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르게, 즉 선별적으로 노출, 지각, 파지(기억)
선별적 노출(Selective exposure)
n수 용자들 자신의 기존 태도나 관심에 일치되는 미디어의 내용만 접촉하려고 하며 그렇지 않은 것은 기피
nExpose themselves to media whose contents relates to their interests
nEx) A hunter skips the fishing pieces
-Outdoors enthusiasts choose
-Academics subscribe to
선별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
n접촉한 미디어의 내용도 자신들의 선유경향(Predispositions)에 따라 자신들 나름대로 지각하거나 해석해서 수용하는 경향
선별적 기억(Selective retention)
n수용한 미디어 내용 중에서도 어떤 것은 기억하거나 유지하지만 어떤 것은 쉽게 망각해버리는 심리적 경향
nWhile people remember many things that were extremely pleasurable or that coincided with their beliefs, they have a harder time calling up the memory's file on other things
Two-Step Flow 이론
n수용자들은 미디어 메시지로 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다기 보다는 가족이나 동료 등 Opinion Leader를 통해 영향을 받는 경향-2단계를 거침
n여론지도자-매스 미디어를 통해 습득한 정보를 다른 구성원들에게 전달 역할
n미디어는 개인의 태도나 의사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지못하는 것으로 봄
Two-Step Flow 이론의 배경
n탄환에 비판이 대두되던 1948년에 발표
n1940년 미 대통령 선거
-Franklin D. Roosevelt v. Wendell L. Willkie
n대공황이 끝나가고 2차 대전 참전 직전
n3천명을 패널 서베이 조사
nOhio주 Erie 카운티 선정
중효과
n1970년대 전후 제한 효과에 대한 비판에서 제기
n미디어는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음을 주장
n이용과 충족
n의제설정
n계발이론 등
이용과 충족
n개인은 자신의 필요, 욕망에 따라 정보를 추구하며 미디어를 이용(uses)해 나름대로의 만족(gratification)을 얻음
n매스미디어의 설득적 효과에만 초점을 둔 한정효과이론에 대한 반발
nWhat the media do to people?-->What people do with the media?
의제설정
n사건에 대한 보도의 양에 따라 사건의 중요성에 대한 공중의 신념이 결정됨
n미디어가 특정 의제를 선택하여 강조하면 수용자들은 그 의제를 중요한 것으로 간주, 즉 미디어는 특정 이슈에 대한 수용자들의 지각이나 기대치를 현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침
n반복된 보도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속에 이슈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미디어의 능력
-예)공중은 단순히 신문에서 범죄기사의 비중이 커질수록 범죄를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인식
계발이론
n사람들의 인식, 태도, 가치에 대한 텔레비전 시청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
nTV 중시청자(heavy viewer)는 TV 속의 세상을 실제 세상의 모습으로 간주하는 경향
n이러한 노출의 효과는 보편적 세계관, 보편적 역할, 보편적 가치에 대한 가르침을 생산함
계발이론
n중시청자는 종종 TV에서 묘사되는 세계에 근접한 대답을 함-세계인구의 몇 프로가 미국에 살고 있는가?
n정확한 답은 6%-그러나 중시청자는 경시청자보다 이수치를 훨씬 높게 추정-티비 오락프로의 주요 인물이 거의 항상 미국인 이기때문
n치안업무관련 직업을 가진 미국인 비율은? 정답은 1%-하지만 중시청자는 훨씬 높은 수치를 제시
n1주간 당신이 폭력에 연루될 기회는 얼마나?
n사람을 믿을 수 있습니까?
n유사한 답변
강력효과
n1970년대 중반 이후 오늘날까지 지배적 미디어 효과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n신중하게 제작된 프로그램이나 캠페인을 제공한다면 미디어는 결국 강력한 효과를 지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
침묵의 나선 이론
nElisabeth Noelle-Neumann, 1973, 80
n미디어의 강력한 영향력을 가정함
n미디어의 누적성, 편재성, 일치성이 결합되어 여론에 강력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고 주장
n누적성-특정한 주제나 메시지가 일회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형성됨
n편재성-미디어가 사회전반에 광범위하게 존재
n일치성-각종 미디어가 사람들 간에 공유되고 발전될 수 있는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통일된 상을 의미, 사람들이 다른 메시지를 선택할 수 없게 함으로써 미디어가 제시하는 방향대로 문제를 바라본다는 인상을 만들어냄
침묵의 나선 이론
n논쟁적 문제가 있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다수에 속해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려 함
n자신의 의견이 소수에 속한다고 느끼거나, 여론이 자신의 의견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 이슈에 침묵
n미디어는 사람들이 여론의 향방을 찾으려 하는 정보원-따라서 침묵의 나선에서 중요한 역할
프레이밍
n미디어가 어떤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수용자가 사건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틀을 함께 형성하도록 영향을 미침
n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인식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함
n수용자가 이슈를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의료보험을 윤리적 틀(권리와 도덕을 강조)로 보도하면 수용자들은 윤리적 이슈로 해석
-사회적 틀(개인과 사회에 대한 비용과 수익을 강조)로 보도하면 의료보험을 사회적 이슈로 해석 경향
지식격차
n매스컴은 사회 구성원들간에 지식격차를 증가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가능성도 가지고 있음
n매스미디어 정보가 증가하면 할수록 SES가 높은 계층은 낮은 계층보다 이런 정보를 더욱 빠르게 습득
n따라서 계층 간의 지식격차는 더욱 증가함
n지식격차는 공공문제나 과학뉴스와 같은 일반적 영역에서 일어나기 쉽고 스포츠 혹은 정원 가꾸기 등 사람들의 특정한 흥미와 관련된 특수 영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다고 주장
선별적 노출(Selective exposure)
n수 용자들 자신의 기존 태도나 관심에 일치되는 미디어의 내용만 접촉하려고 하며 그렇지 않은 것은 기피
nExpose themselves to media whose contents relates to their interests
nEx) A hunter skips the fishing pieces
-Outdoors enthusiasts choose
-Academics subscribe to
선별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
n접촉한 미디어의 내용도 자신들의 선유경향(Predispositions)에 따라 자신들 나름대로 지각하거나 해석해서 수용하는 경향
선별적 기억(Selective retention)
n수용한 미디어 내용 중에서도 어떤 것은 기억하거나 유지하지만 어떤 것은 쉽게 망각해버리는 심리적 경향
nWhile people remember many things that were extremely pleasurable or that coincided with their beliefs, they have a harder time calling up the memory's file on other things
Two-Step Flow 이론
n수용자들은 미디어 메시지로 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다기 보다는 가족이나 동료 등 Opinion Leader를 통해 영향을 받는 경향-2단계를 거침
n여론지도자-매스 미디어를 통해 습득한 정보를 다른 구성원들에게 전달 역할
n미디어는 개인의 태도나 의사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지못하는 것으로 봄
Two-Step Flow 이론의 배경
n탄환에 비판이 대두되던 1948년에 발표
n1940년 미 대통령 선거
-Franklin D. Roosevelt v. Wendell L. Willkie
n대공황이 끝나가고 2차 대전 참전 직전
n3천명을 패널 서베이 조사
nOhio주 Erie 카운티 선정
중효과
n1970년대 전후 제한 효과에 대한 비판에서 제기
n미디어는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음을 주장
n이용과 충족
n의제설정
n계발이론 등
이용과 충족
n개인은 자신의 필요, 욕망에 따라 정보를 추구하며 미디어를 이용(uses)해 나름대로의 만족(gratification)을 얻음
n매스미디어의 설득적 효과에만 초점을 둔 한정효과이론에 대한 반발
nWhat the media do to people?-->What people do with the media?
의제설정
n사건에 대한 보도의 양에 따라 사건의 중요성에 대한 공중의 신념이 결정됨
n미디어가 특정 의제를 선택하여 강조하면 수용자들은 그 의제를 중요한 것으로 간주, 즉 미디어는 특정 이슈에 대한 수용자들의 지각이나 기대치를 현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침
n반복된 보도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속에 이슈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미디어의 능력
-예)공중은 단순히 신문에서 범죄기사의 비중이 커질수록 범죄를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인식
계발이론
n사람들의 인식, 태도, 가치에 대한 텔레비전 시청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
nTV 중시청자(heavy viewer)는 TV 속의 세상을 실제 세상의 모습으로 간주하는 경향
n이러한 노출의 효과는 보편적 세계관, 보편적 역할, 보편적 가치에 대한 가르침을 생산함
계발이론
n중시청자는 종종 TV에서 묘사되는 세계에 근접한 대답을 함-세계인구의 몇 프로가 미국에 살고 있는가?
n정확한 답은 6%-그러나 중시청자는 경시청자보다 이수치를 훨씬 높게 추정-티비 오락프로의 주요 인물이 거의 항상 미국인 이기때문
n치안업무관련 직업을 가진 미국인 비율은? 정답은 1%-하지만 중시청자는 훨씬 높은 수치를 제시
n1주간 당신이 폭력에 연루될 기회는 얼마나?
n사람을 믿을 수 있습니까?
n유사한 답변
강력효과
n1970년대 중반 이후 오늘날까지 지배적 미디어 효과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n신중하게 제작된 프로그램이나 캠페인을 제공한다면 미디어는 결국 강력한 효과를 지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
침묵의 나선 이론
nElisabeth Noelle-Neumann, 1973, 80
n미디어의 강력한 영향력을 가정함
n미디어의 누적성, 편재성, 일치성이 결합되어 여론에 강력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고 주장
n누적성-특정한 주제나 메시지가 일회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형성됨
n편재성-미디어가 사회전반에 광범위하게 존재
n일치성-각종 미디어가 사람들 간에 공유되고 발전될 수 있는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통일된 상을 의미, 사람들이 다른 메시지를 선택할 수 없게 함으로써 미디어가 제시하는 방향대로 문제를 바라본다는 인상을 만들어냄
침묵의 나선 이론
n논쟁적 문제가 있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다수에 속해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려 함
n자신의 의견이 소수에 속한다고 느끼거나, 여론이 자신의 의견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그 이슈에 침묵
n미디어는 사람들이 여론의 향방을 찾으려 하는 정보원-따라서 침묵의 나선에서 중요한 역할
프레이밍
n미디어가 어떤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수용자가 사건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틀을 함께 형성하도록 영향을 미침
n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인식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함
n수용자가 이슈를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의료보험을 윤리적 틀(권리와 도덕을 강조)로 보도하면 수용자들은 윤리적 이슈로 해석
-사회적 틀(개인과 사회에 대한 비용과 수익을 강조)로 보도하면 의료보험을 사회적 이슈로 해석 경향
지식격차
n매스컴은 사회 구성원들간에 지식격차를 증가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가능성도 가지고 있음
n매스미디어 정보가 증가하면 할수록 SES가 높은 계층은 낮은 계층보다 이런 정보를 더욱 빠르게 습득
n따라서 계층 간의 지식격차는 더욱 증가함
n지식격차는 공공문제나 과학뉴스와 같은 일반적 영역에서 일어나기 쉽고 스포츠 혹은 정원 가꾸기 등 사람들의 특정한 흥미와 관련된 특수 영역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다고 주장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학] 그림교환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아동의 소집단에서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간호 연구 계획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4학년 간호학생의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목적합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의 내용과 차이점(비교)...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사례]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20개 이상 제시...
사티어(Satir)의 의사소통 유형 중에서 갈등상황에서의 자신의 의사소통유형을 찾아보고, 그...
[영아발달] 효과적인 의사소통 중에서 나-전달의 뜻을 설명하고, 자신이 겪은 실제상황을 예...
[사회복지실천론] 자신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해 작성해보시오 (의사소통기술)
[유아발달] 영유아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발달에 적합한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해 논...
(한국어교육론 공통)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주요 원리와 방법을 다른 언어 교수법과 비교하...
[의미왜곡] 의사소통 모델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에서의 의미왜곡을 해결하는 방안을 작성하세요.
행복한 부부관계를 위해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고, 이 중 의사소통...
(특수아교육 D형) 의사소통장애, 시각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
행복한 부부관계를 위해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고, 이 중 의사소통...
가족생활 영역 중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는 2가지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