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도 혼자 차릴 수 있을 정도로 한국 문화를 습득해 나갔는데, 연구팀이 처음 집을 방문했을 때, 방문을 열며 한국어로“우리 이렇게 살아요”라며 인사할 정도로 한국 문화의 맥락을 파악해 나가기도 했다. 실제 J는 면접 도중 명절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자와의 대화 가운데“떡국 몇 그릇이나 먹었니?”라는 질문의 의미가 나이가 몇인지 묻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즐거워하기도 했다. 실제 자신이준비하는 고유한 명절 음식이 갖는 문화적 상징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7. 결혼 이민자 여성의 욕구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학회지15권 5호> 채옥희 2006
1) 남편에게 바라는점
이들 부인들의 남편에게 가장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내 마음을 알아 달라’였으며, 큰소리 치지 말아 달라, 약속을 잘 지켜 달라, 저녁에 일찍 들어오라, 술을 조금만 먹어라, 나를 믿어 달라, 대화를 많이 하자, 친정어머니가 영주했으면 좋겠다. 등의 욕구를 갖고 있다. 또한 한국남자들의 자신을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서 답답하고 속상하다고 하여 서로 다른 언어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한 욕구라고 보여 진다. 또 한국남성들은 표현도 잘 하지 않고 부인들에게 의견도 묻지 않는것을 문만 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다라서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이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는 가정생활의 다양한 국면에서 문제해결의 동기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결혼 혹은 동거 중인 부인들의 전반적인 결혼 만족도는 평균 74점정도로 한국의 일반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비교하여, 매우 만족하는 비율이 높다. 보건복지부,2005
는 보고가 있으며, 본 연구의 사례자중에는 남편이 외국인 여성과 잘살아보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한국남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사례는 남편이 알아서 모든 면에 배려해주어 부인의 남편에 대한만족이 높은 경우도 있었다. 국제 결혼을 한 남편들도 상당한 노력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 하고 싶은 것
한국말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2007.3 <가장 도움이 된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단위: %, 명)
이민자 조사
한국어 교육
한국 요리 강습
한국 문화 관련
컴퓨터 정보화 교육
취업
교육 훈련
가족 관계 상담
가정
폭력
상담
전체
(547)
55.6
31.6
26.9
25.0
21.4
8.6
2.9
성별ㆍ
거주지별
여성-도시
(395)
51.1
32.4
27.3
24.3
23.5
8.9
2.8
여성-농촌
(125)
70.4
32.8
26.4
24.0
16.0
8.0
4.0
성별ㆍ
출신국별
여성-조선족
(195)
23.6
34.9
24.1
37.4
28.7
9.2
4.1
여성-한족
(53)
56.6
28.3
34.0
17.0
28.3
9.4
0.0
여성-일본
(68)
67.6
35.3
27.9
26.5
20.6
4.4
2.9
여성-필리핀
(74)
82.4
29.7
36.5
12.2
6.8
12.2
2.7
여성-베트남
(95)
83.2
31.6
20.0
10.5
17.9
8.4
2.1
여성-기타
(35)
80.0
28.6
31.4
20.0
17.1
5.7
5.7
을 빨리 배우고 싶다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이었으나 배울 곳이 적절하게 없거나 너무 멀리 있어서 가기가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국제결혼부부 중96.3%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2007.3 <배우자와 대화 시 주 사용언어> (단위: %, 명)
이민자 조사
한국어
본국어
영어
거의 대화 하지 않음
전체
(1153)
96.3
5.8
5.5
1.2
성별
여성
(1044)
97.5
4.9
4.6
1.3
성별ㆍ
거주지별
여성-도시
(809)
97.2
5.4
4.3
1.6
여성-농촌
(235)
98.7
3.0
5.5
0.4
성별ㆍ
출신국별
여성-조선족
(492)
99.8
1.4
0.0
0.6
여성-한족
(108)
91.7
14.8
6.5
1.9
여성-베트남
(174)
97.1
2.9
1.1
4.6
여성-일본
(104)
94.2
15.4
1.0
0.0
여성-필리핀
(98)
98.0
1.0
31.6
0.0
여성-기타
(68)
95.6
8.8
10.3
1.5
가 대화 시 한국어를 쓰며, 필리핀부인은 3.16%가 영어와 한국어를 함께 쓰고 있으며, 베트남부인들은 4.6%정도가 부부간 대화가 거의 없다고 한다.
이와 같은 위의 여러 부분에서도 갈등과 문제의 가장 근저에는 언어장벽에 의한 의사소통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연구(강윤지 1999)에서도 결혼생활에서 어려운 점으로 지적한 것이 생활습성 언어장벽 등 문화적 차이(29.9%)였고 다음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27.2%)이었고 말씨나 음식솜씨에 대한 것도 지적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이 당장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것은 언어소통문제가 30.5% (양정화,2005)로 가장 많았고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할 기회없이 자연적으로 습득한 중간언어 상태가 화석화된 형태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안설희,2004)고 지적하고 있다. 그밖에 한국요리법을 배우고 싶고 취미활동도 하고 싶다고 하였으며, 다른 친족원의 간섭을 원하지 않 때문에 자립능력을 길러 분가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또는 취업을 하여 돈을 벌고 싶다고 하여 남편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취업을 하여 돈을 벌어 모국에 보내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8. 결혼 이민자 서비스 현황
(1) 김제이주여성센터
※활동소개
* 상 담 :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 고부갈등으로 인해 고통받는 외국인여성의 인권피해를 상담하며 피해자를 위한 심리치료 와 의료, 법률 지원을 실시합니다.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쉼 터 : 신체적, 정신적, 성적 피해를 입은 외국인여성, 임산부 등이 안정된 휴식과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합니다.
* 교육/문화 : 한국사회 적응과 통합, 한국어 때문에 겪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한글교육과
다채로운 문화행사, 수준별
7. 결혼 이민자 여성의 욕구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학회지15권 5호> 채옥희 2006
1) 남편에게 바라는점
이들 부인들의 남편에게 가장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내 마음을 알아 달라’였으며, 큰소리 치지 말아 달라, 약속을 잘 지켜 달라, 저녁에 일찍 들어오라, 술을 조금만 먹어라, 나를 믿어 달라, 대화를 많이 하자, 친정어머니가 영주했으면 좋겠다. 등의 욕구를 갖고 있다. 또한 한국남자들의 자신을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서 답답하고 속상하다고 하여 서로 다른 언어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한 욕구라고 보여 진다. 또 한국남성들은 표현도 잘 하지 않고 부인들에게 의견도 묻지 않는것을 문만 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다라서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이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는 가정생활의 다양한 국면에서 문제해결의 동기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결혼 혹은 동거 중인 부인들의 전반적인 결혼 만족도는 평균 74점정도로 한국의 일반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비교하여, 매우 만족하는 비율이 높다. 보건복지부,2005
는 보고가 있으며, 본 연구의 사례자중에는 남편이 외국인 여성과 잘살아보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한국남편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사례는 남편이 알아서 모든 면에 배려해주어 부인의 남편에 대한만족이 높은 경우도 있었다. 국제 결혼을 한 남편들도 상당한 노력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 하고 싶은 것
한국말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2007.3 <가장 도움이 된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단위: %, 명)
이민자 조사
한국어 교육
한국 요리 강습
한국 문화 관련
컴퓨터 정보화 교육
취업
교육 훈련
가족 관계 상담
가정
폭력
상담
전체
(547)
55.6
31.6
26.9
25.0
21.4
8.6
2.9
성별ㆍ
거주지별
여성-도시
(395)
51.1
32.4
27.3
24.3
23.5
8.9
2.8
여성-농촌
(125)
70.4
32.8
26.4
24.0
16.0
8.0
4.0
성별ㆍ
출신국별
여성-조선족
(195)
23.6
34.9
24.1
37.4
28.7
9.2
4.1
여성-한족
(53)
56.6
28.3
34.0
17.0
28.3
9.4
0.0
여성-일본
(68)
67.6
35.3
27.9
26.5
20.6
4.4
2.9
여성-필리핀
(74)
82.4
29.7
36.5
12.2
6.8
12.2
2.7
여성-베트남
(95)
83.2
31.6
20.0
10.5
17.9
8.4
2.1
여성-기타
(35)
80.0
28.6
31.4
20.0
17.1
5.7
5.7
을 빨리 배우고 싶다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이었으나 배울 곳이 적절하게 없거나 너무 멀리 있어서 가기가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국제결혼부부 중96.3%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2007.3 <배우자와 대화 시 주 사용언어> (단위: %, 명)
이민자 조사
한국어
본국어
영어
거의 대화 하지 않음
전체
(1153)
96.3
5.8
5.5
1.2
성별
여성
(1044)
97.5
4.9
4.6
1.3
성별ㆍ
거주지별
여성-도시
(809)
97.2
5.4
4.3
1.6
여성-농촌
(235)
98.7
3.0
5.5
0.4
성별ㆍ
출신국별
여성-조선족
(492)
99.8
1.4
0.0
0.6
여성-한족
(108)
91.7
14.8
6.5
1.9
여성-베트남
(174)
97.1
2.9
1.1
4.6
여성-일본
(104)
94.2
15.4
1.0
0.0
여성-필리핀
(98)
98.0
1.0
31.6
0.0
여성-기타
(68)
95.6
8.8
10.3
1.5
가 대화 시 한국어를 쓰며, 필리핀부인은 3.16%가 영어와 한국어를 함께 쓰고 있으며, 베트남부인들은 4.6%정도가 부부간 대화가 거의 없다고 한다.
이와 같은 위의 여러 부분에서도 갈등과 문제의 가장 근저에는 언어장벽에 의한 의사소통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연구(강윤지 1999)에서도 결혼생활에서 어려운 점으로 지적한 것이 생활습성 언어장벽 등 문화적 차이(29.9%)였고 다음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27.2%)이었고 말씨나 음식솜씨에 대한 것도 지적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이 당장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것은 언어소통문제가 30.5% (양정화,2005)로 가장 많았고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할 기회없이 자연적으로 습득한 중간언어 상태가 화석화된 형태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안설희,2004)고 지적하고 있다. 그밖에 한국요리법을 배우고 싶고 취미활동도 하고 싶다고 하였으며, 다른 친족원의 간섭을 원하지 않 때문에 자립능력을 길러 분가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또는 취업을 하여 돈을 벌고 싶다고 하여 남편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취업을 하여 돈을 벌어 모국에 보내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8. 결혼 이민자 서비스 현황
(1) 김제이주여성센터
※활동소개
* 상 담 :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 고부갈등으로 인해 고통받는 외국인여성의 인권피해를 상담하며 피해자를 위한 심리치료 와 의료, 법률 지원을 실시합니다.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상담
* 쉼 터 : 신체적, 정신적, 성적 피해를 입은 외국인여성, 임산부 등이 안정된 휴식과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합니다.
* 교육/문화 : 한국사회 적응과 통합, 한국어 때문에 겪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한글교육과
다채로운 문화행사, 수준별
추천자료
(결혼문화) 한국과 프랑스의 결혼문화 비교
연애와 결혼의 차이 및 결혼윤리
[결혼과 가족 레포트] 성공적인 결혼생활이란 무엇인가
[결혼과 가족관계] 기말고사 시험대비 요점정리(교재:결혼의 기술)
[결혼문화]한국의 전통혼례 및 아시아 각국의 결혼문화
아내가 결혼했다 독후감입니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결혼에대한 시각변...
결혼문화 실태, 결혼 준비과정, 준비비용, 외국과의 비교, 문제점, 문제의 원인, 문화적 요인...
[상류층결혼정보회사 노블레스 수현] 결혼정보회사의 현황과 비전.ppt
오늘날 결혼과 가족의 의미란 무엇인지 서술 (결혼과 가족)
국제결혼의 개념, 다문화 가족의 문제와 현재 복지정책 및 서비스 그리고 그들을 위한 복지대...
결혼에 대한 통념 중 각자에게 해당될 수 있는 통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 통념이 결혼생활...
결혼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성애자 결혼 합법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서술...
성공적인 결혼요소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위해 본인이 어떠한 노력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