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이상곡(履霜曲)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이상곡(履霜曲)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Ⅱ. 본론
1. <이상곡> 명칭 문제
2. 원문해석과 어구풀이
3. <이상곡> 작자에 대한 논의
4. <이상곡> 내용상의 구분

Ⅲ. 결론

* 발표 후기

본문내용

이상곡(履霜曲) 연구
- 한국 고시가론 -
목차
I. 서론
Ⅱ. 본론
1. <이상곡> 명칭 문제
2. 원문해석과 어구풀이
3. <이상곡> 작자에 대한 논의
4. <이상곡> 내용상의 구분
Ⅲ. 결론
* 참고 문헌
* 발표 후기
Ⅰ. 서론
〈이상곡〉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 『경국대전』 등에 보이는데, 이상곡이 조선시대에도 계속 향약정재에 채용되어 애창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6
〈이상곡〉의 출처는 『세종실록』 권 116, 29년 丁卯(정묘) 6월조에, “乙丑(을축)에 또 속악을 정했다”는 기사에 〈무애〉, 〈동동〉, 〈정읍〉, 〈진작〉, 〈이상곡〉 등을 엮어 時用의 俗樂으로 하여 악보 1권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사와 성종 21년 ”壬戌(임술)에.......이에 앞서 成俔(성현) 등에게 명하여 〈쌍화곡〉,〈이상곡〉,〈북전〉의 노래 가운데 淫褻(음설)한 말을 빼고 고치도록 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임원준 등이 지어 바쳤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기사(『성종실록』 권 240, 21년 庚戌(강술) 5월조)에 있다.
그 외 『악장가사』에 한글노랫말이, 『대악후보』에 노랫말과 악곡이, 또 이형상의 『악학편고』에는 이에 대한 기사가 전한다. 이 자료들에 의하면 〈이상곡〉은 다른 고려가요들과 함께 조선 궁중에서 쓰이다가 성종 때에 改刪(개산)된 것이다.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이상곡(履霜曲)의 가사가 실려 전하는 문헌은 『악장가사』, 『악학편고』, 『대악후보』의 세 문헌이다.
Ⅱ. 본론
1. 명칭문제
<이상곡>이라는 명칭은 고려속요 일반으로 볼 때 다른 작품들과는 다소 구분된다는 느낌을 준다. 지명이나 인명으로 되어 있지 않은 다른 노래제목들은 반복되는 용어에서 따온 것이거나(<동동>,<청산별곡>), 첫 구절의 어휘를 따오는(<서경별곡>, <정석가>, <가시리>)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데 비해, <이상곡>의 경우는 둘째 구절에서 제목을 따왔다는 점에서 이질적이다. 그리고 외관상으로는 제목이 포함된 둘째 구절이 가사 전체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이것을 채택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이상곡>이라는 명칭에 포함된 역사성을 참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상곡>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악부시집」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주나라 윤백기의 작으로 금곡의 가사인 <이상조>는 아무 잘못도 없이 계모의 참소로 쫓겨난 백기가 곤궁한 생활을 하면서 슬퍼하다가, 거문고를 타면서 이 노래를 부르고는 강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는 설화를 가지고 있다. 김정주, 『고려가요』,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2
<이상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벽 서리 밟으니 춥기도 해라
아비는 모르고서 계모 말 들었네
쫓겨나 헤매이니 간장이 찢어지네
무슨 죄 지었기에 이같이 벌 받는가
이대도록 미워하니 차라리 죽고지고
뉘 알아 이 내 원을 말이나 해 줄런고
여기서 우리는 첫 줄의 “새벽 서리 밟으니 춥기도 해라” 라는 대목에서 제목이 <이상조>가 되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으나, 이 시에서 나타나는 화자의 고독하고 슬픈 심상과 고려속요 <이상곡>에서 느낄 수 있는 화자의 슬픈 심상이 서로 상충하기에, 두 작품 간에 제목이서로 연관성이 있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한다.
2. 원문 해석과 어구 풀이
〈원문〉
비 오다가 개야아 눈 하 디신 나래
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잠간 내 니믈 너겨
깃 열명길헤 자라 오리잇가
죵죵 霹靂 生陷墮無間
고대셔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