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법과 문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사법과 문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수사법과 문체
<목 차>
Ⅰ. 수사법이란?
(1) 비유법
(2) 강조법
(3) 변화법

Ⅱ. 문체란?
(1) 말투에 따른 문체의 갈래
(2) 문장의 성격에 따른 문체의 갈래
(3) 문체를 만드는 법

본문내용

\'문화의 꽃\' 등과 같다.
[예문]굽어보는 달님
성난 파도
오월 햇빛 아래 얼굴을 붉히고 다소곳이 머리 숙인 다알리아꽃
부끄러움을 가득 안은 아카시아꽃
꽃이 방긋 웃고, 버들이 손짓한다.
4. 활유법(活喩法)
무생물에다 생물적 특성을 부여하여 살아있는 생물처럼 나타내는 방법이다. 단순히 생물적 특성을 부여하면 활유이고 인격적 속성을 부여하면 의인법이다.
[예문]소리 지르며 달리는 냇물
숨이 차 헐떡이면서 비단길을 기어오르는 증기 기관차
청산(靑山)이 훨훨 깃을 친다.
파도가 울부짖는다.
들이 가슴을 열었다.
5. 의태법(擬態法)
어떤 대상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하여 사물의 형태나 동작을 시늉하여 나타내는 기교로써 \'시자법(示姿法)\'이라고도 한다. 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방법이다.
[예문]말랑말랑한 손
매끈매끈한 살결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
해는 뉘엿뉘엿 지고……
6. 의성법(擬聲法)
어떤 대상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내어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사성법\' 또는 \'성유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청각적 이미지를 살리는 방법이다.
[예문]멍멍 개야 짖지 말고, 꼬꼬 닭아 울지 마라.
찌르릉찌르릉 비켜나세요.
뻐꾹새 뻐꾹, 까마귀 꼴깍, 비둘기 꾹꾹
바람이 윙윙 부는 밤
가지 부러지는 소리가 우지끈뚝딱하고 났다.
7. 풍유법(諷喩法)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그 내용을 다른 이야기나 속담, 격언, 문장으로써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나타내려는 내용을 속에 숨기고 그것을 뒤에서 암시하는 방법으로써, 이를 \'우의법(寓意法)\' 또는 \'우유법(寓喩法)\'이라고 한다. 풍유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입된 비유는 문장전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그 본뜻은 추측할 수밖에 없다.
[예문]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 못나 보인다고 업신여기면 안된다.
산에 가야 범을 잡는다. → 큰일을 하려면 어려움을 무릅써야 한다.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 → 일엔 뜻이 없고 분량만 재려 한다.
8. 대유법(代喩法)
직접 그 사물의 명칭을 쓰지 않고 그 일부로써 혹은 그 사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써 이에는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다.
(1) 제유법(提喩法) : 같은 종류의 사물 중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써 사물 전체를 알 수 있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문]빵만으론 살 수 없다 : 빵 → 식량, 식생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 가 : 들 → 조국
(2) 환유법(換喩法) : 표현하고자 하는 사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수사법이다.
[예문]강태공 → 낚시꾼
태극기(한국)가 일장기(일본)를 눌렀다.
무궁화 삼천리 → 대한민국
바지저고리 → 촌사람
9. 중의법(重義法)
하나의 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두 가지 의미란 단어가 지니고 있는 파생적인 의미나 유사성이 아니라 전혀 다른 개념과 뜻을 재치 있게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한다.
[예문]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왜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벽계수 → 시냇물, 사람 이름 / 명월 → 달, 황진이
10. 상징법(象徵法)
원관념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암시에만 그치고 보조관념만이 글에 나타난다. 이는 은유법과 비슷하지만 원관념이 직접 나타나지 않는 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러나 원관념을 짐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은유법이다. 추상적인 것(무형)을 구체적 사물(유형)로 암시하는 법이기도 하다.
[예문]십자가 → 희생
비둘기 → 평화
낙락장송 → 절개
매화 → 우국지사
그녀는 꽃 같이 아름답다 - 직유법
순이는 한 떨기 백합꽃이다 - 은유법
그녀가 들어오니, 방 안이 꽃밭이 된다 - 상징법
(2) 강조법(强調法)
문장의 인상을 강하게 만드는 수사법으로 문장에 힘을 주어 강조함으로써 짙은 인상을 주는 방법이다.
1. 과장법(誇張法)
사물의 수량, 상태, 성질 또는 글의 내용을 실제보다 더 늘이거나 줄여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눈이 빠지도록 기다렸다\" 등의 표현이 과장에 해당하는데, 때로는 \"눈물의 홍수\"에서처럼 은유와 함께 나타내는게 효과적이다. 실제보다 더 크고 강하게 나타내는 것을 [향대과장]이라 하고, 더 작게 나타내는 것을 [향소과장]이라고 한다.
[예문]하늘에 닿은 수풀
밴댕이만한 소갈머리
간이 콩알 만해졌다.
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
주먹만한 대추(직유, 과장)
바늘 귀 만한 소견(직유, 과장)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만큼이나 힘들다.
2. 영탄법(永嘆法)
기쁨, 슬픔, 놀라움, 무서움 따위의 감정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감탄사, 감탄형 어미를 주로 쓰지만, 때로는 의문형을 쓰기도 한다.
[예문]아 ! 아름다운 하늘이여 !
이렇게도 간절함이여 !
슬프다, 붓을 놓고 통곡하고 싶구나 !
저주받은 인생이여 !
그리움마저 얼어붙은 가슴인가?
3. 반복법(反復法)
같은 단어나 구절, 문장을 반복시켜서 뜻을 강조하는 방법이다. 이는 문장의 율조로써 흥을 돋구어 강조할 때에 사용되는 기교이다.
[예문]하늘은, 머얼리서 오는 하늘은……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깊고 깊은 바다
솟아라, 고운 해야 솟아라.
쉬어 가자, 벗이여, 쉬어서 가자.
눈물로 적시고 또 적시어도.
4. 점층법(漸層法)
어떠한 글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의 비중이나 정도를 한 단계씩 높여서 뜻을 점점 강하게, 높게, 깊게 층을 이루어 독자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절정으로 이끌어 오리는 표현방법이다. 이 방법은 독자를 설득시켜 감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예문]내 이웃에서 시작하여 내 마을, 내 고장, 내 나라, 아 니 세계로 뻗어 나가야 한다.
한 사람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열 사람을 당한다. 열은 백을 당하고, 백은 천을 당하며, 천은 만을 당하리라.
5. 점강법(漸降法)
점층법과는 반대로 한 구절 한 구절의 내용이 작아지고 좁아지고 약해져서 고조된 감정으로부터 점점 가라앉게 하는 표현방법이다.
[예문]명예를 잃는 것은 모두를 잃은 것이요,
용기를 잃는 것은 많은 것을 잃은 것이요,
돈을 잃는 것은 아무것도 안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2.04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