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_고사성어(철도,지하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상식_고사성어(철도,지하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차 생길 일을 짐작함.
一場春夢(일장춘몽) : 한바탕의 봄꿈. 헛된 영화나 덧없는 꿈.
一觸卽發(일촉즉발) : 조금만 건드려도 금방 일이 터질 것 같은 아슬아슬한 형세.
日就月將(일취월장) : 날로 달로 나날이 발전함.
立錐趾地(입추지지) : 송곳 하나 세울만한 땅이라는 뜻. 즉, 조금의 여유도 없는 좁은 땅.
자 ...........................................................................................................
自家撞着(자가당착) : 자기의 말이나 행동이 전후가 맞지 않음.
自强不息(자강불식) :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음.
自愧之心(자괴지심) :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
張三李四(장삼이사) :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이라는 뜻으로 곧 평범한 사람들을 말함.
賊反荷杖(적반하장)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못을 나무람을 이름.
戰戰兢兢(전전긍긍) : 매우 두려워하며 조심함.
輾轉反側(전전반측) : 혼자 드러누워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 輾轉不寐(전전불매)
轉禍爲福(전화위복) : 좋지 않은 일이 도리어 좋은 일로 바뀌어 복이 됨.
切齒腐心(절치부심) :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
漸入佳境(점입가경) : 들어가수록 아주 재미있음.
糟糠之妻(조강지처) : 매우 가난하고 천할 때 고생을 같이 겪었던 아내.
朝令暮改(조령모개) : 아침에 명을 내리고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을 이리저리 자꾸 바꿈.
朝飯夕粥(조반석죽) : 아침에는 밥을 먹고 저녘에는 죽을 먹는다는 것으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朝不慮夕(조불려석) : 아침에 저녁 일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곧 눈앞의 일만 걱정할 뿐이고 바로 그 다음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
朝三暮四(조삼모사) : 임시변통의 간사한 꾀로 사람을 속여 희롱함. 눈앞에 당장 나타나는 차이만을 알 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 = 姑息之計(고식지계)
鳥足之血(조족지혈) : 새발의 피. 즉, 양이 아주 적음을 이르는 말.
晝耕夜讀(주경야독) : 낮에는 밭 갈고 밤에는 글을 읽음. 곧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열심히 공부함.
走馬加鞭(주마가편) :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더한다. 즉, 열심히 일하는 사람을 더욱 잘하도록 편달함.
走馬看山(주마간산) :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천을 구경함. 곧 사물의 겉만 대강 훑어보고 지나침.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릴 때부터 친한 벗.
竹杖芒鞋(죽장망혜) : 대지팡이와 짚신. 곧 먼길을 떠날 때의 아주 가편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
衆口難防(중구난방) : 여러사람의 입. 곧 뭇사람의 말은 막기가 어려움.
指鹿爲馬(지록위마) : 중국 진나라의 조고(趙高)가 二世皇帝(이세황제)에게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속여 바친 일에서 유래하는 고사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가리킴.
= 牽强附會(견강부회)
進退維谷(진퇴유곡) :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물러날 수도 없어 궁지에 몰림 = 進退兩難(진퇴양난)
= 四面楚歌(사면초가) = 山盡水窮(산진수궁)
차 ............................................................................................................
滄桑之變(창상지변) : 세상의 변화가 심함.
滄海一粟(창해일속) : 넓은 바다속의 좁쌀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
= 九牛一毛(구우일모) = 大海一滴(대해일적)
千載一遇(천재일우) : 좀처럼 만나기 힘든 좋은 기회를 말함.
靑出於藍(청출어람) :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
草根木皮(초근목피) : 풀뿌리와 나무 껍질. 즉, 양식이 떨어졌을 때 먹는 험한 음식의 비유.
樵童汲婦(초동급부) : 나무하는 아이와 물 긷는 여인. 즉, 평범하게 살아가는 ‘일반백성’을 이름.
焦眉之急(초미지급) : 눈썹에 불이 붙은 것처럼 매우 위급함.
寸鐵殺人(촌철살인) : 바늘로 사람을 죽임. 즉, 짤막한 말로 사람을 감동시킴.
七顚八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째 일어남. 여러번 실패해도 다시 일어남.
針小棒大(침소봉대) : 작은 일을 크게 불리어서 허풍떨며 이야기함.
타 ............................................................................................................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산의 돌이라도 나의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도 자기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卓上空論(탁상공론) : 현실성 없는 허황된 이론. = 机上空論(궤상공론)
兎死拘烹(토사구팽) :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는 필요없게 되어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 고 필요없을 때는 버리는 야박한 인심을 말함.
파 .............................................................................................................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竹)를 쪼개는 것 같은 거침없는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강해 거침없이 뻗어나 가는 당당한 형세를 일컬음. = 決河之勢(결하지세) = 騎虎之勢(기호지세)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움켜쥐고 쓰러질 정도로 몹시 웃음을 형용한 말.
表裏不同(표리부동) : 겉과 속이 다름.
風樹之嘆(풍수지탄) : 부모가 이미 세상을 떠나 자식이 효도할 수 없음을 한탄함을 이름.
風前燈火(풍전등화) : 바람 앞에 등불. 즉, 매우 위급한 일이 임박함.
風餐露宿(풍찬노숙) :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겪는 온갖 고생을 이르는 말.
하 ...........................................................................................................
下石上臺(하석상대) :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괴고, 윗돌을 빼서 아랫돌을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