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과의사결정]이동통신시장에서의 SKT와 KTF의 마케팅 전략 비교분석 (리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과의사결정]이동통신시장에서의 SKT와 KTF의 마케팅 전략 비교분석 (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 정립

3. 사례연구
1) 환경 분석
2) SWOT 분석
3) 영상통화의 기반
4) 경쟁관계 분석
5) SHOW vs 3G+ 전략 분석

4. 개인적 의견 및 제안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품질화를 달성할 것이다. 또한 평생번호, UMS(Unified Message Service), 번호 이동성처럼 서비스 제공업체 등에 따른 서비스 차별화가 아닌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요구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예상되는 핵심서비스로는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게임, 긴급서비스를 위시한 위치기반서비스,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다.
4) 경쟁관계 분석
(1) 한국 이동통신 산업의 경쟁사 분석(이동통신 서비스)
1)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 현황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1997년 5개사 경쟁체제로 들어서면서 가입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으나 2000년대 이후 증가율이 10%내외로 둔화되면서 성숙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2007년 12월 현재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현재 4000만 명을 넘어선 상태이다.
1999년 이동통신요금은 10초를 기준으로 26원에 달했으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의 요금인하 경쟁의 영향으로 소비자 단체 및 정부의 요금인하 압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07년 현재 표준요금을 기준으로 10초당 19원의 요금이 책정되고 있다.
사업자별 이동통신가입자 수는 가장 먼저 시장에 진출한 SK텔레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신세기 통신과의 합병으로 큰 폭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으나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장점유율 제한정책으로 50%이하 점유율을 유지하게 되었다. 2001년 이후 3사 체제로 들어서면서 SK텔레콤의 뒤를 이어 KTF와 LG텔레콤의 순으로 시장점유율은 안정화 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매출액은 2006년을 기준으로 선두기업인 SK텔레콤이 약 10조 6510억원, KTF가 약 6조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경쟁이 과열됨에 따라 SKT와 KTF간의 가입자 수 확보에도 두 자사간의 경쟁이 치열한 상태이다.
위의 표에서 보면 SHOW라는 영상통화를 중심으로 한 KTF의 브랜드가 3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 선도적으로 나서서 마케팅을 펼친 결과, SKT보다 더 많은 가입자 수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5) SHOW vs 3G+ 전략 분석
(1) SHOW vs 3G+경쟁 배경
그들은 각종 언론매체를 통한 대대적인 promotion은 물론 이제는 서로 비방하는 광고마저 주저 하지 않는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이동통신 회사인 KTF와 SKT가 이렇듯 각각 SHOW vs 3G+에 전력투구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이유는 바로 3.5세대 통신에 있다. SHOW vs 3G+는 모두 화상통화 라고 하는 3.5세대 통신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현재 KTF와 SKT는 3.5세대 통신이 당분간 이동통신 기술혁신의 마지막 단계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즉, 3.5세대 통신 시장의 안정적 점유가 곧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지금껏 SKT는 2G 기반이었다. 2G에선 SKT는 800Mhz대역, KTF는 1.8Ghz대역에서 사업을 했다.
주파수 특성상 SKT가 인프라 투자를 덜하고도 ‘잘 터지는’유리한 상황이었다. HSDPA(고속하향패킷접속을 통해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WCDMA나 CDMA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3.5세대 이동통신방식이다.)에선 그러나 둘 다 2Ghz 대역으로 같은 조건이다. KTF는 이번이 아니면 1위 도전 기회가 영영 없을지도 모른다.
(2) SHOW vs 3G+ 마케팅 전략.
1) SHOW vs 3G+ 광고전략
‘쇼(SHOW)’와 ‘쓰리지 플러스(3G+)\'. 최근 텔레비전을 비롯해 신문, 잡지, 인터넷 등에서 심심찮게 마주치는 말이다. 두 가지 모두 차세대 이도통신 브랜드로, 고속 데이터패킷 접속 시대를 맞아 영상통화와 무선데이터 통신의 새로운 장을 열겠다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사이다.
SHOW는 KTF의 새로운 통신 브랜드 이고, 3G+는 SK텔레콤의 브랜드이다. 각종 매체에서는 두 회사의 브랜드를 놓고 어떤 회사의 전략이 소비자에게 더 잘 먹혀 들어갔는지 많은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다.
두 브랜드는 광고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듯 ‘화상통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두 브랜드가 3월부터 내놓고 있는 광고를 보면 이전 광고와 많이 달라 보인다.
SK텔레콤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난해 7월 19일, 새로운 이동통신 대표 브랜드인 ‘T\'를 선보였다. ‘T\'는 통신(Telecom), 기술(Technology), 최고(Top), 신뢰(Trust)등을 상징하며, 단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뛰어넘는 ‘유비 쿼터스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이후 8월 1일부터 ‘T\'의 본격 런칭과 함께 HSDPA 서비스는 \'T 3G+\'로, 요금제는 \'T PLAN\'으로, 고객 체험형 매장을 ‘T World\'로 통일시켰다. 이동통신 서비스 초기 ‘스피드011’이라는 이름을 널리 앞세웠던 것과는 질적으로 큰 변화다. SK텔레콤이 밝힌 것처럼 이제는 통신 회사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미디어 그룹’으로 자리 잡기를 희망하고 있다.
난데없이 나타난 “나는 나를 좋아 한다 . 나는T다”라는 광고는 이 같은 전략을 잘 보여준다. 통신 이야기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개성이 강한 젊은이들만 등장한다. 그런데 이런 전략에 차질이 빚어진 것일까? KTF의 반격에 시장을 선도하는 SK텔레콤이 웬일로 반응을 보인다. ‘보여주는 쇼는 싫다’라는 멘트를 자사 광고에 집어넣으면서 말이다. 후발 주자와의 비교를 원치 않았던 SK텔레콤으로서는 아주 이례적인 일이다.
KTF는 HSDPA, 즉 화상통화와 무선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통신 서비스 시장에 ‘올인’하고 있다. KTF도 ICET(정보,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거래)등 이동통신사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하긴 했지만 SK텔레콤에 비해서는 공격적이지 않았다.
그런 KTF가 지난 3월 HSDPA 전국망을 구축하면서 ‘SHOW’라는 브랜드 알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갑자기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티저 광고를 내보이더니 이제는 각 세대별로 화상통화에 대한 느낌을 담은 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키워드

KTF,   SKT,   3G,   영상통화,   3세대이동통신,   SHOW,   3G+,   경쟁기업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4.1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