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과 현대하이스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강산업과 현대하이스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병 추진하였다.
●. 현대하이스코
현대차와 기아차에 자동차용 냉연강판을 주로 공급하는 전기로업체로 2004년 기준으로 주요생산품은 냉연(58.3%), 강관(21.9%) 등이다. 주요주주가 최대 거래처인 이유로 수익은 상대적으로 낮은2%대 후반에서 4%대 초반이다. 외부 전문가 50명 포함, 110명의 전담팀을 구성해서 ERP 도입 등 대대적인 경영혁신 운동 전개로 업무프로세스를 전환하였다.
●. 동부제강
국내 2위 냉연 판재류 전문업체이며, 수출비중이 43.8%로 국내 5대 철강업체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04년 기준으로 주요생산품은 아연도강판(26.9%), 냉연강판(23.6%), 칼라강판(19.1%) 등이며, 고부가가치 상품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 차지하고 있다. 2001년 적자에서 2002년 흑자로 전환된 이후 2004년에는 약 5.4%의 매출액대비 수익률 기록하였다.
●. 미탈스틸
창업자인 라크슈미 미탈회장과 아들 아드티야 미탈사장이 세계 각국의 부실철강업체들을 인수해 그간 14개국에서 철강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ISG와 인도의 미탈스틸이 합병됨에 따라 2004년 기준 연간 조강생산량 5894만톤으로 세계 1위의 철강업체로 부상하였다.
미탈스틸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투자와 인수합병을 늘려간다는 방침(장기적으로 생산량을 1억 톤까지 확충 계획)이다.
●. 룩셈부르크 아르셀로
여지껏 세계 1위을 유지해온 유럽 철강업체로 조강생산량은 2004년 4690만톤 규모이다.
●. 일본 신닛테스
세계 3위의 일본 철강업체로 최근 스미토모금속, 고베제강 등과 공장 공동사용에 합의하는 등 업체간 제휴 및 연합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 국제 동향 및 국제 경쟁력
●. 원가 경쟁력 비교
한국의 냉연강판 원가는 톤당 570달러(\'06년 9월기준)으로 일본, 미국, 서유럽, 고로사에 비해 저가인 반면, 중국, 브라질, CIS 인도보다 높은수준이다. 셰계적인 철강전문 분석기관인 WSD자료에 따르면 한국 포스코와 중국의 보산강철, 마안산강철, 사강 등 주요 철강사와 냉연강판 가격경쟁력을 비교할 경우, 약 10%정도의 가격경쟁력이 있는것으로 분석하였다. 중국의 인건비는 한국의 11%에 불과하며, 톤당 생산성까지 감안해도 한국의 40%내외 수준으로 가격경쟁력에서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한다.
●. 조강생산
2006년 세계 조강생산은 유럽, 북미 시장의 호조와 중국의 생산 증가 지속으로 전년비 8.8% 증가한 12억 3,950만톤을 기록하였으며 2007년에도 중국, 인도 등의 생산증가로 \'06년 대비 5.4% 증가한 13억 600만톤으로 전망하고 있다.(MEPS, 2007. 1.)
●. 중국
수요증가로 \'05년 3억톤을 돌파한 이후, \'06년에는 4억 1880만톤 기록하였다. 세계시장점유율(\'05) 31.4%→(\'06) 33.8%(2.4%↑)상승하였다. 중국정부의 경기 과열방지를 위한 긴축정책으로 생산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생산 증가는 지속될 전망이다.
●. 일본
\'05년 시황부진으로 전년비 0.2% 감소 이후 일본 경기회복과 세계철강시황호조로 인한 수출증가로 1억 1620만톤 기록하였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05년 대비 0.5%하락한 9.4%를 기록하였다.
●. 미국
\'05년 철강경기 부진으로 전년비 4.8% 감소했으나 \'06년 미국 국내시장 호황으로 전년보다 360만톤 증가한 9,850만톤 기록했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05년 대비 0.4%하락한 7.9%이다.
●. 러시아
국내 수요증가로 7,060만톤을 기록하여 전년도 6.8% 증가했다. 세계시장 점유율은 \'05년 대비 0.1% 하락한 5.7%를 기록하였다.
●. 인도
경제성장과 더불어 철강 설비 증설로 4,400만톤을 기록하여 전년도 7.6% 증가하였고, 세계시장 점유율은 (\'06) 3.5%로 0.1% 감소하였다.
◎. 미래전망
●. 2007년 동향 : 출하와 재고가 모두 증가하면서 호황국면
ㆍ전기로강의 생산증가로 상반기 조강생산 큰 폭 증가
2007년 상반기 조강생산은 2,565만톤으로 전년동기비 7.2% 증가하였고, 전로강은 4.4% 증가한 1,348만톤을 기록했으며 전기로강은 10.3% 증가한 1,216만톤을 기록하였다. 전로강은 전년도에 포스코의 포항 3고로 합리화로 인한 생산 감소의 영향이 컸으며 전기로강은 현대제철 A열연 B전기로의 재가동과 특수강 및 단조강의 생산증가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봉ㆍ형강류(+6%)에 비해 판재류(+15%)의 증가율이 컸는데 이는 냉연강판과 석도강판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포스코의 NO. 6 CGL과 현대하이스코 당진 공장의 본격 가동으로 아연도강판 생산능력이 전년동기비 30%이상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반기에는 포스코의 파이넥스 가동에도 불구하고 광양 3고로 보수영향으로 상반기 대비 조강생산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ㆍ중국산 수입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가운데 봉ㆍ 형강류를 중심으로 수출호조
2007년 상반기 수출은 7.0% 증가했으나 수입은 28.7% 증가했다. 특히, 중국산 철강재의 수입량은 734만톤으로 비중이 총수입량의 53.7%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중국의 수출증치세 환급률 축소조치의 영향으로 수입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품목별로는 판재류가 3.9% 증가한 반면 봉ㆍ형강류는 15.7% 증가, 봉ㆍ형강류의 수출 호조는 형강(+16.3%) 및 H-Beam(22.7%)이 중동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고 생산능력이 확장된 봉강과 선재의 수출이 각각 25.1%, 28.1% 증가했기 때문이다.
ㆍ약세국면의 세계철강가격은 4분기부터 반등을 시도할 전망
연초 회복세를 보였던 국제철강가격은 2분기 이후에도 약세로 전환하였는데 이는 중국산 철강재 수입량 증가로 현지 수급밸런스가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정부의 수출억제정책 시행과 북미ㆍ유럽지역의 철강가격의 하락으로 중국산 철강재의 유입량이 감소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철강가격이 반등을 시도하고 있는 양상이다. 중국 철강유통가격 역시 2분기 이후로 약세를 보였으나 3분기에서는 강세로 반전했다가 최근 소폭하락하였다. 이는 내수공급량이 증가하고 이례적으로 내수유통가격이 국제가격을 추월했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3.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