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전적 조건화
A. 파블로의발견 : 정신반사
B.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현상
1. 습득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3. 자극 일반화와 변별
4. 고차 조건화
C. 생활속의 고전적 조건화
1. 공포와 불안
2. 생리적 반응
Ⅱ. 조작적 조건화
A.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Yhorndike)
1. 소거
2. 자극통제 : 일반화와 변별
B. 스키너(Skinner)
1. 행동 조형
2. 행동 연쇄화
C. 강화
1. 강화와 처벌
2. 일차강화물과 이차강화물
3. 강화계획
고정비율계획
고정간격계획
가변비율계획
가변간격계획
소거와 강화계획
D. 생활속의 조작적 조건화
1. 동물훈련
2. 행동수정
3. 미신행동
Ⅲ. 사회 및 인지학습
A. 사회학습
1. 기본과정
2. 모델링과 모방
3. 대리강화와 대리처벌
B. 인지학습
1. 조건화의 인지적 설명
2. 통찰
3. 잠재학습과 인지도
A. 파블로의발견 : 정신반사
B. 고전적 조건화와 관련된 현상
1. 습득
2. 소거와 자발적 회복
3. 자극 일반화와 변별
4. 고차 조건화
C. 생활속의 고전적 조건화
1. 공포와 불안
2. 생리적 반응
Ⅱ. 조작적 조건화
A.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Yhorndike)
1. 소거
2. 자극통제 : 일반화와 변별
B. 스키너(Skinner)
1. 행동 조형
2. 행동 연쇄화
C. 강화
1. 강화와 처벌
2. 일차강화물과 이차강화물
3. 강화계획
고정비율계획
고정간격계획
가변비율계획
가변간격계획
소거와 강화계획
D. 생활속의 조작적 조건화
1. 동물훈련
2. 행동수정
3. 미신행동
Ⅲ. 사회 및 인지학습
A. 사회학습
1. 기본과정
2. 모델링과 모방
3. 대리강화와 대리처벌
B. 인지학습
1. 조건화의 인지적 설명
2. 통찰
3. 잠재학습과 인지도
본문내용
화된 반응보다 소거가 느리고 계속적 강화에 의해 학습된 반응은 소거가 빠르다.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
우리는 상호 작용하는 다른 사람들의 정적 또는 부적 반응을 통해 사회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배운다.
동물훈련
Skinner는 학습원리를 이용하면 다양한 동물을 훈련할 수 있다.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선호성이 높은 활동이 낮은 활동에 대해 강화물이 될 수 있다는 ‘프리맥(premack)원리 (1965)’를 이용하여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예) 9살된꼬마 → 수다 →딱총쏘기(선호성이 높은 활동)
수정대상이 되는 행동과 관련된 자극을 통제함으로써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예) 흡연자가 금연을 위해 흡연구역이나 흡연상황을 피한다.
학습된 무기력이 형성되면 환경을 통제하려는 어떠한 노력도 포기하게 되는데 인간의 경우 심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에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예) ‘나는 안돼’
미신행동(superstitious behavior)
특별한 생각이나 어떤 대상, 혹은 행동이 어떤 사건을 일으킨다는 잘못된 신념으로 행동 및
그로 인한 강화간에 우연한 연합에 기초된 학습의 결과이다.
예) 축구에서 골대를 맞추는 팀은 그 경기에서 패한다.
사회 및 인지학습
우리는 강화 또는 처벌이 수반되지 않아도 정보를 습득하고, 저장하고, 조직화할 수 있다.
관찰 또는 인지를 통한 학습을 수용할 때 인간의 행동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인지(cognition)의 정의>
정보를 습득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이다.
즉, 우리가 주변의 세상을 알고 이해하는 방법이다.
사회학습
사회학습(=대리학습)의 정의
한 개체의 행동이 다른 개체(모델)를 관찰함으로써 영향을 받을때 관찰학습이 일어났다고 하며, 이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을 사회학습 또는 대리학습이라고 한다.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관찰학습은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과정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 조건화 이론가들은 유기체의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
- 반두는 고전적 및 조작적 조건화 모두가 관찰학습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입증.
예) 동료의 주장적인 행동→고객의 구매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관찰→자신이 주장적으로 행동하려는 성향이 강화됨.
기본과정
반두라(1986)는 관찰학습에서 중요한 4가지 과정이 있다고 함.
이중 2가지(주의, 파지)는 관찰학습에서도 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관찰학습에 중요한 4자기 과정(앨버트 반두라)
주의(Attention)
관찰을 통해 학습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에 따르는 결과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파지(Retention)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한 후 길게는 몇 년 동안 관찰한 반응을 사용할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관찰한 것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기억속에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재생(Reproduction)
관찰한 행동을 필요할 때 스스로 행하기 위해서는 기억속에 저장된 정신적 표상을 외현적인 행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반응을 실제로 수행하는 능력 또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동기(Motivation)
관찰한 반응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때 동기유발은 잘 될 것이다.
피셔와 하인드(fisher & hinde, 1949)
- 영국에 서식하는 박새류에 속하는 새가 관찰학습을 한다.
- 새들가운데 몇 마리가 우유병의 뚜껑을 찢어서 우유를 마심→다른 새들도 모방.
가와무라(kawamura, 1963)
- 일본 원숭이들의 관찰행동을 보고
- 모래가 묻어있는 고구마→한마리가 물에 씻어서 먹음→이를 본 다른 원숭이들도 물에 씻어서 먹게됨.
모델링과 모방
모델링과 모방의 정의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많은 것을 학습하게 된다.
이때 관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모델의 역할을 하고, 우리는 그의 행동을 모델링 또는 모방하게 된다.
특징
- 선택적으로 모방할 대상을 선정.
- 대상은 우리가 성공했다고 여기는 사람 또는 동일시하려고 하는 사람이다.
- 광고업자들의 이러한 성향의 예
예) 화장품광고, 가전제품광고, 고급자동차.....
- 모델과 동일시하려는 성향은 아동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
- 아이들은 성인이나 TV의 주인공을 통해 행동적 단서를 얻으며, 이성보다는 동성의 성인을 모방한다.
모델링과 모방에 관한 실험
perry & bussey, 1979
실험에서 남녀 어린이들은 남녀 성인들이 사과 또는 바나나를 선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든 성인 남자들은 사과를 선택, 여자들은 바나나를 선택하였다.→이를 관찰한 남자 어린이들은 사과를 선택, 여자어린이들은 바나나를 선택
실험결과의 의미 : 어린이들의 관찰을 통해 성역할과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배운다는 것을 암시.
반두라와 그의 동료들(Bandura, ross, & ross, 1963)
모방이 공격행동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2가지의 다른 필름을 어린이들에게 보여줌
- 성인 또는 만화 주인공이 인형을 격렬하게 공격하는 필름
- 성인 또는 만화 주인공이 인형을 공격하지 않는 필름
인형이 있는 방에서 어린이들을 놀게 하고 행동을 관찰
공격적인 필름을 본 아이들만이 인형을 격렬하게 공격하여고 공격행동 유형이 필름과 비슷함.
대리강화(vicarious reinforcement)와 대리처벌(vicarious punishment)
대리강화 & 대리처벌 정의
자신의 경험 대신에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
대리강화의 사례
대리강화는 개인차원의 행동양식뿐만 아니라 조식의 운영전략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됨.
자동차구입
동료의 구매행동을 무조건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가 그 자동차 구입에 대해서 만족한다면 자신도 구입하게 될 것이고, 그가 구입을 후회한다면 자신은 다른 자동차를 고려할 것이다.
신규사업투자
한 회사의 신규사업투자가 성공했을 때 다른 기업들은 성공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기들도 그 경영전략을 도입할 것이다. 그러나 먼저 시작한 회사가 실패했을 때는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여 그 회상의 경영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축구팀의 지속적인 승리 , 한 방송국 TV프로그램의 높은 시
생활 속의 조작적 조건화
우리는 상호 작용하는 다른 사람들의 정적 또는 부적 반응을 통해 사회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배운다.
동물훈련
Skinner는 학습원리를 이용하면 다양한 동물을 훈련할 수 있다.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선호성이 높은 활동이 낮은 활동에 대해 강화물이 될 수 있다는 ‘프리맥(premack)원리 (1965)’를 이용하여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예) 9살된꼬마 → 수다 →딱총쏘기(선호성이 높은 활동)
수정대상이 되는 행동과 관련된 자극을 통제함으로써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예) 흡연자가 금연을 위해 흡연구역이나 흡연상황을 피한다.
학습된 무기력이 형성되면 환경을 통제하려는 어떠한 노력도 포기하게 되는데 인간의 경우 심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에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예) ‘나는 안돼’
미신행동(superstitious behavior)
특별한 생각이나 어떤 대상, 혹은 행동이 어떤 사건을 일으킨다는 잘못된 신념으로 행동 및
그로 인한 강화간에 우연한 연합에 기초된 학습의 결과이다.
예) 축구에서 골대를 맞추는 팀은 그 경기에서 패한다.
사회 및 인지학습
우리는 강화 또는 처벌이 수반되지 않아도 정보를 습득하고, 저장하고, 조직화할 수 있다.
관찰 또는 인지를 통한 학습을 수용할 때 인간의 행동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인지(cognition)의 정의>
정보를 습득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이다.
즉, 우리가 주변의 세상을 알고 이해하는 방법이다.
사회학습
사회학습(=대리학습)의 정의
한 개체의 행동이 다른 개체(모델)를 관찰함으로써 영향을 받을때 관찰학습이 일어났다고 하며, 이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을 사회학습 또는 대리학습이라고 한다.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관찰학습은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과정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 조건화 이론가들은 유기체의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
- 반두는 고전적 및 조작적 조건화 모두가 관찰학습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입증.
예) 동료의 주장적인 행동→고객의 구매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관찰→자신이 주장적으로 행동하려는 성향이 강화됨.
기본과정
반두라(1986)는 관찰학습에서 중요한 4가지 과정이 있다고 함.
이중 2가지(주의, 파지)는 관찰학습에서도 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관찰학습에 중요한 4자기 과정(앨버트 반두라)
주의(Attention)
관찰을 통해 학습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에 따르는 결과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파지(Retention)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한 후 길게는 몇 년 동안 관찰한 반응을 사용할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관찰한 것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기억속에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재생(Reproduction)
관찰한 행동을 필요할 때 스스로 행하기 위해서는 기억속에 저장된 정신적 표상을 외현적인 행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반응을 실제로 수행하는 능력 또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동기(Motivation)
관찰한 반응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때 동기유발은 잘 될 것이다.
피셔와 하인드(fisher & hinde, 1949)
- 영국에 서식하는 박새류에 속하는 새가 관찰학습을 한다.
- 새들가운데 몇 마리가 우유병의 뚜껑을 찢어서 우유를 마심→다른 새들도 모방.
가와무라(kawamura, 1963)
- 일본 원숭이들의 관찰행동을 보고
- 모래가 묻어있는 고구마→한마리가 물에 씻어서 먹음→이를 본 다른 원숭이들도 물에 씻어서 먹게됨.
모델링과 모방
모델링과 모방의 정의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많은 것을 학습하게 된다.
이때 관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은 모델의 역할을 하고, 우리는 그의 행동을 모델링 또는 모방하게 된다.
특징
- 선택적으로 모방할 대상을 선정.
- 대상은 우리가 성공했다고 여기는 사람 또는 동일시하려고 하는 사람이다.
- 광고업자들의 이러한 성향의 예
예) 화장품광고, 가전제품광고, 고급자동차.....
- 모델과 동일시하려는 성향은 아동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
- 아이들은 성인이나 TV의 주인공을 통해 행동적 단서를 얻으며, 이성보다는 동성의 성인을 모방한다.
모델링과 모방에 관한 실험
perry & bussey, 1979
실험에서 남녀 어린이들은 남녀 성인들이 사과 또는 바나나를 선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든 성인 남자들은 사과를 선택, 여자들은 바나나를 선택하였다.→이를 관찰한 남자 어린이들은 사과를 선택, 여자어린이들은 바나나를 선택
실험결과의 의미 : 어린이들의 관찰을 통해 성역할과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배운다는 것을 암시.
반두라와 그의 동료들(Bandura, ross, & ross, 1963)
모방이 공격행동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2가지의 다른 필름을 어린이들에게 보여줌
- 성인 또는 만화 주인공이 인형을 격렬하게 공격하는 필름
- 성인 또는 만화 주인공이 인형을 공격하지 않는 필름
인형이 있는 방에서 어린이들을 놀게 하고 행동을 관찰
공격적인 필름을 본 아이들만이 인형을 격렬하게 공격하여고 공격행동 유형이 필름과 비슷함.
대리강화(vicarious reinforcement)와 대리처벌(vicarious punishment)
대리강화 & 대리처벌 정의
자신의 경험 대신에 다른 사람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
대리강화의 사례
대리강화는 개인차원의 행동양식뿐만 아니라 조식의 운영전략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됨.
자동차구입
동료의 구매행동을 무조건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가 그 자동차 구입에 대해서 만족한다면 자신도 구입하게 될 것이고, 그가 구입을 후회한다면 자신은 다른 자동차를 고려할 것이다.
신규사업투자
한 회사의 신규사업투자가 성공했을 때 다른 기업들은 성공의 원인을 분석하여 자기들도 그 경영전략을 도입할 것이다. 그러나 먼저 시작한 회사가 실패했을 때는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여 그 회상의 경영방식을 배제함으로써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축구팀의 지속적인 승리 , 한 방송국 TV프로그램의 높은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