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탄성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탄성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1) 광탄성(Photoelasticity)
(2) 등경사선(Isoclinic Line)
(3) 등색선(Isochromatic Line)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1) 주응력 크기 측정 (2) 주응력의 방향 측정

5. 실험 결과
(1) 실험 1
● 고찰
(2) 실험 2
● 주어진 조건과 계산식
※ 실험 계산식 ※ 이론 계산식
※ 실험치와 이론치의 오차
● 고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서 받는 하중 L = 254mm,
= 15mm = 15 * = 0.015m = ⓐ100m 지점 M = Px = 102.54(N) * (0.254-0.100)(m) = 15.79Nm
ⓑ150m 지점 M = Px = 102.54(N) * (0.254-0.150)(m) = 10.66Nm
ⓒ200m 지점 M = Px = 102.54(N) * (0.254-0.200)(m) = 5.54N*m
※ 실험치와 이론치의 오차
ⓐ100m 지점 :
ⓑ150m 지점 :
ⓒ200m 지점 ;
● 고찰
불투명한 알루미늄 소재의 외팔보를 이용하여 광탄성 실험을 하였다. 앞의 실험에서는 빛이 바로 반사되었으나 이번 실험에서는 광탄성 플라스틱을 부착하여 빛을 반사시켜서 그 빛을 촬영하였다. X방향의 응력만 존재하기 때문에 모멘트에 비례하여 이론치의 응력을 계산할 수 있었다. 그러한 이론치의 응력값과 앞의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Fringe Order를 이용한 실험치의 응력값을 서로 비교하여 둘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여 보았다. 오차가 5.64% 이내로 눈으로 보고 표의 값을 찾아 계산을 한 것 치고는 오차값이 작게 나왔다고 생각한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하중을 주는 위치가 정확히 도심이 아니란 것과, 이번 실험에서는 비교적 정확한 것 같지만 눈으로 색깔을 구분하는 데 있어 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클 것 같다.
6. 결론
고체 역학이나 소성 역학 시간에 배운 응력의 분포를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던 것 같다. 전체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가 생각하고 이론적으로 배우고 하였던 것들이 실제로 만족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떨쳐 버릴 수 있었다. 응력의 분포, 응력 집중, 외팔보에서 거리에 따른 응력값 등을 실제로 눈으로 봄으로써 작용하는 힘과 변형과의 관계를 더욱 많이 알 수 있었다.
광탄성 실험은 Fringe Order를 읽는 때에 색깔의 구분이 약간 모호하며, 빛을 통과시키는 시편만이 응력 분포를 알 수 있다는 데 단점이 있는 것 같다. 물론 두 번째 실험에서처럼 광탄성 플라스틱을 부착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인 것 같다.
이번 광탄성 실험을 통하여 직접 응력의 분포를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 참고 문헌
- 기계공학 실험교재 편찬회 저, 기계공학응용실험, 청문각
- R.C,Hibbeler, 고체역학, 영한출판사
- Mechanics of Materials , James M. Gere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