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사적 방법론의 개관
(1) 정신사(精神史)의 사전적 의미
(2) 정신사(精神史)의 내포적 의미
(3) 정신사적 방법론의 철학적 토대
2. 정신사와 실증주의
(1) 정신사적 방법론의 등장
(2) 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
3.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
(1) 체험의 기초 위에서 이해
(2) 작품상황의 고립화
(3) 직관적 종합
(4) 연역
(5) 주관적인 것의 존중
(6) 체험ㆍ이해ㆍ표현의 비판적 순환
4. 정신사적 방법론의 실제 문학 연구 사례
(1) 작가정신
(2) 시대정신
5. 결론
(1) 정신사적 연구의 의의와 한계
(2) 의문점
(1) 정신사(精神史)의 사전적 의미
(2) 정신사(精神史)의 내포적 의미
(3) 정신사적 방법론의 철학적 토대
2. 정신사와 실증주의
(1) 정신사적 방법론의 등장
(2) 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
3.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
(1) 체험의 기초 위에서 이해
(2) 작품상황의 고립화
(3) 직관적 종합
(4) 연역
(5) 주관적인 것의 존중
(6) 체험ㆍ이해ㆍ표현의 비판적 순환
4. 정신사적 방법론의 실제 문학 연구 사례
(1) 작가정신
(2) 시대정신
5. 결론
(1) 정신사적 연구의 의의와 한계
(2) 의문점
본문내용
권 1호, 부산대학교 pp.63~64
실증주의와 마찬가지로 정신사적 방법도 단순히 문학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신과학 전반에 걸치는 사조(思潮)이다. 실증주의 철학은 자연과학적 문학 연구방법으로서, 작품의 원전, 유래사, 작가의 성장환경에 대한 철저한 연구로 성과를 올렸으나, 자료로서는 확인되지 않는 형이상학적 깊은 문제는 방기되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한 새로운 흐름이 W.딜타이에 의한 정신사적 문학이론이다. 이것은 R. 웅거에 의해 하나의 문학 연구 방법론으로 체계화되었다. R.웅거는 일찍이 헤겔이 철학적 근본문제의 변증법적 발전 속에 철학사를 파악하려 한 것과 같이 역시 문학을 근본문제의 발전의 투영으로 보아 문학사가 문제사임을 주장한다. 김윤식(1978). 앞의 책, p.263
이를 통해 볼 때,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관계는 완전한 반대의 관계라기보다는 변증법적 이며 일부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관계는 완전한 반대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김천혜(1975)에서는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이 실증주의에 대한 광범한 반대입장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오히려 실증주의의 실질적 부정자는 포슬러, 프리드리히 등으로 대표되는 반역사주의자들이며, 딜타이를 비롯한 정신사적 방법론자들이 여기에 포함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 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
주지한 바와 같이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이 서로를 부정하는 관계에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그 발생의 경과로 볼 때 필연적으로 상이함과 독자적인 면을 가지고 있음을 쉽게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나열해보면 다음의 [표2] M.마렌 그리제바하, 장영태 역(1982) 문학연구의 방법론, 홍성사. p.49
와 같다.
실증적 사고
정신사적-이념적 사고
문학에 반영되고 있는 존재
☞
문학이 창조하고 있는 사고
문학에 앞서 있는 현실성
☞
문학에 나타나고 있는 이념
역사적 사실
☞
초시간적 본질
문학은 현세의 일부분(내재성)
☞
문학은 형이상학적(초월성)
소여된 것의 경험
☞
창조적인 것으로서의 정신
문학을 결정 짓는 필연성과 인과
☞
문학을 자율적이게 해주는 자유
[표2]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대한 정신사적 방법론의 상이성과 독자성
3.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 이 장은 대부분 위의 책에서 요약, 발췌하였음을 밝힌다.
(1) 체험의 기초 위에서 이해
오스카
실증주의와 마찬가지로 정신사적 방법도 단순히 문학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신과학 전반에 걸치는 사조(思潮)이다. 실증주의 철학은 자연과학적 문학 연구방법으로서, 작품의 원전, 유래사, 작가의 성장환경에 대한 철저한 연구로 성과를 올렸으나, 자료로서는 확인되지 않는 형이상학적 깊은 문제는 방기되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한 새로운 흐름이 W.딜타이에 의한 정신사적 문학이론이다. 이것은 R. 웅거에 의해 하나의 문학 연구 방법론으로 체계화되었다. R.웅거는 일찍이 헤겔이 철학적 근본문제의 변증법적 발전 속에 철학사를 파악하려 한 것과 같이 역시 문학을 근본문제의 발전의 투영으로 보아 문학사가 문제사임을 주장한다. 김윤식(1978). 앞의 책, p.263
이를 통해 볼 때,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관계는 완전한 반대의 관계라기보다는 변증법적 이며 일부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관계는 완전한 반대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김천혜(1975)에서는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이 실증주의에 대한 광범한 반대입장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오히려 실증주의의 실질적 부정자는 포슬러, 프리드리히 등으로 대표되는 반역사주의자들이며, 딜타이를 비롯한 정신사적 방법론자들이 여기에 포함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 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
주지한 바와 같이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이 서로를 부정하는 관계에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그 발생의 경과로 볼 때 필연적으로 상이함과 독자적인 면을 가지고 있음을 쉽게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증주의와 정신사적 방법론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나열해보면 다음의 [표2] M.마렌 그리제바하, 장영태 역(1982) 문학연구의 방법론, 홍성사. p.49
와 같다.
실증적 사고
정신사적-이념적 사고
문학에 반영되고 있는 존재
☞
문학이 창조하고 있는 사고
문학에 앞서 있는 현실성
☞
문학에 나타나고 있는 이념
역사적 사실
☞
초시간적 본질
문학은 현세의 일부분(내재성)
☞
문학은 형이상학적(초월성)
소여된 것의 경험
☞
창조적인 것으로서의 정신
문학을 결정 짓는 필연성과 인과
☞
문학을 자율적이게 해주는 자유
[표2]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대한 정신사적 방법론의 상이성과 독자성
3. 정신사적 방법론의 특징 이 장은 대부분 위의 책에서 요약, 발췌하였음을 밝힌다.
(1) 체험의 기초 위에서 이해
오스카
추천자료
카프문학사 요약
국화와칼(루스 베네딕트 저)을 읽고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론의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볼링 포 콜럼바인을 보고.. [형사정책상 분석]
천변풍경 연구
유종호<시읽기의 방법>을 읽고, 시 교육의 문제점과 방안 고찰
역사주의 비평
구약지혜서독서보고서
시크릿 - 시대를 초월한 부와 성공의 비밀을 읽고
유정아의 서울대 말하기 강의를 읽고 - 인간관계와 스피치에 관하여
문학비평이론(현대비평의 이해)
미술과(미술교육, 미술수업)의 특성과 목표, 미술과(미술교육, 미술수업)의 기능과 내용, 미...
근대 소설 교육의 실제 -[고등학교 국어(하) 교과서 수록] 이청준 『눈길』을 중심으로-
1930년대 프로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