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판례의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요건의 완화경향
2. 사업의 양도·인수·합병과 경영해고
2. 사업의 양도·인수·합병과 경영해고
본문내용
준으로 사용자 지위에 변동이 있으므로 누가 해고권자인지를 밝혀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사업양도에 있어서는 양수인이 경영해고의 주체가 된다고 하는 견해, 양도인 또는 피인수·피합병인이 경영해고의 주체가 된다고 하는 견해 및 사업주의 변경 이전까지는 양도인이 해고권자가 되며 사업주 변경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는 양수인이 해고권자가 된다고 하는 견해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사업양도에 있어서는 양수인이 경영해고의 주체가 된다고 하는 견해, 양도인 또는 피인수·피합병인이 경영해고의 주체가 된다고 하는 견해 및 사업주의 변경 이전까지는 양도인이 해고권자가 되며 사업주 변경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는 양수인이 해고권자가 된다고 하는 견해가 있다.
추천자료
무한경쟁시대의 화이트칼라 인력개발
비정규직 문제의 원인과 현황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쟁의행위에 있어서 정당성과 업무방해죄
여성의 비정규직 현황과 개선방안
구조조정의 지원체제
한국사회의 불평등-노동자문제,빈익빈 부익부
한국자본주의의 특징
기업 구조조정과 인플레이스먼트
[한국사회문제C형]서구 사회의 일자리 나누기 여러방법 검토, 우리사회의 일자리나누기 방법...
단체교섭의 대상과 쟁의행위의 정당성
쌍용차 사태의 노사측 쟁점
비자발적 이직 관리
[법률해석][근로자파견 법령]법률해석의 목적, 법률해석과 근로자파견 법령, 법률해석과 GPL(...
[비정규직문제] 비정규직 차별대우와 고용불안정 현황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