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쓸데없는 생각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생각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데도 불구하고 이성이나 논리 등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교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올라
고통 받는 경우.
(6) 이인증(depersonalization)
:사고는 정상적이지만 자신의 사고가 자신의 생각이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것.
(7) 집착(preoccupation)
:어떤 특정 생각이 그 사람의 모든 사고영역을 지배하고 있는 상태.
(8) 공포(phobia)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해 사실무근한 위험을 느껴 두려워하는 것으로
내적 불안요소가 외부의 대상으로 투사, 이동, 상징화되어 나타난 것.
-광장공포증, 고소공포증, 폐소공포증, 대인공포증, 적면공포증,
질병공포증, 곤충공포증 등
(9)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ing)
:자신의 생각이 TV나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어 다른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다고 하는 것.
(10) 사고주입(thought insertion)
:자기생각은 본인 생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강제로 넣어 준다고
생각하는 것.
(11) 사고유출(thought leakage)
:자신의 생각이 밖으로 빠져나간다는 것.
(12) 사고탈취(deprivation of thought)
:누군가 자신의 생각을 빼앗아 간다는 것.
2) 사고 진행 장애(disorder of progression of thought)
(1)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
:연상활동이 지나치게 빨라 대상자의 생각과 대화가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으로 결국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기도 함.
전체적인 논리성은 결여되어 있지만 단편적인 연결성은 있음.
(2) 사고의 우회증(circumstantiality)
:어떤 관념에서 시작해서 사고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고의 주류와
비주류를 구분하지 못해 여러 부수적인 연상의 가지를 치면서 빙빙 돌다가 결국 목적했던 결론에 이르게 되는 현상.
(3) 사고의 이탈(tangentiality)
:빗나간 사고를 말하는 것으로 다시 중심 요점으로 결코 되돌아가지 못해 결과적으로 처음 의도한 생각이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
(4) 사고의 지연(retardation of thought)
:사고 과정에서 연상속도가 매우 느려짐으로써 사고가 원활하지 못한 현상.
(5) 사고의 단절(blocking)
:사고의 흐름 혹은 문장의 중간에서 갑자기 멈추게 되는 현상
(6) 사고의 박탈(deprivation of thought)
:사고의 단절이 아주 심해 아예 처음부터 전혀 생각나지 않는 것.
(7) 사고의 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or derailment)
:전혀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적은 대상으로 연상이 진행되는 것.
(8) 사고의 지리멸렬(incoherent thinking)
:말이 연결되지 않고 일관성이나 조리가 없어서 이야기의 줄거리나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현상.
(9) 말비빔(word salad)
:지리멸렬의 극심한 형태로, 전혀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단어들만 나열하는 현상.
(10) 부적절한 사고(irrelevant thinking)
:질문 내용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동문서답식의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경우
(11) 보속증(perseveration)
:계속해서 새로운 자극이 주어지고 사고를 진행시키려고 노력하는데도
사고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머물러 있게 되는 현상
3) 사고 내용 장애(disorder of thought content)
(1) 망상(delusion)
:사실과 다른 불합리하고 잘못된 믿음으로 사고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그 사람의 교육정도나 환경에 부합되지 않으며 이성이나 논리에 의해
교정되지 않는 특성이 있음.
① 의심증(suspiciousness)
:초자연적인 존재나 악마 같은 인간이 아닌 존재까지도 포함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해를 입어 왔고, 다른 사람에게 그런 의도가 있다는 현재의 믿음.
대상자가 타인에게 해를 입었다고 믿거나 혹은 타인이 자신을 해치려는 의사가 있다고 믿는 광범위한 정신적 경험.
②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
:어떤 사람이나 외적인 존재가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에게 해를 주는
어떤 행위를 하고 있다고 하는 잘못된 믿음으로, 자신을 부당하게
괴롭히고, 속이고, 고통을 주고, 피해를 입히려 하고, 인생을 비참하게
만들려 하며,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믿는 것.
- 추적망상-자신이
그 생각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데도 불구하고 이성이나 논리 등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교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올라
고통 받는 경우.
(6) 이인증(depersonalization)
:사고는 정상적이지만 자신의 사고가 자신의 생각이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것.
(7) 집착(preoccupation)
:어떤 특정 생각이 그 사람의 모든 사고영역을 지배하고 있는 상태.
(8) 공포(phobia)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해 사실무근한 위험을 느껴 두려워하는 것으로
내적 불안요소가 외부의 대상으로 투사, 이동, 상징화되어 나타난 것.
-광장공포증, 고소공포증, 폐소공포증, 대인공포증, 적면공포증,
질병공포증, 곤충공포증 등
(9)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ing)
:자신의 생각이 TV나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어 다른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다고 하는 것.
(10) 사고주입(thought insertion)
:자기생각은 본인 생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강제로 넣어 준다고
생각하는 것.
(11) 사고유출(thought leakage)
:자신의 생각이 밖으로 빠져나간다는 것.
(12) 사고탈취(deprivation of thought)
:누군가 자신의 생각을 빼앗아 간다는 것.
2) 사고 진행 장애(disorder of progression of thought)
(1)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
:연상활동이 지나치게 빨라 대상자의 생각과 대화가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으로 결국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기도 함.
전체적인 논리성은 결여되어 있지만 단편적인 연결성은 있음.
(2) 사고의 우회증(circumstantiality)
:어떤 관념에서 시작해서 사고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고의 주류와
비주류를 구분하지 못해 여러 부수적인 연상의 가지를 치면서 빙빙 돌다가 결국 목적했던 결론에 이르게 되는 현상.
(3) 사고의 이탈(tangentiality)
:빗나간 사고를 말하는 것으로 다시 중심 요점으로 결코 되돌아가지 못해 결과적으로 처음 의도한 생각이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
(4) 사고의 지연(retardation of thought)
:사고 과정에서 연상속도가 매우 느려짐으로써 사고가 원활하지 못한 현상.
(5) 사고의 단절(blocking)
:사고의 흐름 혹은 문장의 중간에서 갑자기 멈추게 되는 현상
(6) 사고의 박탈(deprivation of thought)
:사고의 단절이 아주 심해 아예 처음부터 전혀 생각나지 않는 것.
(7) 사고의 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or derailment)
:전혀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적은 대상으로 연상이 진행되는 것.
(8) 사고의 지리멸렬(incoherent thinking)
:말이 연결되지 않고 일관성이나 조리가 없어서 이야기의 줄거리나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현상.
(9) 말비빔(word salad)
:지리멸렬의 극심한 형태로, 전혀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단어들만 나열하는 현상.
(10) 부적절한 사고(irrelevant thinking)
:질문 내용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동문서답식의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경우
(11) 보속증(perseveration)
:계속해서 새로운 자극이 주어지고 사고를 진행시키려고 노력하는데도
사고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머물러 있게 되는 현상
3) 사고 내용 장애(disorder of thought content)
(1) 망상(delusion)
:사실과 다른 불합리하고 잘못된 믿음으로 사고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그 사람의 교육정도나 환경에 부합되지 않으며 이성이나 논리에 의해
교정되지 않는 특성이 있음.
① 의심증(suspiciousness)
:초자연적인 존재나 악마 같은 인간이 아닌 존재까지도 포함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해를 입어 왔고, 다른 사람에게 그런 의도가 있다는 현재의 믿음.
대상자가 타인에게 해를 입었다고 믿거나 혹은 타인이 자신을 해치려는 의사가 있다고 믿는 광범위한 정신적 경험.
② 피해망상(persecutory delusion)
:어떤 사람이나 외적인 존재가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에게 해를 주는
어떤 행위를 하고 있다고 하는 잘못된 믿음으로, 자신을 부당하게
괴롭히고, 속이고, 고통을 주고, 피해를 입히려 하고, 인생을 비참하게
만들려 하며,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믿는 것.
- 추적망상-자신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