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분석 - 김삿갓,노자,영조,루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물 분석 - 김삿갓,노자,영조,루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김삿갓의 생애
김삿갓의 업적
김삿갓의 사상
김삿갓에 대한 평가

노자, 영조, 루소 동일함

본문내용

어느 집 문 앞에서 하룻밤 재워주기를 청하자, 그 집주인은 문을 닫아걸고 땔감이 없어 못 재워준다고 했다. 이때 그의 입에서 튀어나온 시가 이러했다.
邑名開城何閉城(읍명개성하폐성)
山名松岳豈無薪(산명송악기무신) : 어찌 기 땔나무 신
고을 이름은 개성인데 어찌 문을 닫아걸며
산 이름은 송악인데 어찌 땔감이 없다 하느냐
김삿갓에 대한 평가 : 김삿갓은 우리에가 방랑시인이라고 알려져있다. 솔직히 나는 김삿갓이 삿갓을 쓰고다녀서 김삿갓이라고 불리는 것을 알았지만 왜 김삿갓이 방랑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시인이 되었는지 어떤시를 썼는지는 하나도 아는게 없었다. 그러나 김삿갓에 대해 조사하면서 김삿갓은 할아버지의 죄 때문에 목숨이 위험한 상황이 있었다는것, 그리고 충분히 벼슬길에 오를 능력이 있으면서도 자신이 역적의 자손이며 조상에게 용서 받지 못할 죄를 지었다면서 스스로 벼슬길을 포기하고 방랑생활을 했다는 것에대애 할게 되었다.
김삿갓의 방랑생활에 대한 평가를 하자면 긍정적인 면에서는, 자신이 역적의 자손이며, 할아버지를 모욕한 죄인이라는 자책감 때무에 방랑생활을 한 것은 그가 택할 수 있는 최선책일지 모른다. 그리고 다른 사람이었다면 자신이 모르고 한 행동이라며 뻔뻔하게 살아갈 수 있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면에서 김삿갓의 방랑생활은 자신에 대한 속죄를 한다는 의미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 부정적인 면에서는, 김삿갓이 방랑생활을하는 이유는 나름대로 있었지만 방랑생활 보다 더 나은 대안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할아버지는 비록 여적이라도 자신은 자신의 능력을 국가에 공헌하는 방법도 있었을것이다. 그리고 김삿갓이 방랑생활을 함으로 홀어머니는 김삿갓에 대한 걱정으로 하루라도 편하게 생활하지 못했을것이다. 이러한점에서 김삿갓의 방랑생활은 긍정적이라고만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르고 한 실수와, 자신이 역적의 자손이라는 것에 대해 속죄한다고 방랑생활을 한 것은 성공을 위해 물,불 안가리는 요즘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동을 한번정도 뒤돌아 볼 수 있게해주는 인물인거는 확실하다는 생각이든다.
* 노자 : 중국 고대의 철학자, 도가의 창시자
주요 저서 : 도덕경
노자의 생애 : 노자는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신원이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생애에 대한 정보원은 사마천이쓴 ‘사기’의 노자천이다. 그러나 BC100년경에 ‘사기’를 저술한 이 역사가도 노자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했다. ‘사기’에 따르면 노자는 최나라 고현 여양 곡인리 (지금의 허난성) 루이 현 사람으로 주나라 수장실의 사관이었다. 사관은 오늘날 ‘역사가’를 의미하지만, 고대 중국에서는 천문, 점성, 성전을 전담하는 학자였다. 사마천은 노자의 벼슬에 대해 언급하고 난 뒤, 늙은 노자와 젊은 공자의 유명한 만남에 대해 말했다. 이 만남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 이 만남은 다른 문헌에서도 언급되어 있으나 일관성이 없고 모순되는 점이 많아 단지 전설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진다. 노자와 공자가 만났을 때 노자는 공자의 오만과 야망을 질책했고, 공자는 그로부터 깊은 감명을 받아 그를 구름과 바람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용에 비유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 못지않게 유명한 전설은 노자가 서쪽으로 사라진 이야기다. 그는 주나라가 쇠망해 가는 것을 보고는 주나라를 떠나 진나라로 들어가는 길목인 함곡관에 이르렀다. 관문지기 윤희가 노자에게 책을 하나 써 달라고 간청했다. 이에 노자는 5000언으로 이루어진 상편, 하편의 저서를 남겼는데, 도와 덕의 뜻을 말한 ‘도덕경’이다. 그리고 나서 노자는 그곳을 훌쩍 떠났고, “아무도 그 뒤 그가 어떻게

키워드

노자,   김삿갓,   루소,   영조,   인물,   도교,   도덕경,   에밀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1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