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스티지 [Masstige] 배경조사
1) 정의
2) 배경
3) 특성
4) 시장의 현황 및 규모

2. 소비트랜드의 확인
1) 매스티지의 성격
2) 현 매스티지 시장 분석
3) 국내 명품시장의 문제점과 과제

3. 매스티지에 따른 마케팅적 시사점
1) 매스티지 마케팅
2) 매스티지의 상품에의 적용
3) 매스티지에 따른 마케팅적 활용방안

4. 매스티지를 반영한 기존기업의 마케팅 전략
1) 기업의 마케팅 전략 -4P
2) 기존 기업의 마케팅 전략 예
2) 매스티지 마케팅의 성공포인트
3) 향후 매스티지 트랜드 전망

5. 매스티지 국내 성공사례 - 빈폴
1) 빈폴 (BEAN POLE) 기업 소개
2) 환경분석
3) BEAN POLE 마케팅전략시장의 세분화
4) 마케팅 믹스(4P)
5) 빈폴관리 성과도
6) 빈폴의 문제점
7) 앞으로의 방향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코치의 핸드백은 대부분 현대인들의 캐주얼한 생활방식에 어울리도록 디자인된다. 코치는 매년 2백만 달러(약 24억원)을 소비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사용한다. 자사에 대한 인식과 자사 제품을 고를 때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리드타임(lead time)이 짧아 디자인의 회전 주기가 빠르다는 점 또한 코치의 강점이다.
여기에 유럽의 명품 브랜드들을 모델로 한 경영방식이 더해져 코치는 더욱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핸드백과 잡화라는 한 분야만 전문적으로 집중하는 전략으로 코치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 코치의 최고 경영자로 프랭크포트는 \'Ready to wear로 확장할 계획은 전혀 없다. 이는 우리의 강점을 약화시킬 뿐이다. 코치가 성공할 수 있었던 단 한가지 이유는 단일 분야에 집중한 비즈니스를 수행했던 데 있다\'라고 말했다.
코치는 2004년 여름시즌을 맞아 새로운 핸드백 라인을 선보이면서 밀짚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디자인을 제시했다. \'코치의 마법\'이라고 불리우는 코치의 성공신화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잘 파악하고 대응한 결과물이다. 그리고 패션업계 분석가들은 코치의 순항을 아직도 확신하고 있다.
코치는 1,2월 매출호조에 힘입어 올해 연간매출 목표를 종전의 12억6천만달러에서 13억달러(약 1조5천6백억원)로 상향 조정했다. 하반기 매출 예상액은 3분기(1~3월) 3억달러, 4분기(4~6월) 3억1천5백만달러를 합한 6억1천5백만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코치의 최고경영자인 로 프랭크포트는 \'미국과 일본의 판매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봄 신상품에 대한 반응이 열광적이다\'라고 말했다.
SG 코웬사의 애널리스트는 \'코치의 비즈니스 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손쉽게 살수 있는 명품이라는 브랜드 포지셔닝은 적중했다. 또한 제품의 실용성과 다양한 디자인, 빠른 제품회전율은 성공의 비결이다\'라고 매출증가의 원인을 분석했다.
④ 유럽 브랜드 ‘ 자라’, ‘망고’
세계적 트렌드인 매스티지는 명품 선호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던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빠르게 번지고 있다. 따라서 패션ㆍ유통업계 관계자들은 이 새로운 현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럽의 경우 특히 스페인 의류브랜드들이 합리적인 가격대에 독특한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워 매스티지의 원조 격인 미국기업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망고(Mango), 자라(zara) 등이다.
스페인 브랜드 망고는 매스티지보다 대중브랜드에 가깝다. 하지만 이 브랜드 내에는 슈트(Suit) 라인과 드레스(Dress) 라인, 베이직(Basic), 진(Jeans), 그리고 트렌드성이 강한 M by MNG 라인 등 총 5개의 라인이 있어 매스티지 소비자들도 커버한다는 게 관계자의 말이다. 이 브랜드는 우리나라에서 올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78%의 매출 신장세를 기록했다. 현재는 백화점 위주로 입점해 있지만 올 하반기에는 200평 규모의 전문매장을 열 계획이다. 제품라인의 다양화는 명품브랜드들에서 최근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⑤ 커피 한 잔의 가치, \'스타벅스(STARBUCKS)\'
국내에 take-out 커피의 개념을 가장 확실히 자리잡게 한 장본인인 \'스타벅스\' 역시 매스티지의 대표적인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 취해야 할 완벽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한 사례로 꼽힌다. 마케팅 업계에는 \'기업이 만드는 것은 제품이고 고객이 구매하는 것은 브랜드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그만큼 소비자들의 마음 속에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50센트짜리 모닝커피보다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스타벅스 고유의 로고가 찍힌 종이컵에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리된 5달러짜리 커피를 선호한다. 한때 압구정동에서 스타벅스나 커피빈의 컵을 들고 다니는 것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사람들은 패션뿐만 아니라 자신의 라이프스타일 전체를 꾸미게 되었으며, 또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길 원한다. 이러한 소비심리를 지닌 사람들에게 비교적 싼 값에 자신을 돋보이게 만들어 주는 Brand Take-out 커피는 더할 나위 없는 상품일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훼미리마트\'등의 편의점에서도 스타벅스의 커피를 만날 수 있다. 한병에 3,000원 정도로 일반 캔커피보다 비싼 편이다. 훼미리 마트는 스타벅스 커피를 포함한 고가 수입 음료가 전제 음료매출의 9.3%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⑥ 자연주의 웰빙 컨셉, \'바디샵(Body Shop)\'
1976년 영국 남부의 해변도시에서 홈메이드 화장품 가게로 시작한 바디샵은 지난 30년 동안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현재 전세계 51개국에 천9백여 매장을 운영중인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다. 1997년 국내 시장 진출과 함께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바디샵은 환경보호, 동물보호, 인권보호 등 공익적인 캠페인 활동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6월부터는 가정폭력은 근절하기 위한 새로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바디샵은 합리적인 가격의 고품격 웰빙 뷰티 제품을 선보이며, 웰빙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아로마테라피, 아유베다 등 친근하게 사용되는 웰빙 트렌드를 국내에 최초로 소개한 바디샵은 10-20대 여성 소비자들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메이저 코스메틱 브랜드로 급성장했다. 실제로 바디 클린저가 전부였던 국내 상황에서 고급 목욕 용품 혹은 바디 케어시장 개척에 큰 공헌을 한 바디샵의 아로마테라피는 향을 통해 인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자연 치유 요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회사는 현재 전국에 67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80여 개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웰빙스파는 바디샵의 대표상품이다. 기존의 SPA가 극소수의 특수층만을 대상으로 했다면 바디샵의 스파는 이에 못지 않는 고급스러운 분위기와 최상의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여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⑦ 회원제 할인점, \'코스트코(costco)\'
할인점인 코스트코 홀세일. 코스트코 홀세일 양재점의 고객들 중 상당수는 해외생활 경험자이다. 이들은 코스트코에서만 살 수 있는 \'타이드\' 세제와 팩토리사의 치즈케
  • 가격2,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8.03.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