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틸리히의 신학적 해석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폴 틸리히의 신학적 위치

2. 폴 틸리히의 신학과 상징
1) 상징의 의미
2) 상징의 특징
3) 상징과 신화
4) 종교적 상징의 본질
5) 종교적 상징의 진리

3. 상징의 해석
1) 종교적 상징의 회복
2) 비문자화
3) 비문자화와 비신화화
4) 상관관계의 방법

4. 맺는 말

본문내용

되는 상징의 재해석, 비문자화를 의도한다는 것과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상관관계의 방법과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재해석된 용어들을 일별하여 보았다.
불트만의 해석학인 “비신화화”를 염두에 두고 늘 비교하면서 틸리히의 사상을 전개한 것은 현대 해석학의 주요 물결 중의 하나가 딜타이-불트만-가다머로 이어지고 있으므로 이들과 틸리히의 해석학의 구별성을 부각시켜 보려는 저자의 의도였다.
바르트가 말한 바와 같이 모든 신학은 “나그네의 신학”이며 기다리는 신학이므로, 비판의 여지가 없는 신학은 없다 할 것이다. 특별히 틸리히에 대한 비판은 그 자신이 경계선상에 있다고 늘 말한바와같이 양쪽, 즉 신학과 철학, 그리스도교와 세상으로부터 끊임없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틸리히의 신학에 대한 비판으로는 임영금, 「칼바르트와 폴 틸리히의 하나님론 비교연구」(목원대학 대학원: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992)참조 및 황승룡,「폴 틸리히의 그리스도론」(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8)참조.
그러나 이와 못지않게 그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어떤 신학의 긍정성 여부는 그 신학이 당대의 영향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 살아 있느냐 하는 점일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틸리히의 신학은 아직도 문화의 신학, 중재의 신학, 그리고 다른 종교에 대한 이해와 대화의 개방성을 강조하는 대화의 신학으로, 그리고 현대신학 그 자체로서 활동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칼 라너와 합께 종교포괄적 다원주의의 한 전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틸리히의 상관관계의 방법이 가다머의 지평융합 이론과 영향사이론과 일치하는 것으로 종교통일적 다원주의(종교 신학)의 한 전거로 여긴 것은 지나친 견해이다. 김경재,「해석학과 종교 신학」(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4)참조. 틸리히는 1960년 일본을 방문하면서 행한 연설에서 종교상호간에 그 진리의 내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주장에는 회의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어떤 종교를 신앙하는 사람을 타종교로 개종시키는 일도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이해를 전제로한 대화의 가능성을 주장하였다.「문화와 종교」, p. 193.
그러나 해석학적 관점에서 지적해야 할 문제점은 첫째, 불트만의 비신화화와 마찬가지로 실존론적 협소화로 인한 “해석학적 나머지(hermeneutischer Rest)”를 김광식, pp. 195-7.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과 둘째, 그의 자아-초월적 성례전적 언어가 또 다른 해석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가?하는 점이다. 그가 말한대로 영원한 생명을 “신적 생명에로의 본질화”라고 한다. 본질화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틸리히 신학적 해석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세속 한가운데에서 그리스도교의 위대한 상징을 현대인이 이해할 수 있는 동시대적인 언어로 해석하여 그리스도교의 구원과 치유의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그의 진지한 노력은 신학하는 모든 사람들이 따라가야 할 자세일 것이다. 특별히 젊은 지성인들이 등을 돌리고 있는 한국 교회의 상황을 생각할 때에 우리시대를 위한 지성인의 사도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에머리히 코레트.「해석학」. 신귀현 역. 서울: 종로서적, 1991.
리차드 E. 팔머.「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역, 서울:문 예출판사, 1995.
한국해석학회.「해석학은 무엇인가」. 서울: 지평문화사, 1995.
전경련.「해석학과 성서언어」. 서울: 종로서적, 1975.
김광식.「토착화와 해석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김경재.「해석학과 종교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4.
R. 불트만.「성서의 실존론적 이해」(Neues Testament und Mythologie). 유동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Walter Schmithals. Die Theologie Rudolf Bultmann.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 변선환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Tillich, Paul. The Protestant Era.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1948.
----------. Systematic Theology vol I.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1951.
----------. Systematic Theology vol II. London : James Nisbet & Co., 1957.
----------. Systematic Theology vol III. Chicago : Univ. of Chicago Press, 1963.
----------. Dynamics of Faith, New York : Harper & Row, 1957.
----------. Theology of Culture. ed. by R.C.Kimball. Oxford : Oxford Univ. Press, 1959.
----------. What is Religion? trans. by J.L.Adams. New York : Harper & Row, 1973.
----------.「문화와 종교」. 이계준 역 . 서울 : 전망사, 1984.
Brown, D. Mackenzie. Ultimate Concern-Tillich in Dialogue, New York : Harper & Row, 1965.
Pauck. Wilhelm & Marion. Paul Tillich-His Life & Thought, New York : Harper & Row, 1976.
New Port, John P. Paul Tillich. ed. by B. E. Patterson, Texas : Word Books, 1984.
Ramm, Bernard. A Handbook of Contemporary Theology, Michigan : W. B. Eerdmans Publishing Co., 1977.
황승룡,「폴 틸리히의 그리스도론」.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 사, 1988.
임영금.「칼 바르트와 폴 틸리히의 하나님론 비교연구」, 목원 대학 대학원 :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199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3.2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