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가의 원문과 해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행가의 원문과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행가(燕行歌)
홍순학 (洪淳學)
[작품 소개]
이 작품은 일명 ‘병인연행가(丙寅燕行歌)’ 라고도 하며, 또 ‘북원록(北袁錄)’, ‘연행록(燕行錄)’, ‘원녹’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하는데, 교과서에 실은 것은 심재완 교합본(沈載完校合本)을 대본으로 하되 현저하게 잘못된 표기는 바로잡았다.
홍순학이 지은 이 작품은 중국을 다녀 온 내용을 적은 것으로, 중국에 가는 목적이 주로 사행(使行)이었으므로 이런 내용을 가진 작품들을 가리켜 사행 가사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와 더불어 조선 전기의 양반 가사를 계승하는 대표적인 후기 가사 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데, 작품의 길이가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
내용은, 고종의 왕비를 책정한 일로 고종 3년(1866)에 중국에 사신을 보낸 진하사은 겸주청사행(進賀謝恩兼奏請使行)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 온 것을 노래한 가사 작품이다. 일행이 4월 9일 서울을 출발하여 6월 6일 북경에 당도하고 40일 간의 부경 체류 후 8월 23일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 130여일 간의 여정에서 보고 들은 바를 기술하였다.
작품의 시작은 서울을 떠나 모화관, 무악재, 홍제원, 녹번, 박석, 구파발, 창릉내, 고양, 파주목, 임진강, 진서루, 장단부, 송도, 만월대, 선죽교, 청석관, 금천, 청단역, 돌여울, 평산부, 곡산부, 중화참, 총수관, 서흥부, 검수관, 봉산군, 사인암, 황주, 월파루, 중화부, 이천역, 대동역, 평양에 이르며, 평양에서 연광정, 부벽루, 대동문, 청류벽, 전금문, 영명사, 칠성문, 기자문 등을 돌아본 뒤 순안현, 숙천부, 안주성, 만경루, 백상루, 청천강, 박천, 가산, 샛별령, 납청정, 정주성, 북장대, 곽산군, 선천부, 위검정, 동림진, 차련관, 철산, 서림진, 양채관, 용천, 청류암, 석계교, 소곶관 등을 거쳐 의주 들어가 취승당과 통군정을 구경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이 교과서에 실린 부분인데, 압록강 도강 장면에서 시작하여 구련성, 금석산, 온정평을 거쳐 봉황성에 이르러 보게 된 호인(好人)의 인상, 남녀의 모습, 옷차림, 가옥 구조, 식생활, 짐승치기, 육아법, 베짜기 등을 묘사한 것이다.
그 뒤에는 북경에 이르기까지의 도정과 북경에서 보고 느낀 점을 담고 있고, 다시 돌아오는 노정을 따라 중국 풍물의 묘사가 이어진다. 압록강을 건너기까지는 고국의 산천과 거기에 얽힌 역사적 사실들을 사실적이면서도 정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도강 이후는 중국의 제반 풍물세태자연 풍치 등을 뛰어난 관찰력으로 그려 내었다.
[현대어 풀이]
하 오월 초칠일의 하오월(夏五月) 초이레의
도강 날 졍여네. 도강(渡江) 날짜 정하였네.
방물을 졍검고 가지고 갈 물건을 점검하고
장을 슈습여 여행 장비를 수습하여
압녹강변 다다르니 압록강변에 다다르니
송객졍이 여긔로다. 송객정(送客亭)이 여기로다.
의쥬 부윤 나와 안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이 나와 앉고
다담상을 려 놋코, 다담상(茶啖床)을 차려 놓고,
삼 사신을 젼별 세 사신(使臣)을 전별(錢別)하는데
쳐창키도 그지없다. 구슬프기도 그지없다.
일 일 부일 한 잔 한 잔 또 한 잔으로
셔로 안져 권고고, 서로 앉아 권고하고,
상별곡 곡조을 상사별곡(相思別曲) 한 곡조를
참아 듯기 어려워라. 차마 듣기 어려워라.
장계을 봉 후의 장계(狀啓)를 봉한 후에
더리고 이러나셔, 떨뜨리고 일어나서,
거국지회 그음업셔 나라 떠나는 감회 그지없어
억졔기 어려운 O 억제하기 어려운 중
홍상의 눈물이여인의 꽃다운 눈물이
심회을 돕도다. 마음의 회포를 돕는도다.
뉵인교을 물녀 노니 육인교(六人轎)를 물려 놓으니
장독교을 등고, 장독교(帳獨橋)를 대령하고,
젼 토인 직니 가마 앞 통인(通引)이 하직하니
일산 좌견만 잇고, 해 가리는 일산과 말고삐만 있고,
공형 급창 물너셔니 공형(公兄)과 급창(及唱)이 물러서니
마두 셔이로다. 마두(馬頭)와 서자(書者) 뿐이로다.
일엽 소션 을 져어 한 조각 자그마한 배를 저어
졈졈 멀이 셔 가니, 점점 멀리 떠서 가니,
푸른 봉은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