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쉰 아큐정전과 이광수 무정 비교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루쉰 아큐정전과 이광수 무정 비교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Ⅱ. 본 론
1. 작가소개
2. 작품소개
3. 사실구조(Facts)
(1) 플롯(Plot)
(2) 인물성격(character)
(3) 배경(setting)
4. 문학적 장치(Literary divices)
(1) 제목(Title)
(2) 시점(point of view)
(3)문체와 어조(style)
5. 주제(Theme)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26년 정부의 문화 탄압과 국공분열 뒤의 불안한 사회정세를 피해 상하이의 조계에 숨어 지내기도 했다. 이때 루쉰은 주국 좌익작가연맹의 중심인물이 되어 극좌적 경향과 대립하면서 프롤레타리아 문학 이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1936년 10월19일 중일전쟁이 일어나기 전해에 세상을 떠났다.
루쉰은 우리나라의 이광수에 버금가는 작가이다. 이광수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소설 『무정』을 발표하여 한국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열었듯이, 루쉰도 중국 최초의 근대 소설 『광인 일기』를 통해 중국 문학에 커다란 충격을 던져 주었다. 그는 여기에서 문학 작품에도 사람들이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투를 그대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이후의 문학 활동에서는 유교 사회의 낡은 사상에 젖어 있던 당시 중국인들의 병폐를 낱낱이 드러내어 중국의 근대화를 한 발짝 앞당기게 하였다. 특히 이것은 그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든 소설 『阿Q正傳』에 잘 나타나 있다.
7년 간의 유학 끝에 1909년 중국으로 돌아간 노신은 모국어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21년 아큐정전을 발표해 타락한 중국을 밑에서부터 비판해 올라갔다. 즉, 더 망할 래야 망할 것이 없는 머저리 \'아Q\'라는 주인공을 통해 유지급 위선자들을 신랄히 풍자했던 것이다. 이 수법을 가리켜 노신의 상향식 계몽주의라고 부른다. 「광인일기」, 「아큐정전」, 「약」 등 루쉰의 소설들은 중국의 근대화를 위해 신해혁명의 군대보다 더 큰 공헌을 한 것이라고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의 로맹 롤랑은 아큐정전에 대해 위대한 리얼리즘의 작품이라는 찬사를 보내었다. 대조해 보건대 우리나라 문학사의 같은 연대에 소설가 이광수가 보인 하향식 계몽주의의 문제가 있다. 소설의 주인공인 무정의 ‘이형식’ 이라든가 흙의 ‘허숭’처럼 전문학교를 다녀 교사라든가 변호사가 되어 신분이 불쌍한 도포들을 깨우쳐 주기 위해 민중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것이 이광수 소설의 수법이다. 여기에는 다분히 선민의식, 시혜의식 , 자기만족적 비장감이 있어 본질적으로는 위선이게 된다. 따라서 민족주의자로 출발한 작가가 뒤에 극단적인 친일에 기울어 민족을 배반한 결과에 이르게 되었다. 『역사와 인간(구중서 문학평론 선집)』, 문학과 현대사상, 구중서, 작가, 2001
이것이 루쉰과 이광수의 차이이자 이광수의 씻지 못할 문제점이다.
2. 작품소개
(1) 이광수의 『無情』과 루쉰의 『阿Q正傳』
1) 무정
춘원 이광수의 첫 장편 소설로 한국 근대 문학사상 최초의 장편 소설이란 평가를 받는 작품으로 1917년 1월∼6월까지 \'매일 신보\'에 연재된 작품이다. 근대 의식과 계몽 의식을 고취하면서 자아의 각성을 촉구하고, 근대적 인물의 창조, 심리 묘사, 구어체 사용 등으로 소설 문학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신소설에 비해 남녀간의 애정 문제를 구체화했고, 섬세한 심리 묘사로까지 발전하였다. 전환기의 새로운 애정관, 민족주의적 열정과 계몽성, 신구 가치관의 대립과 갈등 등을 반영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구여성 - 영채, 신여성 - 선형과 두 여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형식 등 세 남녀의 애정 관계가 민족애로 승화되는 줄거리가 중심을 이룬다. 즉, 작자는 봉건적 도덕관과 신문명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는 당시 개화기 한국인들의 갈등을 팽팽한 윤리관의 저울 위에 올려놓고, \'나\'라는 개인보다는 \'민족\'이라는 커다란 이상으로 승화시킴으로써 민족 계몽이라는 주제 의식을 부각시킨다. 특히, 인물의 근대적 성격, 합리적 사건 전개, 현재 진행형과 과거형의 적절한 사용, 평이하고 자연스런 문장 등은 문학사적인 커다란 성과이다. 또한 특정한 공간 및 시간을 설정하여 사실주의적인 묘사에 한층 심화된 모숩을 보이며 공간을 묘사하는 방법도 대단히 구체성을 띠고 있다.
그리하여 이 작품을 현대 문학의 첫 출발점으로 삼는 데 이의가 없게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시대적 진취성(계몽주의적)이 잘 드러나고 있으며, 구도덕적인 여인의 정절과 기교도적 순결성이 미묘하게 잘 얽혀 있고, 인물들의 관계는 사제관계의 축으로 맺어지고 있다.
2) 아큐정전
1921년부터 베이징의 《천바오》 부록판에 연재되었다가, 1923년에 제1단편집 《눌함》에 수록되었다. 신해혁명을 전후한 농촌을 배경으로, 정확한 성명도 모르는 최하층의 날품팔이 농민인\'아Q의 전기\'라는 형식으로 쓴 소설이다. 혁명당원을 자처했으나 도둑으로 몰려서 싱겁게 총살되어 죽는 아Q의 운명을, 혁명 앞에서도 끄떡없는 지배력을 가지고 마을에 군림하는 지주 조가와의 대조로 그려냄으로써 신해혁명의 쓰디쓴 좌절을 나타내고 있다.
모욕을 받아도 저항할 줄을 모르고 오히려 머리 속에서 \'정신적 승리\'로 탈바꿈시켜 버리는 아Q의 정신구조를 희화화함으로써 철저히 파헤쳐, 당시 사람들이 자기가 바로 모델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을 정도로, 중국 구사회의 병근을 적나라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 후 이 작품에 대해서는 치엔싱 추언 등의 심한 비판이 있었으나, 중국 현대문학의 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는 아무런 이의가 없으며, 오늘날에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무정』과 『아큐정전』작품분석
-작품의 사실구조와 주제 문학적 장치에 대해 알아보면서 현실문제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3. 사실구조(Facts)
(1) 플롯(Plot)
1) 무정
발단 - 경성학교 영어 교사인 형식은 김 장로의 부탁을 받고 그의 딸 선형에게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다. 선형은 지식인 여성으로 형식은 선형에게 호감을 느끼고 박영채 라는 기생이 형식의 하숙집 에서 찾아온다. 영채는 형식을 사모하지만 감옥에 갇힌 아비를 구하기 위해 기생이 된다. 허나 이를 형식에게 알리지 않고 떠나고 형식은 그런 영채에게서 불쾌감과 함께 그리움을 느낀다.
전개 - 그 뒤 영채가 기생이 된 사연을 알고 또한 형식을 좋아하여 수절해 왔다는 말을 듣게 된다. 형 식은 눈물을 흘리는 한편, 그녀가 기생이라는 혐오감과 미인이라는 갈등을 주체하지 못한다. 또 한 선형에 대한 호감과 은사의 딸이면서 혼인 얘기가 오고간 영채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위기 - 형식은 경성 학교 학감 배명식이 평양에서 온 기생 계월향의 꽁무니를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4.08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