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가사의 정의
- 가사의 명칭, 개념
3. 가사의 기원과 장르
4. 가사의 역사적 흐름
(1) 제1기- 고려말엽~조선조 성종조
(2) 제2기- 성종조 후~임진왜란 전
(3) 제3기(변모기)- 임진왜란 이후~숙종조 전
(4) 제4기- 숙종 조~개화기 전엽
(5) 제5기- 개화기 이후~광복 전
5.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 상춘곡
2)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 속미인곡
3) 유교적인 이념과 도덕
4) 명승지와 유적지 기행 - 관서별곡
5) 현실문제와 비판 - 용사음
6) 역사와 古實
(2) 서민 가사
1)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 덴동어미 화전가
2) 기존관념에의 도전과 인간 본능의 추구
3) 연정 및 신세한탄
4) 인생무상과 醉樂
5) 서민적인 소박한 꿈과 소망
(3) 규방 가사
1) 여성 교훈적인 가사 - 계녀가
2) 생활 체험적인 가사
(4) 종교 가사
(5) 계화 가사
6. 가사의 형식
(1) 음보율에 의한 파악
(2) 음수율에 의한 파악
(3) 종결형식에 의한 파악
7. 맺음말
■ 참고문헌
2. 가사의 정의
- 가사의 명칭, 개념
3. 가사의 기원과 장르
4. 가사의 역사적 흐름
(1) 제1기- 고려말엽~조선조 성종조
(2) 제2기- 성종조 후~임진왜란 전
(3) 제3기(변모기)- 임진왜란 이후~숙종조 전
(4) 제4기- 숙종 조~개화기 전엽
(5) 제5기- 개화기 이후~광복 전
5.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 상춘곡
2) 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 속미인곡
3) 유교적인 이념과 도덕
4) 명승지와 유적지 기행 - 관서별곡
5) 현실문제와 비판 - 용사음
6) 역사와 古實
(2) 서민 가사
1) 현실적 모순의 폭로와 비판 - 덴동어미 화전가
2) 기존관념에의 도전과 인간 본능의 추구
3) 연정 및 신세한탄
4) 인생무상과 醉樂
5) 서민적인 소박한 꿈과 소망
(3) 규방 가사
1) 여성 교훈적인 가사 - 계녀가
2) 생활 체험적인 가사
(4) 종교 가사
(5) 계화 가사
6. 가사의 형식
(1) 음보율에 의한 파악
(2) 음수율에 의한 파악
(3) 종결형식에 의한 파악
7.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시기의 가사는 형식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노계 가사에는 2음보를 기저율격으로 하는 6음보 1행이 많이 쓰였는데 이는 일정한 형식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서민의식의 반영이라 하겠다.
ㅇ전쟁의 비참함- 박인로<태평사><선상탄>, 채득기<봉산곡>
ㅇ위정자들에 대한 비판- 최현<용사음>
ㅇ생활고- 박인로<누항사>, 정훈<우활가><탄궁가>
ㅇ폭정과 부패 비판- 정훈<성주중흥가>, 허전<고공가>, 이원익<고공답주인가>
ㅇ강호가사-고응척<도산가>, 박인로<사제곡><소유정가><노계가>, 윤이후<일민가>,
ㅇ연군가사- 조우인<자도사>
ㅇ유배가사- 송주석<북관곡>
ㅇ기행가사- 조우인<출새곡><관동속별곡>, 이현<백상루별곡>, 박권<서정별곡>
(4) 제4기- 숙종 조~개화기 전엽
이 시기에는 서민가사와 규방가사가 등장하고 천주교가사가 나타나는 등 가사문학의 작자와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었다. 서민가사는 유, 불의 기존이념을 파괴하면서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숨김없이 노래하였고 천주교 가사는 주로 포교에 사용되었다. 숙종조 전에는 가사가 주로 가창되었기 때문에 길이가 100句 정도로 3.4조 또는 2.4조가 우세했으나 이 시기에는 가사가 대개 음영되면서 4.4조가 우세하게 되었고 길이도 길어졌다.
ㅇ규방가사- <선반가><봉선화가><규원가><쌍벽가><부여노정기>
ㅇ천주교가사-정약전<십계명가>, 이벽<천주공경가>, 이가환<경세가>, 최도마<사향가>
ㅇ강호가사-남도진<낙은별곡>, 박이화<낭호신사>, 조성신<개암가>
ㅇ유교이념-이기경<심진곡>, 권섭<도통가>
ㅇ기행가사-김인겸 <일동장유가>,이용 <북정가>, 박순우<금강별곡>, 정재문<화양별곡>
ㅇ연군가사-김춘택<별사미인곡>, 이진유<속사미인곡>
ㅇ유배가사-안조환<만언사>, 김진형<북천가>
(5) 제5기- 개화기 이후~광복 전
만민 평등사상과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고취 등 소위 개화사상을 담고 있는 동학가사가 처음 창작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개화와 구국을 주장하는 가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동학가사 112편은 최제우, 김주희 등에 의하여 주로 지어졌는데 일제 때에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천도교의 포교와 서민들의 교화에 이바지 하였다. 개화가사는 자주독립과 개화사상을 고취하기도 하고 무비판적인 신문화 수용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광복을 맞이하면서 현대시의 창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반면에 가사의 작자층과 향유층은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쇠퇴하고 말았다.
5.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조선조 가사와 함께 주류를 이룬 시조의 경우, 주관적인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였으나 형식상 제한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산문적인 시대정신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에 비해 가사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 조선조의 독특한 환경 속에서 우리 민족의 고유의 性情과 산문적인 시대정신을 담아내기에 가장 효과적인 갈래였다. 따라서 가사에는 인간이 겪은 삶의 모습과 이념이 다양하게 담겨있다. 그러면 가사를 몇 가지 갈래로 나누어서 각 갈래에 따라 그 내용과 해당하는 작품을 살펴보기로 한다.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양반 사대부들은 이기철학에 심취되어 모든 인사, 접물에 도를 기본으로 하여 왕도정치를 추구하였고 정치에서 이루지 못한 유교적 이상을 자연과의 융화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여 이른바 江湖歌道를 형성하였다. 특히 江湖之樂을 읊은 가사는 歸去來型 文人과 隱求型 文人으로 나뉘는데 귀거래형 문인은 일시적으로 정치에 참여한 후 평소 잊지 못하던 자연에 귀의한 부류이고 은구형 문인은 出仕를 포기하고 자연에 은거하여 내면적 성찰을 통해 자기완성을 추구한 사람들을 이른다. 이들은 강호에 거닐면서 한정을 노래하거나 안빈낙도를 토로하였다.
▷ 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엇그제 겨을 지나 새봄이 도라오니,
桃花杏花(도화행화) 夕陽裏(석양리)예 퓌여 잇고,
綠楊芳草(녹양방초) 細雨中(세우중)에 프르도다.
칼로 아 낸가, 붓으로 그려 낸가,
造化神功(조화 신공)이 物物(물물)마다 헌다.
→ 초기 가사의 대표적 작품인 <상춘곡>의 일부분이다. 이 작품은 지은이가 벼슬을 사임하고, 향리인 전라도 태인으로 돌아가 만년을 지내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풍류와 안빈낙도의 정신을 노래한 작품이다. 서사-본사-결사의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서사에서는 명리를 떠나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을 표현하고 있고, 본사에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과 흥취를 노래하고 있다. 결사에서는 이런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부귀공명을 떠나 안빈낙도(安貧樂道)하면서 평생을 살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작품의 배경에는 유교적인 청빈사상(淸貧思想)과 작가의 낙천적인 인생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작품은 송순의 <면앙정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것이 다시 송강 정철의 ‘성산별곡’, ‘관동별곡’으로 이어져 강호한정가사의 맥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2)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정치적 패배로 권력에서 밀려나거나 유배를 가게 된 사대부들이 재야에 머물거나 유배지에서 권력에의 회귀를 도모하면서 쓴 글로 戀君歌辭 와 流配歌辭로 나뉜다.
연군가사는 주로 임금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사랑하는 님에 대한 연정으로 비유하여 기술하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반성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자신의 죄는 조금도 없고 오로지 반대파들의 참소 때문이라고 극구 변명하여 정계에 복귀하고자 하는 강력한 기원을 표출하고 있다. 반면 유배가사는 유배지에서 겪은 괴로움이나 생활상을 호소하고 유배 도중이나 귀양지 주변의 경치를 찬미하면서 임금을 둘러싼 간신들의 발호를 걱정하는 등 우국지정을 통하여 다시 임금의 곁으로 나아가 충신의 도리를 다하겠다는 권력 지향적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 정철의 <속미인곡>
모첨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청등은 눌 위야 갓고.
오며 리며 헤뜨며 바자니니
져근덧 역진야 픗을 잠간 드니
정성이 지극야 꿈의 님을 보니
옥 얼구리 반이나마 늘거셰라.
의 머근 말 슬쟝 쟈 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 며
정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오뎐된 계성의 은 엇디 깨돗던고.
어와 허사로다 이 님이 어대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을 열고 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 뿐이로다.
하리
ㅇ전쟁의 비참함- 박인로<태평사><선상탄>, 채득기<봉산곡>
ㅇ위정자들에 대한 비판- 최현<용사음>
ㅇ생활고- 박인로<누항사>, 정훈<우활가><탄궁가>
ㅇ폭정과 부패 비판- 정훈<성주중흥가>, 허전<고공가>, 이원익<고공답주인가>
ㅇ강호가사-고응척<도산가>, 박인로<사제곡><소유정가><노계가>, 윤이후<일민가>,
ㅇ연군가사- 조우인<자도사>
ㅇ유배가사- 송주석<북관곡>
ㅇ기행가사- 조우인<출새곡><관동속별곡>, 이현<백상루별곡>, 박권<서정별곡>
(4) 제4기- 숙종 조~개화기 전엽
이 시기에는 서민가사와 규방가사가 등장하고 천주교가사가 나타나는 등 가사문학의 작자와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었다. 서민가사는 유, 불의 기존이념을 파괴하면서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숨김없이 노래하였고 천주교 가사는 주로 포교에 사용되었다. 숙종조 전에는 가사가 주로 가창되었기 때문에 길이가 100句 정도로 3.4조 또는 2.4조가 우세했으나 이 시기에는 가사가 대개 음영되면서 4.4조가 우세하게 되었고 길이도 길어졌다.
ㅇ규방가사- <선반가><봉선화가><규원가><쌍벽가><부여노정기>
ㅇ천주교가사-정약전<십계명가>, 이벽<천주공경가>, 이가환<경세가>, 최도마<사향가>
ㅇ강호가사-남도진<낙은별곡>, 박이화<낭호신사>, 조성신<개암가>
ㅇ유교이념-이기경<심진곡>, 권섭<도통가>
ㅇ기행가사-김인겸 <일동장유가>,이용 <북정가>, 박순우<금강별곡>, 정재문<화양별곡>
ㅇ연군가사-김춘택<별사미인곡>, 이진유<속사미인곡>
ㅇ유배가사-안조환<만언사>, 김진형<북천가>
(5) 제5기- 개화기 이후~광복 전
만민 평등사상과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고취 등 소위 개화사상을 담고 있는 동학가사가 처음 창작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개화와 구국을 주장하는 가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동학가사 112편은 최제우, 김주희 등에 의하여 주로 지어졌는데 일제 때에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천도교의 포교와 서민들의 교화에 이바지 하였다. 개화가사는 자주독립과 개화사상을 고취하기도 하고 무비판적인 신문화 수용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광복을 맞이하면서 현대시의 창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반면에 가사의 작자층과 향유층은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쇠퇴하고 말았다.
5. 가사의 유형별 분류 및 작품소개
조선조 가사와 함께 주류를 이룬 시조의 경우, 주관적인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였으나 형식상 제한된 길이를 가지고 있어 산문적인 시대정신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에 비해 가사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 조선조의 독특한 환경 속에서 우리 민족의 고유의 性情과 산문적인 시대정신을 담아내기에 가장 효과적인 갈래였다. 따라서 가사에는 인간이 겪은 삶의 모습과 이념이 다양하게 담겨있다. 그러면 가사를 몇 가지 갈래로 나누어서 각 갈래에 따라 그 내용과 해당하는 작품을 살펴보기로 한다.
(1) 사대부가사
1) 강호생활의 즐거움
양반 사대부들은 이기철학에 심취되어 모든 인사, 접물에 도를 기본으로 하여 왕도정치를 추구하였고 정치에서 이루지 못한 유교적 이상을 자연과의 융화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여 이른바 江湖歌道를 형성하였다. 특히 江湖之樂을 읊은 가사는 歸去來型 文人과 隱求型 文人으로 나뉘는데 귀거래형 문인은 일시적으로 정치에 참여한 후 평소 잊지 못하던 자연에 귀의한 부류이고 은구형 문인은 出仕를 포기하고 자연에 은거하여 내면적 성찰을 통해 자기완성을 추구한 사람들을 이른다. 이들은 강호에 거닐면서 한정을 노래하거나 안빈낙도를 토로하였다.
▷ 정극인의 <상춘곡(賞春曲)>
엇그제 겨을 지나 새봄이 도라오니,
桃花杏花(도화행화) 夕陽裏(석양리)예 퓌여 잇고,
綠楊芳草(녹양방초) 細雨中(세우중)에 프르도다.
칼로 아 낸가, 붓으로 그려 낸가,
造化神功(조화 신공)이 物物(물물)마다 헌다.
→ 초기 가사의 대표적 작품인 <상춘곡>의 일부분이다. 이 작품은 지은이가 벼슬을 사임하고, 향리인 전라도 태인으로 돌아가 만년을 지내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풍류와 안빈낙도의 정신을 노래한 작품이다. 서사-본사-결사의 구성으로 되어있는데, 서사에서는 명리를 떠나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을 표현하고 있고, 본사에서는 봄의 아름다운 풍경과 흥취를 노래하고 있다. 결사에서는 이런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부귀공명을 떠나 안빈낙도(安貧樂道)하면서 평생을 살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작품의 배경에는 유교적인 청빈사상(淸貧思想)과 작가의 낙천적인 인생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작품은 송순의 <면앙정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것이 다시 송강 정철의 ‘성산별곡’, ‘관동별곡’으로 이어져 강호한정가사의 맥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2)정치적 패배와 회귀의지
정치적 패배로 권력에서 밀려나거나 유배를 가게 된 사대부들이 재야에 머물거나 유배지에서 권력에의 회귀를 도모하면서 쓴 글로 戀君歌辭 와 流配歌辭로 나뉜다.
연군가사는 주로 임금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사랑하는 님에 대한 연정으로 비유하여 기술하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반성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자신의 죄는 조금도 없고 오로지 반대파들의 참소 때문이라고 극구 변명하여 정계에 복귀하고자 하는 강력한 기원을 표출하고 있다. 반면 유배가사는 유배지에서 겪은 괴로움이나 생활상을 호소하고 유배 도중이나 귀양지 주변의 경치를 찬미하면서 임금을 둘러싼 간신들의 발호를 걱정하는 등 우국지정을 통하여 다시 임금의 곁으로 나아가 충신의 도리를 다하겠다는 권력 지향적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 정철의 <속미인곡>
모첨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청등은 눌 위야 갓고.
오며 리며 헤뜨며 바자니니
져근덧 역진야 픗을 잠간 드니
정성이 지극야 꿈의 님을 보니
옥 얼구리 반이나마 늘거셰라.
의 머근 말 슬쟝 쟈 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 며
정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오뎐된 계성의 은 엇디 깨돗던고.
어와 허사로다 이 님이 어대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을 열고 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 뿐이로다.
하리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고전문학] 우화소설과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변동
[고전문학] 설공찬전 연구
[고전문학] 연명설화의 운명관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금오신화 - 용궁부연록 연구사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중국고전문학탐색의 시험문제를 올립니다.
[고전문학] 공방전(孔方傳) : 돈의 폐해? 정치세태?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고전문학] 특정 장르, 작가의 행적이 지닌 의미와 역할
[고전문학감상] 명월부인전(박씨전) - 박씨전이 넘은 한계와 넘지 못한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