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본론
1) 악장의 정의
2) 악장의 정착과 형성
3) 악장의 변천과정
4) 악장의 갈래
5) 악장의 특징
3. 결론
참고문헌
별첨자료 - 회례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원문과 해석
2. 본론
1) 악장의 정의
2) 악장의 정착과 형성
3) 악장의 변천과정
4) 악장의 갈래
5) 악장의 특징
3. 결론
참고문헌
별첨자료 - 회례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원문과 해석
본문내용
부 시가는 전에 볼 수 없었던 작품세계를 뚜렷하게 구현하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도 계속 존중될 본보기를 풍성하게 이룩했다.
<<참고문헌>>
김학성.권두환,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조규익, <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95
성호주, <한국시가연구>, 제일문화사, 199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6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정병욱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간행위원회, <한국고전시가작품론2>, 집문당, 1995
* 회례악장 별참자료
御經筵 謂參贊官 權孟孫曰 去秋禮曹議定會禮樂章 一曰受寶 二曰覲天庭 三曰荷皇恩 四曰聖澤 五曰抛毬樂 六曰牙拍 七曰舞鼓夢金尺受明命 太祖太宗之樂章也 今皆不列於樂府 夢金尺受寶 太宗嘗以爲夢中之事 圖讖之說 不宜歌頌 河崙固請之以受寶 序於樂府 夢金尺則未嘗登歌…(中略)…上曰若以荷皇恩不可發 則受明命當序於樂府也
―경연에 잡시어 참찬관 권맹손에게 일러 말씀하시길, 작년 가을 예조에서 회례악장을 의논하여 정했는데, ⓛ수보록/②근천정/③하황은/④성택/⑤포구락/⑥아박/⑦무고몽금척수명명 등으로 태조 태종의 악장이다 지금은 모두 악부에 들지 못한다. 몽금척과 수보록에 대하여 태종이 일찍이 말씀하시길. “꿈 속의 일이고 도참의 설이니 가송으로 하는 것이 마땅치 않다.“고 하셨다. 그런데 하륜이 굳이 청하여 수보록만은 악부의 반열에 넣었으나 몽금척은 일찍이 등가(登歌)된 적이 없다. …중략…임금께서 말씀하시길, 만약 하황은을 폐할 수 없다고 한다면 수명명도 마땅히 악부에 넣어야 된다.“고 하셨다.
이 기록에 의하면 악부는 악장과 같은 의미이면서도 ‘현재 쓰인다‘는시간성과 함께 그와 연관되는 실용성여부를 중시한 명칭인 듯하다. 인용문에 제시된 바 ‘<수보록>~<수명명>‘등이 악부에 올랐느냐 오르지 못했느냐의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모두 악장임에는 틀림없다. 일반적으로 음영구송(吟詠口誦)하는 데 불과한 시에 비해 음악이 반주되는 가곡이 악부이므로 악장에 악곡이 첨부되어야 비로소 악부라고 불렸던 같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조선초기에는 악곡이 첨부되지 아니한 악장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하고, 실제 사용 여부가 결정된 뒤에 비로소 악곡이 부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악장은 고정되었으나 거기에 맞추어 쓰이는 음악은 다양하였다. 예컨대 인용문가운데 회례(會禮)악장 중의 ②<근천정>은 五雲開단조와 금전락령등 여러 곡에 올려 쓰이기도 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악장 창작당시에 반드시 곡조까지 만들어 올린 것은 아니고 지어 올린가사를 필요에 따라 악곡에 올려 불렀던 듯하다.
*용비어천가 별참자료
훈민정음이 창제된 세종 25년보다 2년 뒤이며 반포한 해인 28년보다 1년 전인 세종 27년 4월에 완료된 조선 초기의 최고의 작품이다. 송가와 성격을 같이하고 있으나 창작 동기와 목적은 다른 시가와 다르다. 여민락이라 했으며『세종실록』끝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선을 건국한 육조의 사적(史蹟)을 찬양하고 후대 왕에게 왕업의 수호를 권계(勸誡)한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 건국의 송축가(頌祝歌)이며 일종의 영웅 서사시이다.
° 저자 : 권제, 정인지, 안지 등
° 창작 동기
<표면적 동기>
① 건국 합리화 : 역성혁명(易姓革命)이 천명임을 밝혀 민심을 귀순하게 함.
② 후대 왕에 대한 권계 : 후대 왕들에 대해 경천근민(敬天勤民)의 자세를 권계하며
선왕의 귀감을 보임.
③ 훈민정음의 시험 :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증명하고 존엄성과 권위를 부여함.
<이면적 동기>
① 이씨의 등극이 단순한 무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천명에 의한 것임을 알리기 위함.
→ 용비어천가의 내용을 살펴보면 4자 4행 체의 한시를 첨부했는데, 첫 행은 중국 역대 왕들의 사적을 서술하고 둘째 행은 이씨 조종의 사적을 서술해서 역사성을 받으려고 했다. 이런 서술은 3~100장까지 계속되는데 그중 중국 역대 왕들의 사적과 이씨 조종의 사적을 병기한 장은 100장이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조는 일개의 무사가 무력으로 고려를 무너뜨린 것이 아니라 천명과 대덕으로 조선조를 세웠다는 것을 주지시키려고 한데 용비어천가 창작 동기와 목적이 있었을 것이다.
° 국문학 상의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장편 영웅 서사시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고어 풍부, 표기법 엄정)
⑤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 구성 ; 내용상 3단으로 나눌 수 있음.
1단 : 1장으로 서사.
2단 : 2~109장으로 개국의 원대함과 왕업의 지난함을 노래.
3단 : 110~125장은 2단의 노래 뜻을 반복해 세손으로 하여금 귀감이 되게 함.
° 내용 (1장, 2장, 4장, 48장, 67장, 128장)
1장 ㅡ 개국송(해동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ㆍ풀이 : 우리나라에 여섯 성인이 웅비하시어, (하시는)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린 복이시니
(이것은) 중국 고대의 여러 성군(聖君)이 하신 일과 부절을 맞춘 것처럼 일치하십니 다.
ㆍ주제 : 조선 창업의 정당성
2장 ㅡ 서사(근심장)
블휘 기픈 남 매 아니뮐쌔 곶됴코 여름 하니
미 기픈 므른 매 아니그츨쌔 내히 이러 바래 가니
ㆍ풀이 :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아니하므로, 꽃이 찬란하게 피고 열매가 많 습니다. 원천이 깊은 물은 가뭄에도 끊이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로 흘러갑 니다.
ㆍ주제 : 조선 왕조의 운명
ㆍ표현 : 대구법, 은유법
ㆍ‘불휘 기픈 남간’은 국기(國基)가 튼튼함을, \'새미 기픈 므른\'은 유서가 깊음을 비유하였고, \'곶 됴코 여름 하나니\'는 문화가 융성함을, \'내히 이러 바라래 가나니\'는 무궁한 발전을 비유하여 조선 창업이 정당하며 왕조의 운명이 영원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편 이 장은 고유어로만 쓰였고, 중국 고사가 전혀 없으며, 비유가 돋보여 용비어천가 125장 중에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장
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
<<참고문헌>>
김학성.권두환,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조규익, <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95
성호주, <한국시가연구>, 제일문화사, 199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6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정병욱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간행위원회, <한국고전시가작품론2>, 집문당, 1995
* 회례악장 별참자료
御經筵 謂參贊官 權孟孫曰 去秋禮曹議定會禮樂章 一曰受寶 二曰覲天庭 三曰荷皇恩 四曰聖澤 五曰抛毬樂 六曰牙拍 七曰舞鼓夢金尺受明命 太祖太宗之樂章也 今皆不列於樂府 夢金尺受寶 太宗嘗以爲夢中之事 圖讖之說 不宜歌頌 河崙固請之以受寶 序於樂府 夢金尺則未嘗登歌…(中略)…上曰若以荷皇恩不可發 則受明命當序於樂府也
―경연에 잡시어 참찬관 권맹손에게 일러 말씀하시길, 작년 가을 예조에서 회례악장을 의논하여 정했는데, ⓛ수보록/②근천정/③하황은/④성택/⑤포구락/⑥아박/⑦무고몽금척수명명 등으로 태조 태종의 악장이다 지금은 모두 악부에 들지 못한다. 몽금척과 수보록에 대하여 태종이 일찍이 말씀하시길. “꿈 속의 일이고 도참의 설이니 가송으로 하는 것이 마땅치 않다.“고 하셨다. 그런데 하륜이 굳이 청하여 수보록만은 악부의 반열에 넣었으나 몽금척은 일찍이 등가(登歌)된 적이 없다. …중략…임금께서 말씀하시길, 만약 하황은을 폐할 수 없다고 한다면 수명명도 마땅히 악부에 넣어야 된다.“고 하셨다.
이 기록에 의하면 악부는 악장과 같은 의미이면서도 ‘현재 쓰인다‘는시간성과 함께 그와 연관되는 실용성여부를 중시한 명칭인 듯하다. 인용문에 제시된 바 ‘<수보록>~<수명명>‘등이 악부에 올랐느냐 오르지 못했느냐의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모두 악장임에는 틀림없다. 일반적으로 음영구송(吟詠口誦)하는 데 불과한 시에 비해 음악이 반주되는 가곡이 악부이므로 악장에 악곡이 첨부되어야 비로소 악부라고 불렸던 같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조선초기에는 악곡이 첨부되지 아니한 악장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하고, 실제 사용 여부가 결정된 뒤에 비로소 악곡이 부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악장은 고정되었으나 거기에 맞추어 쓰이는 음악은 다양하였다. 예컨대 인용문가운데 회례(會禮)악장 중의 ②<근천정>은 五雲開단조와 금전락령등 여러 곡에 올려 쓰이기도 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악장 창작당시에 반드시 곡조까지 만들어 올린 것은 아니고 지어 올린가사를 필요에 따라 악곡에 올려 불렀던 듯하다.
*용비어천가 별참자료
훈민정음이 창제된 세종 25년보다 2년 뒤이며 반포한 해인 28년보다 1년 전인 세종 27년 4월에 완료된 조선 초기의 최고의 작품이다. 송가와 성격을 같이하고 있으나 창작 동기와 목적은 다른 시가와 다르다. 여민락이라 했으며『세종실록』끝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선을 건국한 육조의 사적(史蹟)을 찬양하고 후대 왕에게 왕업의 수호를 권계(勸誡)한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 건국의 송축가(頌祝歌)이며 일종의 영웅 서사시이다.
° 저자 : 권제, 정인지, 안지 등
° 창작 동기
<표면적 동기>
① 건국 합리화 : 역성혁명(易姓革命)이 천명임을 밝혀 민심을 귀순하게 함.
② 후대 왕에 대한 권계 : 후대 왕들에 대해 경천근민(敬天勤民)의 자세를 권계하며
선왕의 귀감을 보임.
③ 훈민정음의 시험 :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증명하고 존엄성과 권위를 부여함.
<이면적 동기>
① 이씨의 등극이 단순한 무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천명에 의한 것임을 알리기 위함.
→ 용비어천가의 내용을 살펴보면 4자 4행 체의 한시를 첨부했는데, 첫 행은 중국 역대 왕들의 사적을 서술하고 둘째 행은 이씨 조종의 사적을 서술해서 역사성을 받으려고 했다. 이런 서술은 3~100장까지 계속되는데 그중 중국 역대 왕들의 사적과 이씨 조종의 사적을 병기한 장은 100장이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조는 일개의 무사가 무력으로 고려를 무너뜨린 것이 아니라 천명과 대덕으로 조선조를 세웠다는 것을 주지시키려고 한데 용비어천가 창작 동기와 목적이 있었을 것이다.
° 국문학 상의 의의
①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②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장편 영웅 서사시
③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④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고어 풍부, 표기법 엄정)
⑤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 구성 ; 내용상 3단으로 나눌 수 있음.
1단 : 1장으로 서사.
2단 : 2~109장으로 개국의 원대함과 왕업의 지난함을 노래.
3단 : 110~125장은 2단의 노래 뜻을 반복해 세손으로 하여금 귀감이 되게 함.
° 내용 (1장, 2장, 4장, 48장, 67장, 128장)
1장 ㅡ 개국송(해동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ㆍ풀이 : 우리나라에 여섯 성인이 웅비하시어, (하시는)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린 복이시니
(이것은) 중국 고대의 여러 성군(聖君)이 하신 일과 부절을 맞춘 것처럼 일치하십니 다.
ㆍ주제 : 조선 창업의 정당성
2장 ㅡ 서사(근심장)
블휘 기픈 남 매 아니뮐쌔 곶됴코 여름 하니
미 기픈 므른 매 아니그츨쌔 내히 이러 바래 가니
ㆍ풀이 :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아니하므로, 꽃이 찬란하게 피고 열매가 많 습니다. 원천이 깊은 물은 가뭄에도 끊이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로 흘러갑 니다.
ㆍ주제 : 조선 왕조의 운명
ㆍ표현 : 대구법, 은유법
ㆍ‘불휘 기픈 남간’은 국기(國基)가 튼튼함을, \'새미 기픈 므른\'은 유서가 깊음을 비유하였고, \'곶 됴코 여름 하나니\'는 문화가 융성함을, \'내히 이러 바라래 가나니\'는 무궁한 발전을 비유하여 조선 창업이 정당하며 왕조의 운명이 영원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편 이 장은 고유어로만 쓰였고, 중국 고사가 전혀 없으며, 비유가 돋보여 용비어천가 125장 중에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장
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중국고전문학탐색의 시험문제를 올립니다.
고전문학을 소재로한 콘텐츠작품 (바리데기)
고전문학을 콘텐츠작품으로 만들기(춘향전을 영화로)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 공방전(孔方傳) : 돈의 폐해? 정치세태?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