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1 총회결의서 525(13) : 선박에 대한 항행 및 기상경보와 긴급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협대역 직접인쇄전신장치에 대한 성능기준
1.2 총회결의서 694(17) : GMDSS 일부를 구성하는 선박용 무선설비 및 전자항해보조장치의 일반 요건
1.3 총회결의서 808(19) : 쌍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V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
1.4 총회결의서 570(14) : 선박지구국의 형식승인
1.5 MSC 130(75) : 쌍방향통신이 가능한 Inmarsat 선박지구국 성능기준
1.6 총회결의서 803(19) :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V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7 총회결의서 804(19) :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M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8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MF/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9 총회결의서 810(19) : 406Khz에서 작동하는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COSPAS-SARSAT(7기의 저궤도위성(LEO SAR, 지상850~1000KM상공 NOAA위성)과 4기의 고정위성(GEO SAR)으로 나누어지며 현재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EPIRB는 단문송출(112bit의 정보)이므로 저궤도위성에서 수신. 이는 위성이 지나가면서 조난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도풀러효과에 의해 계산되어 조난의 위치를 파악. 그 오차는 약 5~10KM 정도. 이 위성은 공전주기가 약 12시간 이며 실제 수평선에 떠서 사라질 때까지는 약 15분이 소요. 위성송출신호인 406.025MHz는 50초 마다 발사되므로 한번 머리위로 위성이 지나갈 때 최대 18회까지 수신이 가능. 장문송출(144bit) EPIRB는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적도 상공의 고정위성(GEO SAR)에서만 수신(해독)이 가능하며 시간에 구애 없이 수신이 가능)에서 작동하는 EPIRB의 형식승인
1.10 총회결의서 802(19) : SAR작업에 사용할 생존정 Radar transponder에 대한 성능기준
1.11 총회결의서 805(19) : 자유부양 VHF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1.12 총회결의서 807(19) : 직접인쇄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는 Inmarsat Standard-C형 선박지구국에 대한 성능기준 및 총회결의서 570(14) : 선박지구국의 형식승인
1.13 총회결의서 664(16) : Enhanced group call equipment(집단호출장비)에 대한 성능기준
1.14 총회결의서 812(19) : 1.6Ghz에서 정지궤도 Inmarsat위성체계를 통하여 작동하는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1.15 총회결의서 662(16) : 비상무선설비를 위한 자유부양성 이탈 및 작동장치에 대한 성능기준
1.16 총회결의서 699(17) : 고주파 협대역직접인쇄를 사용하여 해상안전정보의 전파 및 조정에 대한 시스템 성능기준
1.17 총회결의서 700(17) : NAVTEX에 대한 성능 기준
1.18 총회결의서 811(19) : GMBDSS를 사용할 때 본선 Integrated Radio Communication sys(IRCS, 통합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성능기준
1.19 결의서 MSC 80(70) annex 1 : 항공용 쌍방향 휴대용 VHF무선전화기의 성능요건
Reg 15 Maintenance requirements(정비요건)
1 설비 주요부품의 교환의 용이성
2 검사 및 정비 목적상 접근 용이성
3 기구의 권고를 고려하여 설비의 작동ㆍ유지할 수 있도록 자료의 제공
4 정비 가능을 위한 충분한 공구ㆍSpare(예비부품)의 비치
5 주관청은 본 장에서 요구하는 무선설비가 Reg 4에서 규정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설비의 권고된 성능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정비의 필요성을 확보
6 A1ㆍ2해역의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설비의 이중화ㆍ육상정비ㆍ항해중 전자정비능력 또는 주관청이 승인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정비요건을 확보
7 A3ㆍ4해역의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기구의 권고를 고려하여 설비의 이중화ㆍ육상정비ㆍ항해중 전자정비능력 또는 주관청이 승인할 수 있는 최소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정비요건을 확보(A3ㆍ4해역에 대한 GMDSS무선정비지침에 관한 총회결의서 A702(17) 참조
8 Reg 4에서 규정한 모든 기능 요건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의 효율적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치를 취함. Reg 4.8항에서 요구되는 일반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의 기능부전은 선박의 감항성이 없는 것 또는 수리시설의 확보가 어려운 항구에 있는 선박을 지연시키는 사유로 간주되지 않음. 단 이 선박은 조난 및 안전기능은 수행 요구
9 위성EPIRB
9.1 매년 아래 규정된 간격으로 작동성능에 관한 모든 항목과, 특히 작동주파수의 발신상태ㆍCoding(부호)입력상태ㆍ등록사항은 중점 점검
9.1.1 여객선은 여객선안전증서 만료일 전 3개월 이내
9.1.2 화물선은 화물선안전무선증서 만료일 전 3개월 이내, 또는 연차일의 전후 3개월 이내. 이 점검은 선박 또는 승인된 시험장소에서 시행
9.2 5년을 넘지 않는 간격으로 승인된 육상의 계약된 정비장소에서 정비
Reg 16 Radio Personnel(무선통신담당자)
1 모든 선박은 조난 및 안전통신의 목적으로 주관청이 만족하는 자격의 선원을 승선. 무선통신규칙에서 정한 증서 소지자이고, 그 중의 어느 한 선원은 조난사고시 무선통신규칙에 대한 주된 책임을 지님.
2 여객선에서 조난사고시 위의 1항에 규정된 자격증소지자 중 최소 1명을 무선통신업무만 수행하도록 지명
Reg 17 Radio recording(무선일지)
주관청이 만족하고 무선통신규칙의 요구대로 기록 유지
Reg 18 Position updating(위치최신화)
조난경보에 선박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선박에 탑재된 모든 쌍방향통신장비는 내장 또는 외부 항해수신기로부터 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 이와 같은 수신기가 없는 선박은 항해하는 동안 선박의 위치와 그 위치를 식별한 시각을 4시간을 넘지 않는 간격으로 수동 입력하고 그 통신장비로 항상 발신할 수 있는 준비상태 유지
1.2 총회결의서 694(17) : GMDSS 일부를 구성하는 선박용 무선설비 및 전자항해보조장치의 일반 요건
1.3 총회결의서 808(19) : 쌍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V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
1.4 총회결의서 570(14) : 선박지구국의 형식승인
1.5 MSC 130(75) : 쌍방향통신이 가능한 Inmarsat 선박지구국 성능기준
1.6 총회결의서 803(19) :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V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7 총회결의서 804(19) :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M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8 음성통신 및 DSC 가능한 MF/HF무선설비에 대한 성능기준('00.1.1 이후 설치)
1.9 총회결의서 810(19) : 406Khz에서 작동하는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COSPAS-SARSAT(7기의 저궤도위성(LEO SAR, 지상850~1000KM상공 NOAA위성)과 4기의 고정위성(GEO SAR)으로 나누어지며 현재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EPIRB는 단문송출(112bit의 정보)이므로 저궤도위성에서 수신. 이는 위성이 지나가면서 조난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도풀러효과에 의해 계산되어 조난의 위치를 파악. 그 오차는 약 5~10KM 정도. 이 위성은 공전주기가 약 12시간 이며 실제 수평선에 떠서 사라질 때까지는 약 15분이 소요. 위성송출신호인 406.025MHz는 50초 마다 발사되므로 한번 머리위로 위성이 지나갈 때 최대 18회까지 수신이 가능. 장문송출(144bit) EPIRB는 GPS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적도 상공의 고정위성(GEO SAR)에서만 수신(해독)이 가능하며 시간에 구애 없이 수신이 가능)에서 작동하는 EPIRB의 형식승인
1.10 총회결의서 802(19) : SAR작업에 사용할 생존정 Radar transponder에 대한 성능기준
1.11 총회결의서 805(19) : 자유부양 VHF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1.12 총회결의서 807(19) : 직접인쇄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는 Inmarsat Standard-C형 선박지구국에 대한 성능기준 및 총회결의서 570(14) : 선박지구국의 형식승인
1.13 총회결의서 664(16) : Enhanced group call equipment(집단호출장비)에 대한 성능기준
1.14 총회결의서 812(19) : 1.6Ghz에서 정지궤도 Inmarsat위성체계를 통하여 작동하는 EPIRB에 대한 성능기준
1.15 총회결의서 662(16) : 비상무선설비를 위한 자유부양성 이탈 및 작동장치에 대한 성능기준
1.16 총회결의서 699(17) : 고주파 협대역직접인쇄를 사용하여 해상안전정보의 전파 및 조정에 대한 시스템 성능기준
1.17 총회결의서 700(17) : NAVTEX에 대한 성능 기준
1.18 총회결의서 811(19) : GMBDSS를 사용할 때 본선 Integrated Radio Communication sys(IRCS, 통합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성능기준
1.19 결의서 MSC 80(70) annex 1 : 항공용 쌍방향 휴대용 VHF무선전화기의 성능요건
Reg 15 Maintenance requirements(정비요건)
1 설비 주요부품의 교환의 용이성
2 검사 및 정비 목적상 접근 용이성
3 기구의 권고를 고려하여 설비의 작동ㆍ유지할 수 있도록 자료의 제공
4 정비 가능을 위한 충분한 공구ㆍSpare(예비부품)의 비치
5 주관청은 본 장에서 요구하는 무선설비가 Reg 4에서 규정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설비의 권고된 성능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정비의 필요성을 확보
6 A1ㆍ2해역의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설비의 이중화ㆍ육상정비ㆍ항해중 전자정비능력 또는 주관청이 승인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정비요건을 확보
7 A3ㆍ4해역의 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기구의 권고를 고려하여 설비의 이중화ㆍ육상정비ㆍ항해중 전자정비능력 또는 주관청이 승인할 수 있는 최소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정비요건을 확보(A3ㆍ4해역에 대한 GMDSS무선정비지침에 관한 총회결의서 A702(17) 참조
8 Reg 4에서 규정한 모든 기능 요건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비의 효율적 작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치를 취함. Reg 4.8항에서 요구되는 일반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의 기능부전은 선박의 감항성이 없는 것 또는 수리시설의 확보가 어려운 항구에 있는 선박을 지연시키는 사유로 간주되지 않음. 단 이 선박은 조난 및 안전기능은 수행 요구
9 위성EPIRB
9.1 매년 아래 규정된 간격으로 작동성능에 관한 모든 항목과, 특히 작동주파수의 발신상태ㆍCoding(부호)입력상태ㆍ등록사항은 중점 점검
9.1.1 여객선은 여객선안전증서 만료일 전 3개월 이내
9.1.2 화물선은 화물선안전무선증서 만료일 전 3개월 이내, 또는 연차일의 전후 3개월 이내. 이 점검은 선박 또는 승인된 시험장소에서 시행
9.2 5년을 넘지 않는 간격으로 승인된 육상의 계약된 정비장소에서 정비
Reg 16 Radio Personnel(무선통신담당자)
1 모든 선박은 조난 및 안전통신의 목적으로 주관청이 만족하는 자격의 선원을 승선. 무선통신규칙에서 정한 증서 소지자이고, 그 중의 어느 한 선원은 조난사고시 무선통신규칙에 대한 주된 책임을 지님.
2 여객선에서 조난사고시 위의 1항에 규정된 자격증소지자 중 최소 1명을 무선통신업무만 수행하도록 지명
Reg 17 Radio recording(무선일지)
주관청이 만족하고 무선통신규칙의 요구대로 기록 유지
Reg 18 Position updating(위치최신화)
조난경보에 선박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선박에 탑재된 모든 쌍방향통신장비는 내장 또는 외부 항해수신기로부터 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 이와 같은 수신기가 없는 선박은 항해하는 동안 선박의 위치와 그 위치를 식별한 시각을 4시간을 넘지 않는 간격으로 수동 입력하고 그 통신장비로 항상 발신할 수 있는 준비상태 유지
추천자료
한국헌법상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국내판례
국제법(북한 탈북 난민문제)
국제 사회와 국제법 (걸프전, 이라크전, 이중국적문제, 독도문제)
국제법 주요 판례
국제법에 의한 국내의 적용
국제법상 섬에 관한 판례 및 독도 문제 분석
국제인도법의 발전과정
국제인권 요약 정리(국제법)
2009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국제사법재판소의 준칙)
2007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인권의 국제적보호체제)
2010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A형(국제사회에서의무력사용)
2010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국제사법재판소의 재판의 준칙)
국제법에서 종교적 권리, 신의 개념에 대한 종교적 입장, 그리스신화의 종교적 성질, 단군 담...
[사회복지와 인권] 정신장애인에 관한 차별 (이슈, 국내법, 국제법, 해외사례, 문제점,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