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추출방법(활률적표본추출방법,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본추출방법(활률적표본추출방법,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다는 것이다.
즉, 모집단이 무한이 많은 경우, 모집단의 정확한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 파괴적 인조사를 해야 할 경우(자동차의 안전도 및 내구성 검사의 경우) 등에는 표본조사 를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표본추출을 통한 표본조사의 목적들에 비추 어 볼때 , 연구조사자는 조사 결과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자세가 요구된다.
모집단을 잘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하여야 한다.
신뢰성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표본의 정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주어진 비용과 시간을 경제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標本抽出의 基礎槪念 남궁 근, 『행정조사방법론 3판』, 법문사, 2003. p431~p436
母集團(population) 모집단(population)이란 조사의 대상이되는 집단으로, 조사자가 조사를 통하여 직접 자료를 수집하거나 표본조사에 의한 통계적 추정에 의하여 자료를 얻으려는 대상집단을 말한다.
모집단은 시간(time), 범위(extent), 내용(content) 이라는 측면에서 명확하게 규 정해야한다. Nachmias & Nachmias, ResearchMethods in the Social Siences, 1987, p181.
構成要素(element)와 標本抽出(sampling unit)단위 구성요소란 모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위를 말하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관한정보가 표본조사에서 분석의 기초가 된다. 즉 모집단은 구성요소들의 전수(全數)가 된다. 한편 표본추출단위는 각 단계에서 표본으로 추출되는 단위이다. 1단계 표본추출에서는 표본추출단위(sampling unit)와 구성요소(element)가 일치하지만, 다단계 표본추출에서는 표본추출의 각 단계마다 표본추출단위가 선정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추출단위와 구성요소가 일치된다.
표본추출의 프레임 표본추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계별로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록을 표본추출 프레임(sampling frame)이라 부른다. 어떠한 원천으로부터 얻어지든 간에 표본추출 프레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모집단을 잘 대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집단과 표본추출 프레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표본추출 프레임오차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법문사, 1990, p 337.
라고 한다. Leslie Kish는 표본추출 프레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문제의 유형을 크게 3가지로 분류했다. Leslies Kish, Survey Samping, New York: wiley, 1965, section 2.7.; Nachmias & Nachmias, op cit., p. 183에서 재인용
일부의 표본추출단위가 목록에서 빠져서 표본추출 프레임이 불완전한 경우.
원하는 구성요소(element list)는 구할 수 없고 그 대신 이들을 포함하는 집락목록(cluster list)만 이용 가능한 경우.
모집단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다른 요소가 표본추출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표본추출 비율(P) =
標本抽出比率 표본추출의 비율은 모집단의 크기에 대한 표본 크기의 비율을 말한다. 총 인원수10000명 중 1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다면 표본추출비율(p)=표본크기(n)/모집단 크기(N)=100/10000=1/100 이 된다. 그런데 상황에 따라서는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위집단별로 표본의 비율을 달리하여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가중표본추출(weighted sampling)이라고 부른다. <표 1> 표본추출 비율
標本抽出 誤差와 非標本抽出 誤差 표본자료에서 표본의 특성에 대한 통계량(statistics), 즉 표본의 산술평균, 표준편차, 비율 등이 계산된다. 그런데 연구자들의 관심은 이러한 표본의 특성으로부터 모집단의 특성값, 즉 모수(parameters)를 추정하고자 하는 것 이다. 그런데 표본 통계량과 모집단의 모수는 일치하지 않는데 이 차이를 표본추출오차라고 부른다. 비표본추출오차는 조사의 실시과정 및 조사결과의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표본조사나 전수조사(全數調査)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이다.
標本抽出의 유형과 비교 표본추출의 유형은 크게 확률적 표본추출방법과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http://blog.naver.com/e7079/130017271214
표 본 추 출 방 법
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계통적 표본추출(통계적 표본추출)
층화 표본추출
집락 표본추출(지역표본추출)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임의 표본추출(편의표본추출)
유의 표본추출
할당 표본추출
누적 표본추출(눈덩이표본추출)
판단 표본추출
확률적 표본추출방법과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의 세부적 유형 <표 2 > 표본추출방법
기 준
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연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
동등함, 알려짐
동등하지 않음, 알려지지않음
표집
무작위적
인위적
표본의 통계치로 모집단의 모치수 추정
편의가 없음
편의가 있음
모치수 추정 가능성
추정가능
추정 불가능
오차측정 가능성
측정 가능
측정 불가능
시간과 비용
많이 소요
절약
모집단의 규모와 성격
명확히 규정
불명확 또는 불가능
확률적 표본추출방법과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의 비교 <표 3> 확률적 표본추출방법과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의 비교
確率的 標本抽出 方法 확률적 표본 추출방법은 일정한 확률에 의해서 추출하는 방법으로 모집단에 대한 통계적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백훈, 『디지털시대의 調査方法論』3판, 성문사, 2003, p.181
單純無作爲 標本抽出方法
단순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의 의의 단순무작위 표본추출방법(simple random sampling)은 기본적인 확률 표본 추출 방법으로 글자 그대로 의식적인 조작이 전혀 없이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는 모집단의 모든 요소가 동등한 추출 기회를 가진다.
표본추출방법
모집단과 표본추출 프레임을 작성한다.
각 구성요소에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무작위로 규정된 표본의 수만큼 표본단위를 선정한다. 이때 추첨법, 난수표, 컴 퓨터를 이용한 난수의 추출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첨법 :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모집단 목?Ⅸ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4.1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