 직업병 예방 및 사후대책에 관한 지도계몽
2) 작업장 소음 측정
작업장내의 소음을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비전문인이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비교적 값이 싸고 많이 쓰이는 ‘거시 소음계’와 ‘폭로량 측정계’의 소음측정기를 이용한다. ‘거시 소음계’는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소음의 정도를 측정하는 기구이고 ‘소음 폭로량 측정계’는 개인이 작업도중 휴대하면서 어느 정도의 소음속에서 일하느냐 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런 측정기구를 사용하여 작업장 전체를 자세히 점검하고 80dB이 넘는 모든 장소에 대한 일종의 작업장 지도를 만들어 둘 수 있다. 일단 지도가 만들어지면 80dB이 넘는 곳은 위험한 곳이므로 계속 정기적으로 소음을 측정해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소음 허용기준은 현재 8시간 작업기준으로 90dB을 넘지 않도록 소음 허용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작업장 소음측정의 주 대상업종
- 충격식 착암기나 채탄기 등 기계를 사용하여 초석 또는 광물을 굴착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온전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불밀이나 로드밀 등의 매대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상호 밀접한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중형 공기해머 또는 증기해머를 사용하여 단조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그라인더나 끌을 사용하여 금속 부분을 깎아내는 장소에서의 작업
- 금속을 타격하여 성형 가공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내연기관의 제조공장 또는 수리공장에서 내연기관을 시운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3) 청력 검사
소음측정과 함께 반드시 되어야 할 일이 근로자의 청력검사이다. 입사하면서 반드시 청력검사를 해서 기록을 남겨 두어야 하고 매년 건강진단 시 청력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소견시 적절한 조치를 받
2) 소음의 정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
소음 수준(dB)
음원
140
제트기
손상가능성이 매우 큼
130
리벳 해머
고통을 느끼기 시작함
120
110
프로펠러 비행기, 착암기, 체인, 톱
손상가능성이 큼
100
금속판 가공공장
8시간 노동시 허용 한계
90
교통량이 많은 도로
80
중형 트럭
대화 방해
70
세 단
안달감을 줌
60
일상 대화
50
저음의 대화
40
조용한 라디오 음악
30
속삭임
20
조용한 도시 아파트
10
부석거리는 낙엽 소리
청취 단계
0
3) 소음에 의한 영향
(1) 생리적 영향
혈압상승, 근육의 긴장, 혈액성분이나 오줌의 변화, 타액과 위액분비 억제, 위장관 운동으 억제, 부신호르몬의 이상 분비
(2) 심리적 영향
불쾌감,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사고나 집중력 방해, 두뇌작업이나 노동의 악영향, 대화나 텔레비전 청취 방해 등 일상생활을 방해, 초조
(3) 청력에 대한 영향
일상생활의 소음으로는 청력에 이상이 나타나는 일은 극히 드물다.
2. 소음성 난청
1) 종류
(1) 일시적 난청(temporary hearing impairment)
청신경 세포의 피로현상으로 전형적인 공장 소음의 경우 4,000 ~ 6,000Hz에서 일시적 난청이 일어난다. 강력한 소음에 몇 분간만 폭로되어도 발생하나 대부분 폭로 후 2시간 내에 일어나며 폭로 중지 후 1~2시간내에 회복되나 때로는 여러 달이 걸리기도 한다. 일시적 청력손실이 반복되고 완전 회복이 안된 상태가 지속되면 축적 효과로 영구적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2) 영구적 난청(permanent hearing impairment)
보통 소음성 난청은 영구적 난청을 말하며 장기간의 소음 폭로로 인해 내이의 corti 기관의 신경말단에 손상이 와서 영구적 청력 손실이 생기는 것이다. 난청 여부는 audiogram으로 표시하여 평가한다.
2) 소음성 난청의 특징
청력손실이 고주파음(3,000~6,000Hz)에서 시작되어 계속진행되면 그 주변의 주파영역이 파극ㅂ되며 특히 4,000Hz의 소리에 청력손실이 가장 심하다. 항상 좌우 한쪽으로 심히 치우친 소음에 노출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청력손실은 양쪽 귀에 대칭으로 오며, 일단 발생한 난청은 회복되지 않으나 소음에 폭로되는 것을 중지하면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3) 소음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직업의 종류
조선, 중기계 작업, 철강산업(판금,주물,리베팅,제관), 섬유방적사업의 일부, 탄광의 굴진 착암작업, 분쇄기, 송풍기, 내연기관의 작업 등
3. 소음성 난청의 예방 및 관리
1) 직업병 발생 과정과 예방대책의 모형도
소음성 난청은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관리적인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소음에 대한 예방대책을 세우려면 먼저 소음을 분석하고 또 폭로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치로부터 어떠한 방법을 세울 것인지 검토한다. 이 때 소음 수준의 감소, 폭로시간의 단축, 소움으로부터 작업자를 격리 또는 차단, 소리가 적은 기기나 공정으로대치, 차음 보호구의 지급 등 중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대책을 선택하여 단독으로 혹은 2가지 이상을 혼용한다. 아래 모형도에서 제시한 발생과정에 따른 대치, 격리 및 환기, 감독, 청결과 정돈, 보건 교육의 순으로 보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나 우선 작업장 소음측정 및 청력검사가 가장 우선 요구된다.
발생 과정
예방 대책
방법
환경
근로자
생산과정
유해작업 조건
유해물질의 발생
유해작업환경
유해작업조건의 정돈
유해물질의 양과 질
작업방법(강도, 시간, 자세 등)
생체 반응
침입경로
장애되는 장기, 기관
배설 경로
감수성
직업병
조기 발견
작업 전환
치료
1. 대치(substitution)
생산물(설비,원료 등) 자체의 무해화
작업 방법의 개선 및 변경
채용시 신체 검사
적성 배채
2. 격리 및 환기
(isolation & ventilation)
작업 환경의 개선(희석, 배기, 환기, 밀폐, 격리 등)
위생보호구의 착용
3. 감독(inspection)
환경 측정
작업장의 점검 및 보존
정기 신체검사 및 특수건강진단
건강 장애자의 조기 발견
4. 청결과 정돈
(cleanliness)
작업장의 청소와 정리 정돈
신체 청결
개인 위생의 철저
5. 보건교육
(education)
기업주 및 근로자에게 직업병 예방 및 사후대책에 관한 지도계몽
2) 작업장 소음 측정
작업장내의 소음을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비전문인이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비교적 값이 싸고 많이 쓰이는 ‘거시 소음계’와 ‘폭로량 측정계’의 소음측정기를 이용한다. ‘거시 소음계’는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소음의 정도를 측정하는 기구이고 ‘소음 폭로량 측정계’는 개인이 작업도중 휴대하면서 어느 정도의 소음속에서 일하느냐 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런 측정기구를 사용하여 작업장 전체를 자세히 점검하고 80dB이 넘는 모든 장소에 대한 일종의 작업장 지도를 만들어 둘 수 있다. 일단 지도가 만들어지면 80dB이 넘는 곳은 위험한 곳이므로 계속 정기적으로 소음을 측정해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소음 허용기준은 현재 8시간 작업기준으로 90dB을 넘지 않도록 소음 허용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작업장 소음측정의 주 대상업종
- 충격식 착암기나 채탄기 등 기계를 사용하여 초석 또는 광물을 굴착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온전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불밀이나 로드밀 등의 매대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상호 밀접한 파쇄기를 사용하여 파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중형 공기해머 또는 증기해머를 사용하여 단조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그라인더나 끌을 사용하여 금속 부분을 깎아내는 장소에서의 작업
- 금속을 타격하여 성형 가공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 내연기관의 제조공장 또는 수리공장에서 내연기관을 시운전하는 장소에서의 작업
3) 청력 검사
소음측정과 함께 반드시 되어야 할 일이 근로자의 청력검사이다. 입사하면서 반드시 청력검사를 해서 기록을 남겨 두어야 하고 매년 건강진단 시 청력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소견시 적절한 조치를 받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산업간호관련 영어아티클해석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우리나라 인구구조의변화
지역사회간호학-건강증진금연프로그램
해체가족에 대한 사례연구 (지역사회간호학)
[사회복지]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보건소사업][정신보건사업][결핵관리사업][영유아예방접종][건강증진]문헌고찰
[지역사회간호학][방문보건][정신보건사업][보건지소]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지역사회간호학] 우리나라 복지정책에 대한 고찰 - 여성 복지 정책
[실버케어스 프로그램 계획안] 인지능력 향상과 자기표현을 위한 ‘숲속 동물원’ 만들기 (지역...
[지역사회간호학] 권력과 권한
환절기 동안의 감기 예방 # 감기 교육, 건강 교육, 연극,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보건교육안 보고서 모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