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석가 원문과 어구 해석
2. 형식상, 표현상 특징
3. 논의의 쟁점
1)「딩아돌하」의 해석문제
2) 정석가의 성격과 주제 - 민요인가 송도가인가?
3) 제작연대와 작자
Ⅲ. 결론
Ⅱ. 본론
1. 정석가 원문과 어구 해석
2. 형식상, 표현상 특징
3. 논의의 쟁점
1)「딩아돌하」의 해석문제
2) 정석가의 성격과 주제 - 민요인가 송도가인가?
3) 제작연대와 작자
Ⅲ. 결론
본문내용
정석가 연구
- 한국고시가론 -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석가 원문과 어구 해석
2. 형식상 표현상 특징
3. 논의의 쟁점
1)「딩아돌하」의 해석문제
2) 정석가의 성격과 주제 - 민요인가 송도가인가?
3) 제작연대와 작자
Ⅲ. 결론
Ⅰ. 서론
<鄭石歌(정석가)>는 『樂章歌詞』 ‘歌詞上’의 맨 처음에 <與民樂>, <感君恩> 다음에 실려 있고 이 <鄭石歌>뒤에 <靑山別曲>, <西京別曲>이 이어져 있으며, 『樂學便考』에 전편의 가사가 실려 있다. 『時用鄕樂譜』,『琴合字譜』에는 가사 서사 부분의 내용이 악보로 전하고 있다. <鄭石歌>는 이상의 실증할 문헌적 자료가 없어서 고려 작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익제난고』 소악부에 결사부분이 한역되어있고 『악학편고』에 고려시대의 노래로 기록한 점과 작품의 표현 기법이나 내용과 정조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 작품으로 간주하고 있다. 학계는 <정석가>가 다른 고려가요에 비하면 어석상의 논란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으나 가제인 「정석」을 비롯하여 「딩아돌하」 등에 대한 어석상의 문제, 작자, 작품의 성격, 작품 내용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쟁론으로 남아있어 연구의 시작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제 <정석가>의 원문해석, 표현 형식, 「딩하돌하」의 의미를 파악하고 쟁점이 되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원문과 어구해석
1) 원문 제시
딩아 돌하 當今(당금)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當今(당금)에 계샹이다.
先王聖代(션왕셩)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 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 나거시아,
有德(유덕)신 님믈 여와지이다.
玉(옥)으로 蓮(연)ㅅ고즐 사교이다.
玉(옥)으로 蓮(연)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接柱(접주)요이다.
그 고지 三同(삼동)이 퓌거시아,
그 고지 三同(삼동)이 퓌거시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련릭을 아 나,
므쇠로 련릭을 아 나,
鐵絲(련)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鐵樹山(련슈산)애 노호이다.
그 鐵草(련초)를 머거아,
그 鐵草(련초)를 머거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구스리 바회예 디신,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힛 그츠리잇가.
즈믄 외오곰 녀신,
즈믄 외오곰 녀신,
信(신)잇 그츠리잇가
2) 어구풀이
노니와지이다 : 노닐고 싶습니다.
삭삭기 : 바삭바삭한 것.
셰몰애 : 가는 모래.
별헤 : 벼랑에
鐵樹山(련슈산)애 : 쇠 나무산에
디신 : 떠어진들
긴힛 그츠리잇가. : 끈이야 떨어지겠습니까.
외오곰 녀신 : 외로이 살아간들
- 한국고시가론 -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석가 원문과 어구 해석
2. 형식상 표현상 특징
3. 논의의 쟁점
1)「딩아돌하」의 해석문제
2) 정석가의 성격과 주제 - 민요인가 송도가인가?
3) 제작연대와 작자
Ⅲ. 결론
Ⅰ. 서론
<鄭石歌(정석가)>는 『樂章歌詞』 ‘歌詞上’의 맨 처음에 <與民樂>, <感君恩> 다음에 실려 있고 이 <鄭石歌>뒤에 <靑山別曲>, <西京別曲>이 이어져 있으며, 『樂學便考』에 전편의 가사가 실려 있다. 『時用鄕樂譜』,『琴合字譜』에는 가사 서사 부분의 내용이 악보로 전하고 있다. <鄭石歌>는 이상의 실증할 문헌적 자료가 없어서 고려 작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익제난고』 소악부에 결사부분이 한역되어있고 『악학편고』에 고려시대의 노래로 기록한 점과 작품의 표현 기법이나 내용과 정조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 작품으로 간주하고 있다. 학계는 <정석가>가 다른 고려가요에 비하면 어석상의 논란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으나 가제인 「정석」을 비롯하여 「딩아돌하」 등에 대한 어석상의 문제, 작자, 작품의 성격, 작품 내용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쟁론으로 남아있어 연구의 시작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제 <정석가>의 원문해석, 표현 형식, 「딩하돌하」의 의미를 파악하고 쟁점이 되는 부분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원문과 어구해석
1) 원문 제시
딩아 돌하 當今(당금)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當今(당금)에 계샹이다.
先王聖代(션왕셩)예 노니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 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 나거시아,
有德(유덕)신 님믈 여와지이다.
玉(옥)으로 蓮(연)ㅅ고즐 사교이다.
玉(옥)으로 蓮(연)ㅅ고즐 사교이다.
바회 우희 接柱(접주)요이다.
그 고지 三同(삼동)이 퓌거시아,
그 고지 三同(삼동)이 퓌거시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련릭을 아 나,
므쇠로 련릭을 아 나,
鐵絲(련)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鐵樹山(련슈산)애 노호이다.
그 鐵草(련초)를 머거아,
그 鐵草(련초)를 머거아
有德(유덕)신 님 여와지이다.
구스리 바회예 디신,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힛 그츠리잇가.
즈믄 외오곰 녀신,
즈믄 외오곰 녀신,
信(신)잇 그츠리잇가
2) 어구풀이
노니와지이다 : 노닐고 싶습니다.
삭삭기 : 바삭바삭한 것.
셰몰애 : 가는 모래.
별헤 : 벼랑에
鐵樹山(련슈산)애 : 쇠 나무산에
디신 : 떠어진들
긴힛 그츠리잇가. : 끈이야 떨어지겠습니까.
외오곰 녀신 : 외로이 살아간들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연명설화의 운명관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중국고전문학탐색의 시험문제를 올립니다.
고전문학을 소재로한 콘텐츠작품 (바리데기)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 공방전(孔方傳) : 돈의 폐해? 정치세태?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