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2. 심혈관계
12.1 심장 해부
1) 심장은 가슴 세로 칸 안에 양쪽 폐 사이의 흉강에 위치한다.
2) 심장은 속이 비어있고 옥수수모양의 근육기관으로 주먹크기만하다.
3) 심장은 기울어져 있으며 바닥면은 오른쪽 어깨쪽을 향하고 심첨끝은 왼쪽 엉덩이 쪽을
향한다.
펌프로서 심장은 혈액을 폐와 전신으로 보내고 4가지의 기능을 한다.
(1) 산소가 부족한 혈액과 산소가 풍푸한 혈액을 분리.
(2) 심장에서 혈구가 나갔다가 각 순환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것과 같이 혈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지.
(3) 순환을 통해 혈액이 움직이는 원동력인 혈압을 생성함.
(4) 현재 신체에서 요구 되는 것을 근거로 규칙적으로 혈액을 공급함.
심장의 막과 벽
1) 심장은 심장막이라 불리는 2개의 중요한 막으로 덮여져 있다.
2) 한 층은 심장막으로 심장벽의 한 면을 구성하고, 심장외막의 형태로 심장의 바깥표면에
있다.
3) 심장근육층- 심장벽 중 가장 두껍고 심장 근육으로 구성된다.
4) 심장내막- 단순편평상피로 구성됨. (내막은 심장뿐 아니라 혈관에도 연속되어 있다.)
5) 심장막액- 심박동시 마찰을 줄여준다. 섬유성 심장막은 심장바닥면의 큰혈관에 연결된
혈관섬유성 결합 조직의 층이고 심장을 가슴세로칸의 벽에 연결해준다.
6) 심장의 층- 감염, 외상, 암, 수술합병증 때문에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심방 - 4개의 빈 방으로 구성 되어있고 심장근육의 두께는 기능에 맞추어 달라진다.
심방의 벽은 얇아 인접한 심실로 혈액을 보내기 용이하다.
심실의 벽은 두꺼워 혈관으로 혈액을 펌프질 하여 혈액이 이동하기 용의하다.
1) 우심방- 뒤쪽벽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상대정맥, 심장정맥굴, 하대정맥으로 받음.
정맥은 우심방에서 방실판막을 통해 좌심실로 흐른다.
방실판막은 심장의 다른 판막처럼 혈액의 역류를 예방.
심장의 오른쪽에 있는 방실판은 세 개의 잔모양의 부분을 가져서 삼첨판막이라 한다.
2) 우심실- 삼첨판막의 잔 모양의 부분과 섬유끈으로 연결되어 잇고 힘줄끈이라 부른다.
힘줄끈은 심장근육의 원뿔 모양으로 확장된 꼭지근과 연결되어있다.
혈액흐름: 혈액-> 우심실-> 반달판막-> 허파동맥 으로 들어간다.
3) 좌심방- 뒤쪽 벽에 위치한 좌심방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네 개의 허파정맥으로부터
받는다. 두개의 허파정맥은 좌우의 폐로부터 온다. 혈액은 방실판막을 통해
좌심방에서 좌심방으로 흐른다. 방실판막은 두개의 잔 때문에 이첨판이라 한다.
4) 좌심실- 심장의 꼭대기의 형태이다. 좌심실 강은 타원형이고 우심실은 초승달 모양이다.
유두근은 매우 크고 힘줄끈은 방실판막에 붙어있어 우심실의 힘줄끈 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혈액흐름: 반달판막-> 대동맥으로 들어온다.
반달판막을 대동맥판막이라하고 폐동맥판막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심장판막의 역할
1) 방실판막- 열여져 있지만 심실이 수축하여 혈압이 방실판막에 작용하면 닫힌다.
2) 유두근 수축- 힘줄끈이 팽팽해지고 판막을 당겨서 심장을 당겨서 심방으로 다시 돌아
오는 것을 예방한다.
3) 반달판막(반월판)- 닫혀져 있고 심실이 수축하면 열린다. 심실이 이완되면 후방에서
동맥안에 있는 혈액이 밀어서 판막은 닫힌다.
4) 류마티스열, 박테리아 감염 등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기도 한다.
관상혈의 순환
(1) 관상동맥 순환 장애
1) 심장질환- 동맥벽의 퇴행성 질환인 죽상동맥경화증과 관련됨.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부드러운 지방 덩어리가 동맥벽에 쌓이게 된다.
이것이 계속 진행되면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돌출 구조인 판을 형성한다.
2) 허혈성 심질환- 관상동맥이 죽상동맥 경화증에 의해 막히는 것.
심장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된다 해도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혈액 공급의 이상이 생긴다.
3) 협심증- 왼족팔에서 방사통을 동반한 흉통이 나타나는 것.
4) 혈전색전증- 색전이 관상동맥을 막고 심장의 일부가 산소부족으로 죽어가면서
심장 발작을 일으킨다.
5) 심근경색- 죽은 심장조직은 경색으로 불리며 이러한 심장발작을 말한다.
6) 예방-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막는 한 가지 방법은 아스피린을 먹는 것이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끈기를 감소시켜 혈괴가 형성될 가능성을 낮춘다.
장기간 복용은 뇌출혈을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량은 제한됨.
(2) 외과적 방법
* 폐
12.1 심장 해부
1) 심장은 가슴 세로 칸 안에 양쪽 폐 사이의 흉강에 위치한다.
2) 심장은 속이 비어있고 옥수수모양의 근육기관으로 주먹크기만하다.
3) 심장은 기울어져 있으며 바닥면은 오른쪽 어깨쪽을 향하고 심첨끝은 왼쪽 엉덩이 쪽을
향한다.
펌프로서 심장은 혈액을 폐와 전신으로 보내고 4가지의 기능을 한다.
(1) 산소가 부족한 혈액과 산소가 풍푸한 혈액을 분리.
(2) 심장에서 혈구가 나갔다가 각 순환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것과 같이 혈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지.
(3) 순환을 통해 혈액이 움직이는 원동력인 혈압을 생성함.
(4) 현재 신체에서 요구 되는 것을 근거로 규칙적으로 혈액을 공급함.
심장의 막과 벽
1) 심장은 심장막이라 불리는 2개의 중요한 막으로 덮여져 있다.
2) 한 층은 심장막으로 심장벽의 한 면을 구성하고, 심장외막의 형태로 심장의 바깥표면에
있다.
3) 심장근육층- 심장벽 중 가장 두껍고 심장 근육으로 구성된다.
4) 심장내막- 단순편평상피로 구성됨. (내막은 심장뿐 아니라 혈관에도 연속되어 있다.)
5) 심장막액- 심박동시 마찰을 줄여준다. 섬유성 심장막은 심장바닥면의 큰혈관에 연결된
혈관섬유성 결합 조직의 층이고 심장을 가슴세로칸의 벽에 연결해준다.
6) 심장의 층- 감염, 외상, 암, 수술합병증 때문에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심방 - 4개의 빈 방으로 구성 되어있고 심장근육의 두께는 기능에 맞추어 달라진다.
심방의 벽은 얇아 인접한 심실로 혈액을 보내기 용이하다.
심실의 벽은 두꺼워 혈관으로 혈액을 펌프질 하여 혈액이 이동하기 용의하다.
1) 우심방- 뒤쪽벽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상대정맥, 심장정맥굴, 하대정맥으로 받음.
정맥은 우심방에서 방실판막을 통해 좌심실로 흐른다.
방실판막은 심장의 다른 판막처럼 혈액의 역류를 예방.
심장의 오른쪽에 있는 방실판은 세 개의 잔모양의 부분을 가져서 삼첨판막이라 한다.
2) 우심실- 삼첨판막의 잔 모양의 부분과 섬유끈으로 연결되어 잇고 힘줄끈이라 부른다.
힘줄끈은 심장근육의 원뿔 모양으로 확장된 꼭지근과 연결되어있다.
혈액흐름: 혈액-> 우심실-> 반달판막-> 허파동맥 으로 들어간다.
3) 좌심방- 뒤쪽 벽에 위치한 좌심방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네 개의 허파정맥으로부터
받는다. 두개의 허파정맥은 좌우의 폐로부터 온다. 혈액은 방실판막을 통해
좌심방에서 좌심방으로 흐른다. 방실판막은 두개의 잔 때문에 이첨판이라 한다.
4) 좌심실- 심장의 꼭대기의 형태이다. 좌심실 강은 타원형이고 우심실은 초승달 모양이다.
유두근은 매우 크고 힘줄끈은 방실판막에 붙어있어 우심실의 힘줄끈 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혈액흐름: 반달판막-> 대동맥으로 들어온다.
반달판막을 대동맥판막이라하고 폐동맥판막보다 더 두껍고 강하다.
심장판막의 역할
1) 방실판막- 열여져 있지만 심실이 수축하여 혈압이 방실판막에 작용하면 닫힌다.
2) 유두근 수축- 힘줄끈이 팽팽해지고 판막을 당겨서 심장을 당겨서 심방으로 다시 돌아
오는 것을 예방한다.
3) 반달판막(반월판)- 닫혀져 있고 심실이 수축하면 열린다. 심실이 이완되면 후방에서
동맥안에 있는 혈액이 밀어서 판막은 닫힌다.
4) 류마티스열, 박테리아 감염 등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기도 한다.
관상혈의 순환
(1) 관상동맥 순환 장애
1) 심장질환- 동맥벽의 퇴행성 질환인 죽상동맥경화증과 관련됨.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부드러운 지방 덩어리가 동맥벽에 쌓이게 된다.
이것이 계속 진행되면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돌출 구조인 판을 형성한다.
2) 허혈성 심질환- 관상동맥이 죽상동맥 경화증에 의해 막히는 것.
심장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된다 해도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혈액 공급의 이상이 생긴다.
3) 협심증- 왼족팔에서 방사통을 동반한 흉통이 나타나는 것.
4) 혈전색전증- 색전이 관상동맥을 막고 심장의 일부가 산소부족으로 죽어가면서
심장 발작을 일으킨다.
5) 심근경색- 죽은 심장조직은 경색으로 불리며 이러한 심장발작을 말한다.
6) 예방-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막는 한 가지 방법은 아스피린을 먹는 것이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끈기를 감소시켜 혈괴가 형성될 가능성을 낮춘다.
장기간 복용은 뇌출혈을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량은 제한됨.
(2) 외과적 방법
* 폐
추천자료
심근경색증의 간호
순환기계 프리레포트 및 관련 의학용어 정리
심근경색증 혹은 심부전증으로 심박출량 저하가 있는 노인환자의 간호문제와 간호중재법을 기...
협심증 케이스 스터디
협심증, 기흉
협심증(Angina Pectoris, AP)
내과 병동 실습중 관찰하게 되는 특수 진단 검사
협심증 전반에 대한 검토
심근경색 & 허혈성질환.pptx
심근경색과 협심증
내과, 신경내과에서 기본적으로 주로 시행하는 각종검사
심장질환 진단 검사
[허혈성 심질환] 허혈성 심장질환(허혈성심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방법, 허혈성 심장질...
[노인복지론]노인에 적합한 운동부하검사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여 주십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