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에 대하여 공식 발표
1) 공식
Ba : 외부의 대도시 A로 유출되는 중소도시 B의 유출량
Bb : 중소도시 B에 잔류하는 부분
Pa : 외부대도시 A의 인구
Hb : 중소도시 B(Home Town)의 인구
d : A, B두도시간의 거리(mile)
4 : 관성인자론(4miles = 6km) 적용평균치
※ 중소도시인 A와 대도시 B가 1:20인 경우 적용
※ 1:50~1:100인 경우 2승⇒ 3승 적용이 합리적
2) 공식의 의미
Reilly의 법칙을 발전시켜 대도시와 중소도시간의 매물에 있 어서 중소도시에서 소비되는 부문과 외부 대도시로 유출되는 부문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
3) 사례
Pa : 150,000명, Hb : 40,000명
d : 3miles
3mile
B 도시 A 도시
1
Bb =
Pa 4
() ()² + 1
Hb d
1
= = 0.096(9.6%)
150,000 4
() ()² + 1
40,000 3
4) 적용
가) 관성인자 4(mile)의 숫자는
Ba Pa X
= () ()²의 산식을 미국 Illinos 주에
Bb Hb d 적용한 결과치임
나) 중소도시 B와 대도시 A간의 인구비가 1 : 20이내인 경 우는 이 법칙이 타당하나 1 : 50 이거나 1 : 100과 같 은 경우는 2승 ⇒ 3승에 반비례
다) Converse 제1공식 및 제 2공식의 인구대신에 매장규모 및 매출액을 대입해도 바람직함
4. Aple Baum의 법칙
1) 공식
Dab
Da(X) = or
Mb
1 +
Ma
Dab
Db(Y) =
Ma
1 +
Mb
Da(X) : B시로부터 자동차(버스,도보 등 가능) 주행거리(탑승) 시간
Db(Y) : B시로부터 자동차 주행(탑승) 시간
Ma : A시의 소매업 매장면적
Mb : B시의 소매업 매장면적
Dab : A시와 B시 간의 자동차 탑승시간
2) 공식의 의미
가) Aple Baum은 Relily 및 Converse 공식의 거리를 자동차 주행시간으로 인구를 소매점의 매장면적으로 계산함
나) 매장면적은 m², 시간은 분을 기준으로함
3) 사례
A시 B 시
Ma : 7,000m² Mb : 4,500m²
C 시
Mc : 3,000m²
A 시 B 시 A 시 C 시
도보 60분 70분
버스 20분 25분
지하철 10분 15분
자동차 15분 20분
60분
Da = = 33.3분(도보)
4,500
1 +
7,000
Da : A시에서 B시로의 분기점 거리
※ 도보를 시속으로 환산시 시속을 보통 4km를 기준으로 함
Da ; 2,220m
70분
Da = = 42.3분(도보) : 2,820m
3,000
1 +
7,000
2. 확률적 모형
가. 확률모델의 의의
1) 해당상권내의 경쟁점포들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패턴이나 소비자의 쇼핑 여행 패턴을 반영하여 특정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 파악
2) 점포까지의 바문거리에 반비례하고, 해당점포의 매력도에 비례하는 가정
나. Luce 모델(확률적 점포선택 모델)
1) 공식
Pij : 소비자 i가 점포 j를 선택할 확률
Uij : 소비자 I에게의 점포 j의 효용(매력도)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총점포수
※ 소비자의 쇼핑선택 패턴 : 소비자가 그 점포에 대한 상대적 효용성
2) 소비자의 효용 함수
Uij : 소비자 I의 점포 j에 대한 효용
Aj : 점포 j의 매력도
Dij : i의 j점포까지의 거리
a : 점포매력도 지수
b : 점포까지의 거리에 대한 민감도(Distance-decay effect)
다. Huff 확률모델
1) HUFF Model의 의의
① 미 UCLA대학 경제학 교수인 HUFF박사가 1963년 제창한 모델
② 지금까지 도시단위로 행하여졌던 소매인력론을 소매상권의 개별
단위(상업시설)로 전환하여 전개한 것임
2) Huff Model의 가정
① 소비자의 특정상품 대한 효용(매력도)는 점포 크기와 점포까지 거리에 좌우
② 상권내 소비자가 고려하는 점포대안의 효용(매력도)의 총합에 대한 해 당점포의 효용(매력도) 비율
3) HUFF Model의 역할
① 상업시설간 경쟁구조 파악 가능
② 최적매장면적 유추 가능
③ 매출 추정(각 상품별 계산도 가능함)
④ 상권지도 작성 가능
⑤ 고객수 산정 가능
4) HUFF Model 공식
Pij : i지역의 소비자가 j상업시설에서 물건을 구입할 확률
Sj : 점포 j의 매장면적
Dij : 소비자 i가 j지역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 또는 거리
a : 소비자의 점포크기에 대한 민감도(중요도)를 반영하는 모수
(parameter)
b : 소비자의 점포까지의 거리에 대한 민감도(중요도)를 반영하는 모수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점포수
사례) A점포는 거리 4㎞와 매장면적 50,000㎡, B점포는 6㎞와 매 장면적 70,000㎡, C점포는 3㎞와 매장면적 40,000㎡이고 소 비자가 부여하는 a값이 1이고 b값이 2인 경우
점 포
거 리(km)
크기(㎡)
A
B
C
4
6
3
50,000
70,000
40,000
50,000
점포 A의 효용 : = 3,125
42
70,000
점포 B의 효용 : = 1,944
62
40,000
점포 C의 효용 : = 4,444
32
3,125
※ A점포의 구매확률 = = 0.328
3,125 + 1,944 + 4,444
1,944
※ B점포의 구매확률 = = 0.204
3,125 + 1,944 + 4,444
4,444
※ C점포의 구매확률 = = 0.467
3,125 + 1,944 + 4,444
※ 쇼핑확률에 대한 모수값의 영향
구 분
a=1.0 b=-2.0
a=1.0 b=-3.0
a=2.0 b=-2.0
점 포 A
0.33
0.30
0.33
점 포 B
0.20
0.13
0.29
점 포 C
0.47
0.57
0.28
5) Huff 모델에 의한 신규점포 매출액 추정 절차
가) 전체시장을 소규모 고객집단 지역으로 나눈다
: 우편번호, 행정구역별 등
나) 전체상권내의 각 경쟁점의 점포크기를 조사한다.
다) 각 zone 중심부에서 각 점포까지의 거리 또는 소요시간을 결정한다.
라) 각 zone 내 거주자들의 일부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실사(거 주자들의 개
1) 공식
Ba : 외부의 대도시 A로 유출되는 중소도시 B의 유출량
Bb : 중소도시 B에 잔류하는 부분
Pa : 외부대도시 A의 인구
Hb : 중소도시 B(Home Town)의 인구
d : A, B두도시간의 거리(mile)
4 : 관성인자론(4miles = 6km) 적용평균치
※ 중소도시인 A와 대도시 B가 1:20인 경우 적용
※ 1:50~1:100인 경우 2승⇒ 3승 적용이 합리적
2) 공식의 의미
Reilly의 법칙을 발전시켜 대도시와 중소도시간의 매물에 있 어서 중소도시에서 소비되는 부문과 외부 대도시로 유출되는 부문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
3) 사례
Pa : 150,000명, Hb : 40,000명
d : 3miles
3mile
B 도시 A 도시
1
Bb =
Pa 4
() ()² + 1
Hb d
1
= = 0.096(9.6%)
150,000 4
() ()² + 1
40,000 3
4) 적용
가) 관성인자 4(mile)의 숫자는
Ba Pa X
= () ()²의 산식을 미국 Illinos 주에
Bb Hb d 적용한 결과치임
나) 중소도시 B와 대도시 A간의 인구비가 1 : 20이내인 경 우는 이 법칙이 타당하나 1 : 50 이거나 1 : 100과 같 은 경우는 2승 ⇒ 3승에 반비례
다) Converse 제1공식 및 제 2공식의 인구대신에 매장규모 및 매출액을 대입해도 바람직함
4. Aple Baum의 법칙
1) 공식
Dab
Da(X) = or
Mb
1 +
Ma
Dab
Db(Y) =
Ma
1 +
Mb
Da(X) : B시로부터 자동차(버스,도보 등 가능) 주행거리(탑승) 시간
Db(Y) : B시로부터 자동차 주행(탑승) 시간
Ma : A시의 소매업 매장면적
Mb : B시의 소매업 매장면적
Dab : A시와 B시 간의 자동차 탑승시간
2) 공식의 의미
가) Aple Baum은 Relily 및 Converse 공식의 거리를 자동차 주행시간으로 인구를 소매점의 매장면적으로 계산함
나) 매장면적은 m², 시간은 분을 기준으로함
3) 사례
A시 B 시
Ma : 7,000m² Mb : 4,500m²
C 시
Mc : 3,000m²
A 시 B 시 A 시 C 시
도보 60분 70분
버스 20분 25분
지하철 10분 15분
자동차 15분 20분
60분
Da = = 33.3분(도보)
4,500
1 +
7,000
Da : A시에서 B시로의 분기점 거리
※ 도보를 시속으로 환산시 시속을 보통 4km를 기준으로 함
Da ; 2,220m
70분
Da = = 42.3분(도보) : 2,820m
3,000
1 +
7,000
2. 확률적 모형
가. 확률모델의 의의
1) 해당상권내의 경쟁점포들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패턴이나 소비자의 쇼핑 여행 패턴을 반영하여 특정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 파악
2) 점포까지의 바문거리에 반비례하고, 해당점포의 매력도에 비례하는 가정
나. Luce 모델(확률적 점포선택 모델)
1) 공식
Pij : 소비자 i가 점포 j를 선택할 확률
Uij : 소비자 I에게의 점포 j의 효용(매력도)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총점포수
※ 소비자의 쇼핑선택 패턴 : 소비자가 그 점포에 대한 상대적 효용성
2) 소비자의 효용 함수
Uij : 소비자 I의 점포 j에 대한 효용
Aj : 점포 j의 매력도
Dij : i의 j점포까지의 거리
a : 점포매력도 지수
b : 점포까지의 거리에 대한 민감도(Distance-decay effect)
다. Huff 확률모델
1) HUFF Model의 의의
① 미 UCLA대학 경제학 교수인 HUFF박사가 1963년 제창한 모델
② 지금까지 도시단위로 행하여졌던 소매인력론을 소매상권의 개별
단위(상업시설)로 전환하여 전개한 것임
2) Huff Model의 가정
① 소비자의 특정상품 대한 효용(매력도)는 점포 크기와 점포까지 거리에 좌우
② 상권내 소비자가 고려하는 점포대안의 효용(매력도)의 총합에 대한 해 당점포의 효용(매력도) 비율
3) HUFF Model의 역할
① 상업시설간 경쟁구조 파악 가능
② 최적매장면적 유추 가능
③ 매출 추정(각 상품별 계산도 가능함)
④ 상권지도 작성 가능
⑤ 고객수 산정 가능
4) HUFF Model 공식
Pij : i지역의 소비자가 j상업시설에서 물건을 구입할 확률
Sj : 점포 j의 매장면적
Dij : 소비자 i가 j지역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 또는 거리
a : 소비자의 점포크기에 대한 민감도(중요도)를 반영하는 모수
(parameter)
b : 소비자의 점포까지의 거리에 대한 민감도(중요도)를 반영하는 모수
J : 소비자가 고려하는 점포수
사례) A점포는 거리 4㎞와 매장면적 50,000㎡, B점포는 6㎞와 매 장면적 70,000㎡, C점포는 3㎞와 매장면적 40,000㎡이고 소 비자가 부여하는 a값이 1이고 b값이 2인 경우
점 포
거 리(km)
크기(㎡)
A
B
C
4
6
3
50,000
70,000
40,000
50,000
점포 A의 효용 : = 3,125
42
70,000
점포 B의 효용 : = 1,944
62
40,000
점포 C의 효용 : = 4,444
32
3,125
※ A점포의 구매확률 = = 0.328
3,125 + 1,944 + 4,444
1,944
※ B점포의 구매확률 = = 0.204
3,125 + 1,944 + 4,444
4,444
※ C점포의 구매확률 = = 0.467
3,125 + 1,944 + 4,444
※ 쇼핑확률에 대한 모수값의 영향
구 분
a=1.0 b=-2.0
a=1.0 b=-3.0
a=2.0 b=-2.0
점 포 A
0.33
0.30
0.33
점 포 B
0.20
0.13
0.29
점 포 C
0.47
0.57
0.28
5) Huff 모델에 의한 신규점포 매출액 추정 절차
가) 전체시장을 소규모 고객집단 지역으로 나눈다
: 우편번호, 행정구역별 등
나) 전체상권내의 각 경쟁점의 점포크기를 조사한다.
다) 각 zone 중심부에서 각 점포까지의 거리 또는 소요시간을 결정한다.
라) 각 zone 내 거주자들의 일부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실사(거 주자들의 개
추천자료
불황모르는 홍대상권
제주도 상권형성의 어제와 오늘
2008년 2학기 중소기업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중소기업 입지분석)
동대문 상권_ 해외 바이어 실태조사 계획
상권의 의의와 종류) 상권의 의의와 유형 및 상권조사의 단계, 상권별 특성
SSM의 확대로 인한 지역상권의 붕괴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계층간의 소득격차
까사마야(멕시코 음식점)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
상업지구개발 - 오산역 중심상권 개발 Projet.ppt
서비스 시설의 입지선정 - La Quinta Hotel 회귀분석 기반의 입지선정 “첫째도 입지, 둘째도 ...
상권활성화 방안 - 서현역과 수내역 상권비교 및 향후 발전 방안에 관하여 (향후 발전 방안 ...
ssm과 골목상권의 상생
경영 - ssm(기업형슈퍼마켓)과 골목상권의 상생
[생산운영관리] 대형 할인점의 입지 분석 [이마트, 월마트 입지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