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PLC의 정의
1) PLC의 정의
2) PLC의 기능
3) PLC의 역사
▣ PLC의 구성요소
1) 프로세서
2) 입출력 장치
3) 전원공급장치
4) 통신장치
5) 입/출력 샷시
6) 프로그래밍장치와 기타 주변기기
▣ PLC의 응용분야
▣ PLC제어회로의 예제
1) PLC의 정의
2) PLC의 기능
3) PLC의 역사
▣ PLC의 구성요소
1) 프로세서
2) 입출력 장치
3) 전원공급장치
4) 통신장치
5) 입/출력 샷시
6) 프로그래밍장치와 기타 주변기기
▣ PLC의 응용분야
▣ PLC제어회로의 예제
본문내용
기 억 (1Bit Memory)
이 용 (Register, Read, Shift,,,,)
시 한 (Timer)
계 수 (Counter)
확장기능
(Word 처리)
코드변환 (BCD <-> Binary,....)
비교연산 (=, <, >....)
4 칙연산 (+, -, ×, ÷)
함수연산 (초등함수, 기타연산)
데이터조작 (집계, 검색, 분수,...)
입 출 력
제어기능
프로세스
입출력기능
디지털입출력 (처리, 전송)
펄스입출력 (펄스검산, 펄스출력, 고속카운터)
아날로그입출력 (전압, 전류, 저항값,...)
아날로그/디지털변환
시 스 템
인터페이스기능
전송 인터페이스(리모트I/O, 데이터웨이)
범용기기 인터페이스
컴퓨터 인터페이스
CRT 인터페이스
전용 서보컨트롤러 인터페이스(위치결정, PID...)
3) PLC의 역사
1968년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 GM(General Motor)사에서 \"산업용 각종 제어 장치의 구비조건\"의 10개 항목을 구입 사양서에 명시한 것이 PLC 출현의 기틀이 되었다.
▶ GM 사의 10개 항목 ◀
①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또한 그 내용 변경이 용이하며 현장 요원들도 쉽게 동작 시퀸스를 작성, 변경할 수 있을 것.
② 보수가 쉽고 수리가 가능하며 완전한 프러그인(Plug-In) 타입을 기본으로 할 것.
③ 유니트(Unit)는 프랜트의 주위 환경 속에서 릴레이 제어반 보다 신뢰성이 높을 것.
④ Panel 내 부착 면적의 절약을 위해 릴레이 제어반 보다 크기가 작을 것.
⑤ 유니트는 PCMC(Product Control Monitoring Center) 즉, 생산 관제실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
⑥ 유니트는 현재 실용되고 있는 릴레이식 또는 반도체식 제어반과 가격면에서 경합살 수 있을 것.
⑦ 전 입력은 AC 115V 표준일 것.
⑧ 전 출력은 AC 115V로서 최저 2A의 용량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마그네트 수위치등을 그대로 조작 가능할 것.
⑨ 일반적으로 본 시스템을 대폭적을 변형하지 않고도 기본 유니트가 확장 가능할 것.
⑩ 각 유니트는 최저 4K Ward까지 확장 가능 할 것
위와 같은 GM사의 요구에 의해 Digital Equipment사가 \"PDP-14\"를 개발한 것이 최초의 PLC 탄생이라고 할 수 있다.
2진수 논리 회로를 주체로 한 PLC는 종래의 릴레이 제어반의 대체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소자등의 반도체 기술, 제어기술, PCB Module의 실장 기술의 발전으로 PLC 또한 놀랍도록 발전하고 있다.
▣ PLC의 구성요소
PLC는 시퀸스제어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컴퓨터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었으나, 외부의 입출력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고, 래더다이어그램에 의한 시퀸스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시퀸스 프로그램을 보관하고 처리 할 수 있는 프로세서(메모리 + 중앙연산처리장치(CPU), 입출력장치, 전원 공급장치, 외부기기(주변장치)또는 다른 PLC나 컴퓨터 등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장치 그리고 이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내부 실행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간단한 그림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또한 주요 구성 요소를 블러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1) 프로세서
프로세서(Processor)는 PLC의 핵심으로서 PLC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연산장치(CPU)부와 실행 프로그램 사용자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 외부 입출력 장치를 스캐닝(Scanning)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부, 외부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
이 용 (Register, Read, Shift,,,,)
시 한 (Timer)
계 수 (Counter)
확장기능
(Word 처리)
코드변환 (BCD <-> Binary,....)
비교연산 (=, <, >....)
4 칙연산 (+, -, ×, ÷)
함수연산 (초등함수, 기타연산)
데이터조작 (집계, 검색, 분수,...)
입 출 력
제어기능
프로세스
입출력기능
디지털입출력 (처리, 전송)
펄스입출력 (펄스검산, 펄스출력, 고속카운터)
아날로그입출력 (전압, 전류, 저항값,...)
아날로그/디지털변환
시 스 템
인터페이스기능
전송 인터페이스(리모트I/O, 데이터웨이)
범용기기 인터페이스
컴퓨터 인터페이스
CRT 인터페이스
전용 서보컨트롤러 인터페이스(위치결정, PID...)
3) PLC의 역사
1968년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 GM(General Motor)사에서 \"산업용 각종 제어 장치의 구비조건\"의 10개 항목을 구입 사양서에 명시한 것이 PLC 출현의 기틀이 되었다.
▶ GM 사의 10개 항목 ◀
①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또한 그 내용 변경이 용이하며 현장 요원들도 쉽게 동작 시퀸스를 작성, 변경할 수 있을 것.
② 보수가 쉽고 수리가 가능하며 완전한 프러그인(Plug-In) 타입을 기본으로 할 것.
③ 유니트(Unit)는 프랜트의 주위 환경 속에서 릴레이 제어반 보다 신뢰성이 높을 것.
④ Panel 내 부착 면적의 절약을 위해 릴레이 제어반 보다 크기가 작을 것.
⑤ 유니트는 PCMC(Product Control Monitoring Center) 즉, 생산 관제실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
⑥ 유니트는 현재 실용되고 있는 릴레이식 또는 반도체식 제어반과 가격면에서 경합살 수 있을 것.
⑦ 전 입력은 AC 115V 표준일 것.
⑧ 전 출력은 AC 115V로서 최저 2A의 용량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마그네트 수위치등을 그대로 조작 가능할 것.
⑨ 일반적으로 본 시스템을 대폭적을 변형하지 않고도 기본 유니트가 확장 가능할 것.
⑩ 각 유니트는 최저 4K Ward까지 확장 가능 할 것
위와 같은 GM사의 요구에 의해 Digital Equipment사가 \"PDP-14\"를 개발한 것이 최초의 PLC 탄생이라고 할 수 있다.
2진수 논리 회로를 주체로 한 PLC는 종래의 릴레이 제어반의 대체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소자등의 반도체 기술, 제어기술, PCB Module의 실장 기술의 발전으로 PLC 또한 놀랍도록 발전하고 있다.
▣ PLC의 구성요소
PLC는 시퀸스제어를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컴퓨터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었으나, 외부의 입출력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고, 래더다이어그램에 의한 시퀸스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시퀸스 프로그램을 보관하고 처리 할 수 있는 프로세서(메모리 + 중앙연산처리장치(CPU), 입출력장치, 전원 공급장치, 외부기기(주변장치)또는 다른 PLC나 컴퓨터 등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장치 그리고 이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내부 실행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간단한 그림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또한 주요 구성 요소를 블러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1) 프로세서
프로세서(Processor)는 PLC의 핵심으로서 PLC 모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연산장치(CPU)부와 실행 프로그램 사용자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 외부 입출력 장치를 스캐닝(Scanning)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부, 외부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