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용 하면 안됨 (acetylcholine, 필로카르핀 (pilocarpine)
③ 합병증에 대한 치료
- 녹내장 치료시 astropine은 금기이나 포도막염 때문에 녹내장 때에는 astropine로 포도막염 치료후
안압 치료에 Diamox 사용
※ 포도막염 중 교감성 안염 ※
- 포도막에 천공서 외상을 받은 수일 수년 후에 발생
● 제일 위험한 기간 : 수술 후 4~8 주
● 포도막 색소에 의한 과민성 반응 , 육아성 특징 (양안성), 수정체 항원에 대한 자가 면역질환이 아님
- 산동제 : 홍채 후 유착 방지
- 재발시 면역 억제제제 사용
- 예방 : 심하게 손상된 안구 : 적출 ( 상처후 10일 이내 ), Steroid 점안
※ 베세트 병 (Behcet\'s disease) ※
- 재발 (악화)된 홍채염, 전체 포도막염 중 발생 빈도가 높은 안질환
- 구강, 생식기 검막의 작은 궤양
● 전방 축농 : 20~ 30 대 남성 심함
- 3~5년후 망막 거의 망가져 실명
※ Vogt-koyanaki -Harada 병 ※
- 육아종 전체 포도막염의 양상
● 뇌증상과 피부 백반, 백모, 탈모, 난청
※ 초자체 (유리체) ※
● 증상 ① 투명성 상실 - 혼탁 ② 중심 시력 저하 ③ 날파리증 (비문증) ④ 광시증 (섬광증)
※ 초자체 박리 ※
● 원인 : 노인성 변화 多, 근시, 당뇨, 포도막염, 외상 cf) 각막염이 원인이 아니다
- 기전 : 초자체 증상의 변성으로 액체가 유리체 후방으로 이동하여 유리체 막이 파괴되면 액화유리체가 유리 체막과 망막내 경계막 사이로 들어가 후유리체 박리를 일으킴
- 증상 : 광시증 (섬광증), 날파리증 (비문증), 급성
- 진단 : weiss ring 진단 : 시신경유두부의 가장 자리에 강하게 부착된 고리 모양의 섬유성 혼탁환이 유두전 면에 부유하는 것
- 합병증 : ① 망막 파열 ② 망막 박리 ③ 초자체 출혈 ④ 황반 부종
- 치료 : 초자체 박리는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으나 망막 열공, 망막 박리,유리체 출혈이 합병되면 그때 치료
※ 유리체 혼탁 ※
① 유리체 부유물 : 날파리증
② 유리체 출혈 :원인 ; 증식성 망막증, 중심망막 폐쇄, 망막 분지 폐쇄, 고혈압, 외상
③ 섬상 유리체증 : 유리체 내에 칼슘과 지방산의 화합물로 된 황백색 물질이 유리체 섬유에 붙어 안구를 움 직일 때 마다 이동하였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치료는 없음
④ 섬광성 유리체 몽해
- 40대 전에 양안에 발병
- 콜레스테롤 결정체가 무수히 떠다님 ( 액화되었기 때문에 안구 운동 정지시 가라 앉음)
- 치료는 없음
※ 망막 ※
● 영양 공급 : 망막의 내층 2/3 망막 중심 동맥
망막의 외층 1/3 맥락막 모세 혈관
- 중심와 맥락막 모세혈관
- 망막에는 지각 신경이 없으므로 손상 되더라도 동통은 없다.
※ 망막 질환의 안저 소견 ※
① 망막 혈관 장애
ⅰ) 혈관이 가늘어짐 ( 혈관경 형세 )
- 정상 : 망막 동맥과 정맥의 직경 = 2:3 =3:4
- 망막변성, 시신경위축 전반적으로 가늘어짐 (협세)
ⅱ) 반사성 변화
- 정상 : 혈주의 중앙에 감는 반사상이 관찰되는데 혈주폭의 1/5 차지
- 지방질이나 콜레스테롤이 침윤되면서 혈관은 점차 투명도를 잃고 반사선은 넓어지게 되어
구리 동선동맥 더 진행되면 은송 동맥으로 변화
ⅲ) 혈관초 형성 : 혈관벽 주위의 섬유성 조직이 형성되어 혈관 벽의 양측, 한쪽에 백색성이 나타남
ⅳ) 사해 : 혈관벽의 조직이 섬유 조직으로 대치 되면서 점차 길이와 직경이 증가되어 혈관이 꾸불꾸불해짐
ⅴ) 정맥확장 :정맥압이 증가 되거나 뚜렷이 안압이 저하 될 때 관찰됨,
망막 중심정맥 폐쇄, 당뇨망막병증, 저안압증
ⅵ) 박동
② 망막 출혈
- 원인 : 망막 혈관 조직의 장애나 전신 질환 ( 고혈압, 당뇨병, 백혈병, 다혈구증 )
ⅰ) 망막전 출혈 : 망막과 유리체 사이에서 생김
ⅱ) 선상 출혈 : 신경 섬유층
ⅲ) 점상 출혈 : 외망상층과 내과립층
③ 삼출물
ⅰ) 점상 삼출물 : 모세 혈관 손상으로 인한 부종의 소산물
황반성 : 황반에 중심와를 중심으로 황백색 반점이 방사선 모양으로 생길 때
ⅱ) 면화반 : 신경 섬유층의 허혈경색으로 인한 괴사
보이는곳 : 고혈압 망막 병증, 당뇨 망막병증, 유두 부종, 안구외상에서 볼 수 있음
④ 신생 혈관 :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
- 상이측 부위 혈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원인 : 혈관폐쇄, 염증, 당뇨병, 겸상적 혈구 빈혈, 일스병(Eales disease)
⑤ 미세혈관류 ( 소혈관류 ) : 모세혈관의 벽세포의 감소, 크기 20~200
※ 순환 장애 ※
① 망막 동맥 폐쇄 ( 망막 중심 동맥 폐쇄 )
- 2시간 이상 초과시 실명 초래되므로 따라서 2시간 이내 수술
- 원인 : 색전, 혈절, 소동맥 경화
- 특징 : 직접 동공 반응은 없음, 간접 동공 반응은 정상
- 급작스런 무통의 시력 장애 (급성)
● 앵두 반점 ( cherry-red spot ) : 중심와는 망막의 두께가 얇아서 색소 상피와 맥락막의 붉은색이 비침
- 치료 : 전방 천자- 안압을 급격히 저하, 안구 마사지- 혈점이나 색점을 강한 마사지로 혈과 말초로 이동
② 망막 정맥 폐쇄
- 사상판 부근이나 동정맥 교차점에서 정맥이 폐쇄
- 원인 : 고혈압, 당뇨병, 동맥 경화
ⅰ) 망막 중심 정맥 폐쇄
- 관련된 전신 질환 : 고혈압, 당뇨
- 사상판 주위의 정맥 폐쇄
- 통증 없이 시력 소실
- 망막의 후극부에 더 심함
- 합병증 : 홍채의 혈관 신생은 홍채 앞 융착을 유발하여 예후가 불량한 신생혈관 녹내장일으킴
홍채 신생 혈관 홍채 전 유착 신생 혈관성 녹내장
- 치료 : 대부분 저절로 회복, 출혈성인 경우 광응고술, 항응고제
ⅱ) 망막 분지 정맥 폐쇄
- 원인 : 고혈압, 당뇨병, 혈액 질환
- 폐쇄 부위 : 상이측 망막 분지 정맥
- 소견 : 출혈, 면화반, 미세 혈관류, 망막 부종
- 황반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에 예후는 양호하여 시력 회복 ( 황반 침범 시 : 영구한 시력손실 초래 )
- 치료 : 광응고술, steroid
ⅲ) 망막 정맥 주위염 ( Eale\'s disease )
- 20~ 30대
③ 합병증에 대한 치료
- 녹내장 치료시 astropine은 금기이나 포도막염 때문에 녹내장 때에는 astropine로 포도막염 치료후
안압 치료에 Diamox 사용
※ 포도막염 중 교감성 안염 ※
- 포도막에 천공서 외상을 받은 수일 수년 후에 발생
● 제일 위험한 기간 : 수술 후 4~8 주
● 포도막 색소에 의한 과민성 반응 , 육아성 특징 (양안성), 수정체 항원에 대한 자가 면역질환이 아님
- 산동제 : 홍채 후 유착 방지
- 재발시 면역 억제제제 사용
- 예방 : 심하게 손상된 안구 : 적출 ( 상처후 10일 이내 ), Steroid 점안
※ 베세트 병 (Behcet\'s disease) ※
- 재발 (악화)된 홍채염, 전체 포도막염 중 발생 빈도가 높은 안질환
- 구강, 생식기 검막의 작은 궤양
● 전방 축농 : 20~ 30 대 남성 심함
- 3~5년후 망막 거의 망가져 실명
※ Vogt-koyanaki -Harada 병 ※
- 육아종 전체 포도막염의 양상
● 뇌증상과 피부 백반, 백모, 탈모, 난청
※ 초자체 (유리체) ※
● 증상 ① 투명성 상실 - 혼탁 ② 중심 시력 저하 ③ 날파리증 (비문증) ④ 광시증 (섬광증)
※ 초자체 박리 ※
● 원인 : 노인성 변화 多, 근시, 당뇨, 포도막염, 외상 cf) 각막염이 원인이 아니다
- 기전 : 초자체 증상의 변성으로 액체가 유리체 후방으로 이동하여 유리체 막이 파괴되면 액화유리체가 유리 체막과 망막내 경계막 사이로 들어가 후유리체 박리를 일으킴
- 증상 : 광시증 (섬광증), 날파리증 (비문증), 급성
- 진단 : weiss ring 진단 : 시신경유두부의 가장 자리에 강하게 부착된 고리 모양의 섬유성 혼탁환이 유두전 면에 부유하는 것
- 합병증 : ① 망막 파열 ② 망막 박리 ③ 초자체 출혈 ④ 황반 부종
- 치료 : 초자체 박리는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으나 망막 열공, 망막 박리,유리체 출혈이 합병되면 그때 치료
※ 유리체 혼탁 ※
① 유리체 부유물 : 날파리증
② 유리체 출혈 :원인 ; 증식성 망막증, 중심망막 폐쇄, 망막 분지 폐쇄, 고혈압, 외상
③ 섬상 유리체증 : 유리체 내에 칼슘과 지방산의 화합물로 된 황백색 물질이 유리체 섬유에 붙어 안구를 움 직일 때 마다 이동하였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치료는 없음
④ 섬광성 유리체 몽해
- 40대 전에 양안에 발병
- 콜레스테롤 결정체가 무수히 떠다님 ( 액화되었기 때문에 안구 운동 정지시 가라 앉음)
- 치료는 없음
※ 망막 ※
● 영양 공급 : 망막의 내층 2/3 망막 중심 동맥
망막의 외층 1/3 맥락막 모세 혈관
- 중심와 맥락막 모세혈관
- 망막에는 지각 신경이 없으므로 손상 되더라도 동통은 없다.
※ 망막 질환의 안저 소견 ※
① 망막 혈관 장애
ⅰ) 혈관이 가늘어짐 ( 혈관경 형세 )
- 정상 : 망막 동맥과 정맥의 직경 = 2:3 =3:4
- 망막변성, 시신경위축 전반적으로 가늘어짐 (협세)
ⅱ) 반사성 변화
- 정상 : 혈주의 중앙에 감는 반사상이 관찰되는데 혈주폭의 1/5 차지
- 지방질이나 콜레스테롤이 침윤되면서 혈관은 점차 투명도를 잃고 반사선은 넓어지게 되어
구리 동선동맥 더 진행되면 은송 동맥으로 변화
ⅲ) 혈관초 형성 : 혈관벽 주위의 섬유성 조직이 형성되어 혈관 벽의 양측, 한쪽에 백색성이 나타남
ⅳ) 사해 : 혈관벽의 조직이 섬유 조직으로 대치 되면서 점차 길이와 직경이 증가되어 혈관이 꾸불꾸불해짐
ⅴ) 정맥확장 :정맥압이 증가 되거나 뚜렷이 안압이 저하 될 때 관찰됨,
망막 중심정맥 폐쇄, 당뇨망막병증, 저안압증
ⅵ) 박동
② 망막 출혈
- 원인 : 망막 혈관 조직의 장애나 전신 질환 ( 고혈압, 당뇨병, 백혈병, 다혈구증 )
ⅰ) 망막전 출혈 : 망막과 유리체 사이에서 생김
ⅱ) 선상 출혈 : 신경 섬유층
ⅲ) 점상 출혈 : 외망상층과 내과립층
③ 삼출물
ⅰ) 점상 삼출물 : 모세 혈관 손상으로 인한 부종의 소산물
황반성 : 황반에 중심와를 중심으로 황백색 반점이 방사선 모양으로 생길 때
ⅱ) 면화반 : 신경 섬유층의 허혈경색으로 인한 괴사
보이는곳 : 고혈압 망막 병증, 당뇨 망막병증, 유두 부종, 안구외상에서 볼 수 있음
④ 신생 혈관 :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
- 상이측 부위 혈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원인 : 혈관폐쇄, 염증, 당뇨병, 겸상적 혈구 빈혈, 일스병(Eales disease)
⑤ 미세혈관류 ( 소혈관류 ) : 모세혈관의 벽세포의 감소, 크기 20~200
※ 순환 장애 ※
① 망막 동맥 폐쇄 ( 망막 중심 동맥 폐쇄 )
- 2시간 이상 초과시 실명 초래되므로 따라서 2시간 이내 수술
- 원인 : 색전, 혈절, 소동맥 경화
- 특징 : 직접 동공 반응은 없음, 간접 동공 반응은 정상
- 급작스런 무통의 시력 장애 (급성)
● 앵두 반점 ( cherry-red spot ) : 중심와는 망막의 두께가 얇아서 색소 상피와 맥락막의 붉은색이 비침
- 치료 : 전방 천자- 안압을 급격히 저하, 안구 마사지- 혈점이나 색점을 강한 마사지로 혈과 말초로 이동
② 망막 정맥 폐쇄
- 사상판 부근이나 동정맥 교차점에서 정맥이 폐쇄
- 원인 : 고혈압, 당뇨병, 동맥 경화
ⅰ) 망막 중심 정맥 폐쇄
- 관련된 전신 질환 : 고혈압, 당뇨
- 사상판 주위의 정맥 폐쇄
- 통증 없이 시력 소실
- 망막의 후극부에 더 심함
- 합병증 : 홍채의 혈관 신생은 홍채 앞 융착을 유발하여 예후가 불량한 신생혈관 녹내장일으킴
홍채 신생 혈관 홍채 전 유착 신생 혈관성 녹내장
- 치료 : 대부분 저절로 회복, 출혈성인 경우 광응고술, 항응고제
ⅱ) 망막 분지 정맥 폐쇄
- 원인 : 고혈압, 당뇨병, 혈액 질환
- 폐쇄 부위 : 상이측 망막 분지 정맥
- 소견 : 출혈, 면화반, 미세 혈관류, 망막 부종
- 황반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에 예후는 양호하여 시력 회복 ( 황반 침범 시 : 영구한 시력손실 초래 )
- 치료 : 광응고술, steroid
ⅲ) 망막 정맥 주위염 ( Eale\'s disease )
- 20~ 30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