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분합을 설정할 때는 반드시 \'새로운 값으로 대치\' 항목을 해제하여야 한다. 중첩 부분합은 역순으로 행해져야 한다.
3) 정렬, 부분합, 피벗테이블 작성시 필드명은 영역으로 선택하지만,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에 있는 합계셀은 영역으로 선택하지 않는다.
4)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 보고서를 동시에 만드는 경우
: 피벗 테이블 마법사 1단계에서 \'보고서 데이터 종류\'를 \'피벗 차트(피벗 테이블과 함께)\'로 지정한다.
5) 피벗 테이블에 계산 필드를 삽입하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단축 메뉴에서 \'수식→계산 필드\'를 선택한다.
6) 사용자 정의 함수를 작성할 때는 Visual Basic Editor를 열은 후, 먼저 \'삽입→모듈\'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말 것.
7) 목표값 찾기 문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말고,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는 것이 편하다.
8) 주어진 차트에 새로운 데이터 계열을 추가하는 방법
(1) 데이터 계열을 선택한 후 마우스 포인터가 화살표 방향으로 바뀔 때, 차트 영역을 끌어다 놓는다.
(2) 데이터 계열을 선택한 다음 Ctrl+C 키를 눌러 복사한 다음, 차트 영역을 클릭한 후 Ctrl+V 키를 눌러 붙여 넣기 한다. (이 방법이 좀 더 편하다.)
9) 데이터 통합 기능을 이용할 때는 먼저 통합된 데이터가 위치할 셀에 셀포인터를 이동시켜 놓아야 하며, 특정 행이나 열만 나오게 데이터가 통합되도록 하려면 행과 열의 레이블을 미리 입력시킨 후 영역으로 선택한 다음 통합 기능을 실행하여야 한다. 통합된 결과가 이상하게 나왔을 때는 영역 선택을 잘못 지정하였거나, \'사용할 레이블\' 체크 박스에 \'첫 행\'과 \'왼쪽 열\' 설정을 잘못 하였는지 살펴본다.
10) 수식을 복사해서 다른 셀에 입력했을 때 오류가 생겼다면 상대주소의 변경을 유심히 살펴본다.
11) 영역을 미리 선택한 다음 배열 수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절대주소로 변환할 필요가 없다.
12) 도구 메뉴 : 목표값 찾기, 시나리오, 매크로
데이터 메뉴 : 정렬, 필터, 부분합, 피벗 테이블,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13) 폼에 관한 설정을 하기 전에 먼저 \'보기→프로젝트 탐색기\' 메뉴를 선택해 \'프로젝트 탐색기\'가 나타나도록 한다.
14) 고급 필터 사용시 결과가 이상하게 나오면 조건식에 \'공백문자\'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함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드명을 원본 데이터와 다르게 하였는지 확인해 본다.
15) 도구 모음에 새로운 아이콘을 추가하려면 \'도구→사용자 정의\' 메뉴를 선택한다.
16) 워크시트로 텍스트 파일을 가져오려면 \'데이터→외부 데이터 가져오기→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한다.
17) 셀에 입력된 데이터가 셀 너비에 비해 너무 커서 ‘######’와 같이 표시될 때, 해당 셀이 위치한 열의 열이름(A, B, C 등)의 경계선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입력된 데이터에 맞게 셀 너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에러의 발생 원인>
1) #NAME
(1) 함수의 이름(NAME)을 잘못 입력하였다.
2) #VALUE
(1) 배열 수식을 입력한 후 Ctrl+Shift+Enter를 누르지 않았다.
(2) 잘못된 인수를 사용하였다.
<시험볼 때 유의사항>
1) 시험을 볼 때에는 오타가 나는 것과 불필요한 공백 문자가 삽입되는 것에 대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 문제의 조건을 잘못 읽어서 실수하면 전체 문제를 잘못 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3) 시험장에 가면 키보드가 자신이 사용하는 것과 많이 다를 수 있고, 마우스가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4) 함수 문제에서 사용할 함수가 지정된 경우, 주어진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푼다.
액세스 정리
<액세스 개념 정리>
1) 필드 : 자료 구성 단위의 한 항목
레코드 : 필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자료 처리의 단위
2) 테이블 : 레코드의 집합으로 데이터가 저장된 형태
쿼리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가공된 형태
※ 테이블이나 쿼리는 \'폼\'이나 \'보고서\'에서 원본 데이터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3) 폼(Form) : 테이블이나 쿼리의 내용을 원본으로 해서 자료의 입력, 수정, 삭제, 조회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개체
4) 바운드 열 : 여러 개의 열 중에 해당 콘트롤의 값으로 저장될 열
(\'1\'이 입력되면 콘트롤 값으로 첫 번째 열이 저장되고, \'2\'가 입력되면 두 번째 열이 저장된다.)
<단축키>
Ctrl+화살표키 : 선택된 콘트롤의 위치 조절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편하다.)
Shift+화살표키 : 선택된 콘트롤의 크기 조절
Ctrl+Enter : 메시지 상자에서 두 줄 이상의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마스크>
1) 필드에 입력할 모든 데이터 유형을 정의한다.
2) 필수 요소와 선택요소
(1) 필수요소 : 데이터를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0 :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0은 \'숫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는 \'문자\'이다.)
L : A에서 Z까지 영문자를 입력한다. (Letter)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가능하다. (L은 \'문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도 \'문자\'이다.)
A : 숫자나 영문자를 입력한다. (All=숫자+영문자)
(2) 선택요소 : 데이터를 반드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9 : 해당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공백을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9은 \'숫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는 \'문자\'이다.)
# : 해당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공백을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가능하다. (L은 \'문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도 \'문자\'이다.)
? : A에서 Z까지 영문자를 입력한다.
a : 숫자나 영문자를 입력한다. (all=숫자+영문자)
암기요령) 0은 최초이므로 필수이고, 9는 마지막이므로 선택이다.
A는 대문자이므로 필수이고, a는 소문자이므로 선택이다.
0, 9, #은 전화기 버튼에 있는 문자이므로, 숫자만 입력이 가능하다.
영예(0L)는 나에게 필수적이다. : 0과 L은 \'필수요소\'이다.
축구공 →
3) 정렬, 부분합, 피벗테이블 작성시 필드명은 영역으로 선택하지만, 데이터 영역의 마지막에 있는 합계셀은 영역으로 선택하지 않는다.
4)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 보고서를 동시에 만드는 경우
: 피벗 테이블 마법사 1단계에서 \'보고서 데이터 종류\'를 \'피벗 차트(피벗 테이블과 함께)\'로 지정한다.
5) 피벗 테이블에 계산 필드를 삽입하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단축 메뉴에서 \'수식→계산 필드\'를 선택한다.
6) 사용자 정의 함수를 작성할 때는 Visual Basic Editor를 열은 후, 먼저 \'삽입→모듈\'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말 것.
7) 목표값 찾기 문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말고,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는 것이 편하다.
8) 주어진 차트에 새로운 데이터 계열을 추가하는 방법
(1) 데이터 계열을 선택한 후 마우스 포인터가 화살표 방향으로 바뀔 때, 차트 영역을 끌어다 놓는다.
(2) 데이터 계열을 선택한 다음 Ctrl+C 키를 눌러 복사한 다음, 차트 영역을 클릭한 후 Ctrl+V 키를 눌러 붙여 넣기 한다. (이 방법이 좀 더 편하다.)
9) 데이터 통합 기능을 이용할 때는 먼저 통합된 데이터가 위치할 셀에 셀포인터를 이동시켜 놓아야 하며, 특정 행이나 열만 나오게 데이터가 통합되도록 하려면 행과 열의 레이블을 미리 입력시킨 후 영역으로 선택한 다음 통합 기능을 실행하여야 한다. 통합된 결과가 이상하게 나왔을 때는 영역 선택을 잘못 지정하였거나, \'사용할 레이블\' 체크 박스에 \'첫 행\'과 \'왼쪽 열\' 설정을 잘못 하였는지 살펴본다.
10) 수식을 복사해서 다른 셀에 입력했을 때 오류가 생겼다면 상대주소의 변경을 유심히 살펴본다.
11) 영역을 미리 선택한 다음 배열 수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절대주소로 변환할 필요가 없다.
12) 도구 메뉴 : 목표값 찾기, 시나리오, 매크로
데이터 메뉴 : 정렬, 필터, 부분합, 피벗 테이블,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13) 폼에 관한 설정을 하기 전에 먼저 \'보기→프로젝트 탐색기\' 메뉴를 선택해 \'프로젝트 탐색기\'가 나타나도록 한다.
14) 고급 필터 사용시 결과가 이상하게 나오면 조건식에 \'공백문자\'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함수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드명을 원본 데이터와 다르게 하였는지 확인해 본다.
15) 도구 모음에 새로운 아이콘을 추가하려면 \'도구→사용자 정의\' 메뉴를 선택한다.
16) 워크시트로 텍스트 파일을 가져오려면 \'데이터→외부 데이터 가져오기→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한다.
17) 셀에 입력된 데이터가 셀 너비에 비해 너무 커서 ‘######’와 같이 표시될 때, 해당 셀이 위치한 열의 열이름(A, B, C 등)의 경계선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입력된 데이터에 맞게 셀 너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에러의 발생 원인>
1) #NAME
(1) 함수의 이름(NAME)을 잘못 입력하였다.
2) #VALUE
(1) 배열 수식을 입력한 후 Ctrl+Shift+Enter를 누르지 않았다.
(2) 잘못된 인수를 사용하였다.
<시험볼 때 유의사항>
1) 시험을 볼 때에는 오타가 나는 것과 불필요한 공백 문자가 삽입되는 것에 대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2) 문제의 조건을 잘못 읽어서 실수하면 전체 문제를 잘못 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3) 시험장에 가면 키보드가 자신이 사용하는 것과 많이 다를 수 있고, 마우스가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4) 함수 문제에서 사용할 함수가 지정된 경우, 주어진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푼다.
액세스 정리
<액세스 개념 정리>
1) 필드 : 자료 구성 단위의 한 항목
레코드 : 필드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자료 처리의 단위
2) 테이블 : 레코드의 집합으로 데이터가 저장된 형태
쿼리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불러와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가공된 형태
※ 테이블이나 쿼리는 \'폼\'이나 \'보고서\'에서 원본 데이터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3) 폼(Form) : 테이블이나 쿼리의 내용을 원본으로 해서 자료의 입력, 수정, 삭제, 조회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개체
4) 바운드 열 : 여러 개의 열 중에 해당 콘트롤의 값으로 저장될 열
(\'1\'이 입력되면 콘트롤 값으로 첫 번째 열이 저장되고, \'2\'가 입력되면 두 번째 열이 저장된다.)
<단축키>
Ctrl+화살표키 : 선택된 콘트롤의 위치 조절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편하다.)
Shift+화살표키 : 선택된 콘트롤의 크기 조절
Ctrl+Enter : 메시지 상자에서 두 줄 이상의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마스크>
1) 필드에 입력할 모든 데이터 유형을 정의한다.
2) 필수 요소와 선택요소
(1) 필수요소 : 데이터를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0 :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0은 \'숫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는 \'문자\'이다.)
L : A에서 Z까지 영문자를 입력한다. (Letter)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가능하다. (L은 \'문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도 \'문자\'이다.)
A : 숫자나 영문자를 입력한다. (All=숫자+영문자)
(2) 선택요소 : 데이터를 반드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9 : 해당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공백을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9은 \'숫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는 \'문자\'이다.)
# : 해당 자리에 숫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공백을 입력할 수 있다.
덧셈/뺄셈 기호의 사용은 가능하다. (L은 \'문자\'이고, 덧셈/뺄셈 기호도 \'문자\'이다.)
? : A에서 Z까지 영문자를 입력한다.
a : 숫자나 영문자를 입력한다. (all=숫자+영문자)
암기요령) 0은 최초이므로 필수이고, 9는 마지막이므로 선택이다.
A는 대문자이므로 필수이고, a는 소문자이므로 선택이다.
0, 9, #은 전화기 버튼에 있는 문자이므로, 숫자만 입력이 가능하다.
영예(0L)는 나에게 필수적이다. : 0과 L은 \'필수요소\'이다.
축구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