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법학] 물리 교수 ․ 학습 과정안 (5-1)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범/법학] 물리 교수 ․ 학습 과정안 (5-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의 개관

2. 단원의 학습 계열

3. 단원의 학습목표

4. 단원의 지도 계획

5.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6. 단원의 학습 평가

7. 아동의 실태 조사

8. 교재 연구

9. 본시 학습의 실제

본문내용

한극으로 돌아간다고 하기보다 전지의 양쪽 극에서 뭔가 흘러 나와 전구에서 부딪치기 때문에 불이 들어온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크므로 전류가 한 극에서 나와 다른 한 극으로 흐른다는 것을 중점 두어 지도한다.
하. 자리 학습 시에 자유롭고 허용된 분위기를 조성하되, 소란스러워지지 않도록 지도 한다.
영역
평 가 관 점
시 기
방 법
탐구
능력
영역
주어진 전기회로를 전기 회로도로 올바르게 나타내는가?
학습중
결과물
전기회로도를 보고 불이 켜지는 회로도를 바르게 예상하는가?
학습중
‘실험관찰’
학습지
전기 회로도를 보고 전기 회로를 올바르게 만드는가?
학습중
결과물
2개의 전구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고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가?
학습중
관찰
전기 회로를 포함한 장난감을 만들 수 있는가?
학습중
학습후
관찰
장난감의 움직임에 적절한 전기 회로 연결 방법을 이용하여 장난감을 연결할 수 있는가?
학습중
관찰
6. 단원의 학습 평가
과학 지식
영역
여러 가지 전기 부품의 기호를 알고 사용할 수 있는가?
학습중
‘실험관찰’
학습지
닫힌회로의 성립조건을 이해하고 있는가?
학습중
결과물
2개의 전구를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면 불의 밝기가 달라짐을 이해하고 있는가?
학습후
활동지, 학습지 검토
직렬과 병렬연결에서 전류가 흐르는 길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학습후
활동지, 학습지 검토
ㆍ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이 사용되는 곳을 예를 들어 장단점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가?
학습후
활동지, 학습지 검토, 면담
과학태도 영역
전기부품 기호의 편리함을 알고 사용하려는 태도를 가지는가?
학습중
관찰
장난감 만들기와 연결을 독창적이고 정교하게 수행하는가?
학습중
관찰
전기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중요한 에너지임을 알고 절약하려는 태도를 가지는가?
학습중
관찰
7. 아동의 실태 조사
( 10.17 대구부설초등학교 5학년 1반. N = 32)
가. 건전지, 전기회로에 관한 조사
구분
조 사 항 목
문 항
인원
응답률
(%)
개념조사
(설문법)
1) 전기회로의 꼬마전구에 불이 켜지면 전류는 흐르는가?
흐른다.
32
100.0
흐르지 않는다.
0
0.0
2)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를 때 (+)극에서 나온 전류는 (-)극으로 흘러들어 가는가?
흘러들어 간다.
꼬마전구에서 닳아 없어진다.
25
7
78.1
21.9
[조사 결과]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선수학습 성취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몇몇 학생들에게는 심각한 오개념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 꼬마전구에 불이 들어올 때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은 0명으로 나타나 ‘전구에 불켜기’ 활동을 통해 전구에 불이 켜지면 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올바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양극에서 나온 전류가 음극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순환모형이 78.1%에 이르고 있으나 꼬마전구의 불을 밝히는데 전류가 소모된다고 생각하는 소모성 모형이 7명(21.9%)이나 있었다.
나. 본 단원과 관련된 아동이 갖고 있는 전류에 관한 개념 유형
전류에 관한 개념 유형
단일극 모형: 전지의 한 쪽 극에만 전선이 연결되어도 전류가 흐른다는 생각
충돌 전류 모형: 전지의 양극에서 전기가 나와 충돌하여 전구에 불이 켜진다는 생각
보존되지 않는 순환 모형(소모성 유형): 전기가 전선을 순환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지만 일단 전구에 불이 켜지면 전기가 소모된다는 생각
보존되는 순환 모형: 과학적 전류 모형
분배 모형: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전구들은 회로 상의 연결 상태와 상관없이 전체 전류가 각 전구에 똑같이 나눠지기 때문에 각 전구의 밝기가 항상 같다고 생각
순차적 흐름 모형: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항상 +극에서 -극으로 흐르며 결코 거슬러 작용할
수 없다고 생각
ㆍ일정 전류 모형: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회로가 어떻게 구성되었든지 상관없이 같은 전지이면 항상 같은 양의 전류가 회로에 흐른다고 생각
대부분의 학생들이 충돌 전류 모형이나 보존되지 않는 순환 모형(소모성 유형)을 갖고 있으며, 단일극 모형이나 보존되는 순환 모형을 갖고 있는 학생들은 소수이다. 즉,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학생들이 간단한 전기회로에 관한 개념 이해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은 사용되는 전구의 구조 때문이다. 아동에게 전기회로를 가르치기 위해서 전지, 전구, 전선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전기회로를 사용하는데, 이 때 전구 소켓에 끼우기 위해서 전구의 꼭지쇠에 나사 선이 있는 전구를 사용한다. 그런데, 나사선이 있는 전구의 구조를 이해해야 이러한 전구로 이루어진 간단한 전기회로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전구를 이용해 간단한 전기회로를 가르치기 전에 학생들에게 전구의 구조를 먼저 가르쳐야 할 것이다.
다. 간단한 전기회로에 관한 학생들의 개념
ㆍ다음 7개의 간단한 전기회로 그림을 보고 전구에 불이 켜질지 예상하고 이유를 설명 해 보세요.
1번 문항의 정답률이 83.8%로 가장 높았으며, 7번 문항이 76.0%, 5번 문항이 63.5%의 순으로 나타났다. 6번과 3번 문항이 32.9%와 44.9%로 정답률이 50%가 넘지 않았다. 예상 문제 일곱 문항에 대한 전체 정답률은 60.5%였으며, 이유 진술과 상관없이 옳은 예상은 1점, 그른 예상은 0점을 부여했을 때, 예상 문제 평균은 7점 만점에 4.2점으로 나타났다.
① 83.8%의 학생이 불이 켜진다고 옳게 예상했는데, 이는 전지의 +극에 전구가 세워졌고 전지의 -극과 전선이 연결된 형태로 정답률이 가장 높았다. 다른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과 응답 이유를 비교해 보았을 때 많은 학생들이 1번 문항과 같은 형태를 전지 1개, 전구 1개, 전선 1개를 이용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게 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번 문항에 불이 켜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11.2%의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살펴보면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구가 전지의 -극에 닿아야 불이 켜지는데 전지의 +극에 닿아서 불이 켜지지 않는다는 응답이 있었고, 전선이 전구의 꼭지에 닿아야 하는데 전구의 꼭지쇠에 닿아서 불이 켜지지 않는다는 응답이 있었다. 1번 문항에서 전구에 불이 켜지지 않ㄷ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살펴보면 다
  • 가격2,6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3.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