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 머리말.............................................1
1. 군사회복지의 내용..................................2
1). 군사회복지 정의와 기능
2). 군사회복지 의 목적
2. 군사회복지의 역사..................................3
3. 한국미국의 군사회복지 비교.........................4
4.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5
(1)사회적 측면
(2)가치관 측면
① 전통적 질서에 대한 반박 의식
② 개인적인 이기심이 만연
③ 부모의 역할 비중약화
④ 욕구 불만
⑤ 사회병리 현상
⑥ 안이한 생활 태도에 따른 습성
5. 군사회복지사의 역할................................9
-군사회복지사의 대상과 업무-
6. 결론...............................................9
※ 참고자료...........................................10
※ 머리말.............................................1
1. 군사회복지의 내용..................................2
1). 군사회복지 정의와 기능
2). 군사회복지 의 목적
2. 군사회복지의 역사..................................3
3. 한국미국의 군사회복지 비교.........................4
4. 군사회복지사의 필요성..............................5
(1)사회적 측면
(2)가치관 측면
① 전통적 질서에 대한 반박 의식
② 개인적인 이기심이 만연
③ 부모의 역할 비중약화
④ 욕구 불만
⑤ 사회병리 현상
⑥ 안이한 생활 태도에 따른 습성
5. 군사회복지사의 역할................................9
-군사회복지사의 대상과 업무-
6. 결론...............................................9
※ 참고자료...........................................10
본문내용
인과 가족의 대인관계상 갈등과 폭력을 조절하고 이를 예방하는 서비스를 제공 및 복지정책의 필요성을 옹호하고 개발하는 일을 해야 한다. 또한 군인들의 전투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고 전투 이후의 회복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하여야 한다.
6. 결론
우리 군은 창군 이후 57년이란 연륜을 이어 오면서 군사력 면에서도 선진국가의 군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군 지휘부와 지취계통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권이 나 병영생활내의 악폐습에서 야기되는 사고 등을 포함한 장병의 복지적 측면만을 본다면 아직도 걸음마에 걸음 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국민들이 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부정적인 측면이 강한 것도 사살이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도 한 해에 27만 명의 젊은이들이 다녀가는 군이기에 이제는 꿈을 다지고 비전을 갖도록 한 개인의 인격이 보장된 가운데 불필요한 사고로 인해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젊은이들의 희생과 전과자 및 불구자가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그렇게 하여 군이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진정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조직으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변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노력은 창군 이래 많건 적건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군이 국민들은 물론 장병들에게 까지 사랑 받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을 목도 하고 있다. 국가에 대한 충성심만을 강요하면서 더 이상 방치 해 두기에는 한계에 직면할 수 밖 없고 또한 그러한 문제들이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다.
약간 늦은 감이 있지만 군사회복지사를 각 부대에 배치하여 개인의 인격을 보장하고 군대 내의 독버섯처럼 잔존하고 있는 악폐습을 제거하여 장병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군의 기본임무인 국가방위태세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국방부.2005. 「국방저널」. 국방부
국방정신교육권.1999.「군인성교육자료집」.국방정신교육원
김락중,1998.「신세대 지휘통솔기법」육사 화랑대 연구소
김명훈.정병윤.1996「심리학 개론」박영사
노현진.1995.“군대에서의 일탈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문만재.1996.“군대에서 구타에 관한인식”.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세철.1987.「인간.조직의 이론과 문제」.세경사
유흥위 2006.“ 군사회복지제도 도입의 대내.외적 환경과 추진방향” 2005년 한국사회복지정 책학회 준계학술대회 자료집pp 307-320
유흥위.2005.“사회복지발전을 위한 개로운 병영문화 추진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 과 박사학위논문
유흥위,2006 “한국과 미국의 군사회복지환경과 군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한국군사회복지학회 창립 포럼 자료집,pp51-66
육군본부.2005“신세대 장병들의 인성향상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육군본부.1889「신상파악과 지도」 육군인쇄창
이충희,2005“국가복지정책 방향에 따른 군복지 체계정립 필요성”, 군복지체계 개선 토론회 자료집
6. 결론
우리 군은 창군 이후 57년이란 연륜을 이어 오면서 군사력 면에서도 선진국가의 군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군 지휘부와 지취계통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권이 나 병영생활내의 악폐습에서 야기되는 사고 등을 포함한 장병의 복지적 측면만을 본다면 아직도 걸음마에 걸음 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국민들이 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부정적인 측면이 강한 것도 사살이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도 한 해에 27만 명의 젊은이들이 다녀가는 군이기에 이제는 꿈을 다지고 비전을 갖도록 한 개인의 인격이 보장된 가운데 불필요한 사고로 인해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젊은이들의 희생과 전과자 및 불구자가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그렇게 하여 군이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진정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조직으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변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노력은 창군 이래 많건 적건 지속적으로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군이 국민들은 물론 장병들에게 까지 사랑 받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을 목도 하고 있다. 국가에 대한 충성심만을 강요하면서 더 이상 방치 해 두기에는 한계에 직면할 수 밖 없고 또한 그러한 문제들이 각종 언론 매체를 통해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다.
약간 늦은 감이 있지만 군사회복지사를 각 부대에 배치하여 개인의 인격을 보장하고 군대 내의 독버섯처럼 잔존하고 있는 악폐습을 제거하여 장병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군의 기본임무인 국가방위태세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국방부.2005. 「국방저널」. 국방부
국방정신교육권.1999.「군인성교육자료집」.국방정신교육원
김락중,1998.「신세대 지휘통솔기법」육사 화랑대 연구소
김명훈.정병윤.1996「심리학 개론」박영사
노현진.1995.“군대에서의 일탈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문만재.1996.“군대에서 구타에 관한인식”.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세철.1987.「인간.조직의 이론과 문제」.세경사
유흥위 2006.“ 군사회복지제도 도입의 대내.외적 환경과 추진방향” 2005년 한국사회복지정 책학회 준계학술대회 자료집pp 307-320
유흥위.2005.“사회복지발전을 위한 개로운 병영문화 추진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사회복지학 과 박사학위논문
유흥위,2006 “한국과 미국의 군사회복지환경과 군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한국군사회복지학회 창립 포럼 자료집,pp51-66
육군본부.2005“신세대 장병들의 인성향상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육군본부.1889「신상파악과 지도」 육군인쇄창
이충희,2005“국가복지정책 방향에 따른 군복지 체계정립 필요성”, 군복지체계 개선 토론회 자료집
추천자료
가톨릭교회사회복지(천주교사회복지)의 원리와 가치, 가톨릭교회사회복지(천주교사회복지)의 ...
[가톨릭사회복지]가톨릭사회복지(천주교회사회복지)의 이념과 역사, 가톨릭사회복지(천주교회...
[가톨릭사회복지]가톨릭사회복지(천주교회사회복지)의 정의와 필요성, 가톨릭사회복지(천주교...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원리,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전개과...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개념, 천주교사회복지(가톨릭교회사회복지)의 원칙과 ...
사회복지학과 의료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의 기원,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사회복지법의 개념은 형식적 의미의 사회복지법과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으로 구분한다. ...
복지공급주체의 다원화와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행정체계의 변화에 대해 지역사회의 사회복...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와 정책의 결합으로 보는 입장과 사회복지정책의 국가정책의 차이점...
사회복지 환경변화(법, 제도, 의식 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갖...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기관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사회복지지관 중 ...
사회복지정책론)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중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사회...
현대사회의 여성복지(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장애여성과 노인여성에 대한 사회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