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주도 방언의 음운적 특징
2. 제주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제주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2. 제주도 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제주도 방언의 어휘적 특징
본문내용
: 구둠
둘다 먼지란 뜻이지만‘몬지’는 가라앉아 있는 상태,‘구둠’은 날아다니는 상태
- 목 : 자게/자게기
몸통과 머리를 잇는 부분에서 앞쪽이면 ‘목’, 뒤쪽이면 ‘자게/자게기’
- 지레 : 공상
둘다 키의 뜻이지만 ‘지레’는 사람에게, ‘공상’은 마소 등 동물에게 사용
3) 고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① ‘ㄱ’에 ‘ㆍ’모음이 연결되어서 형성된 고어가 여전히 남아 있다.
ex) 득다(가득하다) , 트다(같다), 을 슬(가을), 애기(쌍둥이)
② 표준말에서 이미 사라져버린 ‘ㅅ’음이 아직도 남아있다.
옛말
제주방언
표준말
애
새
가위
부름
부스름
부으름
나
나시, 난쟁이
냉이
아
아시
아우
여
여시
여우
겨
저슬
겨울
가
슬
가을
슬
마을
4) 한 단어의 다양한 형태가 공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ex) 나무(木) : 남, 낭, 나모, 나무
전부(全部) : 멘딱, 말짱, 모도, 모다, 모두
바다(海) : 바롯, 바당, 바릇
5) 몽골어와 일본어의 영향으로 생긴 단어들이 많다.
<몽골어> 가라(검은말), 고라(회색말), 적다(붉은말), 녹대(말굴레)
<일본어> 역기(도끼, よき-요키) 쟈왕(밥공기, ちゃわん-챠왕) 후로(목욕탕,ふろ-후로)
둘다 먼지란 뜻이지만‘몬지’는 가라앉아 있는 상태,‘구둠’은 날아다니는 상태
- 목 : 자게/자게기
몸통과 머리를 잇는 부분에서 앞쪽이면 ‘목’, 뒤쪽이면 ‘자게/자게기’
- 지레 : 공상
둘다 키의 뜻이지만 ‘지레’는 사람에게, ‘공상’은 마소 등 동물에게 사용
3) 고어의 흔적이 남아있다.
① ‘ㄱ’에 ‘ㆍ’모음이 연결되어서 형성된 고어가 여전히 남아 있다.
ex) 득다(가득하다) , 트다(같다), 을 슬(가을), 애기(쌍둥이)
② 표준말에서 이미 사라져버린 ‘ㅅ’음이 아직도 남아있다.
옛말
제주방언
표준말
애
새
가위
부름
부스름
부으름
나
나시, 난쟁이
냉이
아
아시
아우
여
여시
여우
겨
저슬
겨울
가
슬
가을
슬
마을
4) 한 단어의 다양한 형태가 공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ex) 나무(木) : 남, 낭, 나모, 나무
전부(全部) : 멘딱, 말짱, 모도, 모다, 모두
바다(海) : 바롯, 바당, 바릇
5) 몽골어와 일본어의 영향으로 생긴 단어들이 많다.
<몽골어> 가라(검은말), 고라(회색말), 적다(붉은말), 녹대(말굴레)
<일본어> 역기(도끼, よき-요키) 쟈왕(밥공기, ちゃわん-챠왕) 후로(목욕탕,ふろ-후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