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수행,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심폐소생술 후 간호,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CPR 수행,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심폐소생술 후 간호,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본문내용
Ⅱ. 본 론
지금부터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수행,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심폐소생술 후 간호, 심폐소생술의 합병증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심폐소생술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기본 인명구조술 :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서 혈액순환이나 호 흡기능의 정지,기능 부전을 방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
전문 인명 구조술 : 기본인명구조술로 생명이 유지시, 기구나 약제를 이용하여 보다 철저 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시행
1. 심정지
- 심장마비. 심장의 수축이 멈춘 상태
- 심박동과 혈액순환 및 호흡이 갑자기 중단되는 응급상황
- 임상적으로 사망을 의미하나 뇌조직과 다른 기관들이 약간의 산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생물학적으로는 살아 있는 것
- 심실세동, 심장수축부전,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기도폐색, 폐색전증 등으로 예기치 않 게 일어남
- 심정지 후 4-6분이 지나게 되면 뇌와 중추신경계 조직은 영구적인 심한 손상으로 인하 여 생물학적인 사망에 이르게 됨
- 심장마비는 심장 질환의 합병증으로 흔히 발생함
-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는 심폐소생술이 필수적
2. 심정지의 징후
- 갑작스런 의식상실과 함께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소실되며 동공이 이완됨
(경동맥의 맥박소실은 확실한 심장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적 징후)
- 혈압을 잴 수 없으며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함
⇒ 경우에 따라서는 경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의 맥박이 아주 약하게 나타날 수가 있으나 이때는 낮은 심박출량으로 인하여 뇌나 신장, 간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하고 환자에게 심장마비가 왔다고 의심되거나 진단을 명확히 내릴 수 없을 때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함
(1)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CPR)
-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된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적으 로 가해지는 간호술
- 심정지나 심박동 이상 환자에게 인공적으로 심장 압박, 폐를 환기시켜 생명을 구하는
응급 소생술
- 심정지 후 적어도 3~4분이내에 실시, 6분이 경과하면 벌써 사망단계에 이르므로 CPR의 효과 없음
- 심정지 확인되면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즉시 실시
- 시작하기 전에 시술자는 제일 먼저 심정지의 시간을 확인
- 즉시 환자를 단단한 판이나 마루바닥, 심정지 판위에 눕힘( 심장 압박으로 인한 자극이 심장 에 쉽게 전달될수 있기 위함 )
- 심폐소생술 실시의 우선순위는 기본적 소생법 ABC로 표현됨
- 두사람의 시술자가 함께 시행하는것이 효과적
- 한사람은 인공호흡, 또 한사람은 심장압박을 가함
(2) 간호사의 책임
환자 간호를 직접 담당하는 간호사에게 CPR은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될 임무임
모든 의료인들은 심폐소생술에 익숙해야 하고, 간호사는 환자의 가족이나 주위 사람 들에게 응급소생술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 응급상태에 대비
심정지 상태를 곧 인지하고 뇌의 무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즉시 실시하며 의사나 응급요원에게 급히 도움을 청함
(3)심정지 환자의 간호관리 - 심폐소생술
▶ 1단계((basic life support : BLS))
: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등 포함한 응급간호의 시행
▶ 2단계(advanced life support : ALS, ACLS)
: 특수한 약물치료를 중심으로 의학적 치료
▶ 3단계(prolonged life support : PLS)
: 환자의 소생 후에 합병증의 예방과 정신적 간호가 중심이 되는 소생 후 간호
(4) CPR의 수행
CPR의 우선 순위 및 내용
1단계
A - airway (기도확보)
B - breathing (인공호흡)
C - circulation, cardiac compression (심장압박)
의의 : 심폐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 내에 중추신경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
2단계
D - drugs (약물치료)
E - ECG (심전도)
F - fibrillation treatment (심실세동 제거)
의의 : 심정지 후의 의학적 치료로 환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 유지시킴에 목적을 둠
3단계
G - gauze (측정) : V/S, ABGA, 기타 검사를 실시→원인과 환자상태 파악
H - hypothermia (저체온) : 조직에서의 산소소모량줄이고, 뇌부종과 뇌압상승치료
I - intensive care (집중간호) : 소생후 환자상태호전→중환자실로 이동, 집중간호
① 의식확인
- 환자의 무반응성을 확인
- 환자의 어깨를 부드럽게 흔들면서 큰소리로 물어봄 \"괜찮습니까?\"
의식이 있을 때
의식이 없을 때
- 환자의 원래 자세를 움직이지 말고, 환자의 상태를 점검
- 필요하면 도움을 요청하거나 회복자세를 취하게 함
- 환자의 상태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재평가
- 도움요청(고함치기, 119호출)
② 환자의 자세
- 환자의 자세를 누운 자세로 반듯이 눕힘
- 단단하고 편평한 장소에
지금부터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수행,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심폐소생술 후 간호, 심폐소생술의 합병증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심폐소생술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기본 인명구조술 :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함으로서 혈액순환이나 호 흡기능의 정지,기능 부전을 방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
전문 인명 구조술 : 기본인명구조술로 생명이 유지시, 기구나 약제를 이용하여 보다 철저 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시행
1. 심정지
- 심장마비. 심장의 수축이 멈춘 상태
- 심박동과 혈액순환 및 호흡이 갑자기 중단되는 응급상황
- 임상적으로 사망을 의미하나 뇌조직과 다른 기관들이 약간의 산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생물학적으로는 살아 있는 것
- 심실세동, 심장수축부전,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기도폐색, 폐색전증 등으로 예기치 않 게 일어남
- 심정지 후 4-6분이 지나게 되면 뇌와 중추신경계 조직은 영구적인 심한 손상으로 인하 여 생물학적인 사망에 이르게 됨
- 심장마비는 심장 질환의 합병증으로 흔히 발생함
-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는 심폐소생술이 필수적
2. 심정지의 징후
- 갑작스런 의식상실과 함께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소실되며 동공이 이완됨
(경동맥의 맥박소실은 확실한 심장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특징적 징후)
- 혈압을 잴 수 없으며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함
⇒ 경우에 따라서는 경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의 맥박이 아주 약하게 나타날 수가 있으나 이때는 낮은 심박출량으로 인하여 뇌나 신장, 간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하고 환자에게 심장마비가 왔다고 의심되거나 진단을 명확히 내릴 수 없을 때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함
(1)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CPR)
-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된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적으 로 가해지는 간호술
- 심정지나 심박동 이상 환자에게 인공적으로 심장 압박, 폐를 환기시켜 생명을 구하는
응급 소생술
- 심정지 후 적어도 3~4분이내에 실시, 6분이 경과하면 벌써 사망단계에 이르므로 CPR의 효과 없음
- 심정지 확인되면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즉시 실시
- 시작하기 전에 시술자는 제일 먼저 심정지의 시간을 확인
- 즉시 환자를 단단한 판이나 마루바닥, 심정지 판위에 눕힘( 심장 압박으로 인한 자극이 심장 에 쉽게 전달될수 있기 위함 )
- 심폐소생술 실시의 우선순위는 기본적 소생법 ABC로 표현됨
- 두사람의 시술자가 함께 시행하는것이 효과적
- 한사람은 인공호흡, 또 한사람은 심장압박을 가함
(2) 간호사의 책임
환자 간호를 직접 담당하는 간호사에게 CPR은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될 임무임
모든 의료인들은 심폐소생술에 익숙해야 하고, 간호사는 환자의 가족이나 주위 사람 들에게 응급소생술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 응급상태에 대비
심정지 상태를 곧 인지하고 뇌의 무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즉시 실시하며 의사나 응급요원에게 급히 도움을 청함
(3)심정지 환자의 간호관리 - 심폐소생술
▶ 1단계((basic life support : BLS))
: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등 포함한 응급간호의 시행
▶ 2단계(advanced life support : ALS, ACLS)
: 특수한 약물치료를 중심으로 의학적 치료
▶ 3단계(prolonged life support : PLS)
: 환자의 소생 후에 합병증의 예방과 정신적 간호가 중심이 되는 소생 후 간호
(4) CPR의 수행
CPR의 우선 순위 및 내용
1단계
A - airway (기도확보)
B - breathing (인공호흡)
C - circulation, cardiac compression (심장압박)
의의 : 심폐소생술의 기본적 구급처치로서 수초 내에 중추신경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
2단계
D - drugs (약물치료)
E - ECG (심전도)
F - fibrillation treatment (심실세동 제거)
의의 : 심정지 후의 의학적 치료로 환자의 호흡과 순환을 재개, 유지시킴에 목적을 둠
3단계
G - gauze (측정) : V/S, ABGA, 기타 검사를 실시→원인과 환자상태 파악
H - hypothermia (저체온) : 조직에서의 산소소모량줄이고, 뇌부종과 뇌압상승치료
I - intensive care (집중간호) : 소생후 환자상태호전→중환자실로 이동, 집중간호
① 의식확인
- 환자의 무반응성을 확인
- 환자의 어깨를 부드럽게 흔들면서 큰소리로 물어봄 \"괜찮습니까?\"
의식이 있을 때
의식이 없을 때
- 환자의 원래 자세를 움직이지 말고, 환자의 상태를 점검
- 필요하면 도움을 요청하거나 회복자세를 취하게 함
- 환자의 상태 정기적으로 반복하여 재평가
- 도움요청(고함치기, 119호출)
② 환자의 자세
- 환자의 자세를 누운 자세로 반듯이 눕힘
- 단단하고 편평한 장소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