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기와 감산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산기와 감산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두 개의 2진수 A와 B를 더하여, 합 S와 자리올림 C를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다음 아래의 진리표와 회로를 보자.
A
B
S
C
0
0
0
0
0
1
1
0
1
0
1
0
1
1
0
1
이 책에 집필자는 가산기에 기본은 덧셈이라고 집필하고 있다. 그래서 A와 B의 진리표를 꼼꼼히 따져보기로 했다. A와 B가 0일때는 합이 0이되고 자리올림 수가 모두 0이 된다. 반면 A와 B가 1일때는 1이 되어 자리올림이 발생한다. A와 B가 한쪽이라도 1이 될 때는 합이 1이되고 자리올림은 없다. 이런 것을 볼때 가산기는 기본은 덧셈이다.
전가산기
A
B
C
S
Cn
0
0
0
0
0
0
0
1
1
0
0
1
0
1
0
0
1
1
0
1
1
0
0
1
0
1
0
1
0
1
1
1
0
0
1
1
1
1
1
1
전가사기는 두 개의 2진수 X, Y와 자리올림수 C1을 포함하여 3비트를 더하는 조합논리회리이다. 즉,1자리의 2진수를 더하는 가산기는 1비트씩 3종류의 입력을 받아 1비트씩의 2종류의 합 및 자리 올림을 낸다. 반가산기와의 차이는 덧셈을 할 때 하위의 자리로부터 올라오는 자리올림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덧셈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가산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덧셈 회로가 전가산기이다. 이것은 전가산기의 진리표와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전가산기는 2개의 배타적 OR 게이트와 2개의 AND 게이트 및 1개의 OR 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렬 가산기
앞에서 설명을 보면 반가산기나 전가산기는 한 비트로 된 두수를 더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의 연산에서는 대부분 여러 비트로 구성된 두 수를 더해야 한다고 한다. 예를 들면, 1개의 전가산기를 이용하여 12비트로 구성된 두 수를 더하는 가산기로 나타내면, 계산을 하기 전에 먼저 가수와 피가수를 각각 가수 및 피가수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계산 결과의 합은 S 레지스터에 저장되어야 한다고 한다. 중요한 포인트는, 가수, 피가수 및 S 레지스터는 오른쪽으로 시프트되는 기능을 가진 레지스터들이다. 또, C 플립플롭은 자리올림 수를 저장하는 곳인데, 초기에는 \"0\"을 넣어 둔다.
전가산기는 먼저 가수와 피가수의 첫번

키워드

asdsda,   asdasdd1,   asdasdd,   asdasdd2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