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목차
1987년 이후 한국경제의 재조명
경제시스템과 거시경제의 순환
표류중인 한국형 발전모델
노사관계 변화
기업조직 변화
기업구조 변화와 설비투자
산업구조의 변화와 수출
표류중인 한국형 발전모델
Korean Economy in Transition
한국경제의 급속한 디지털화
‘기업가정신’이 재배하는 디지털 시대
경제운용 패러다임 변화
기술혁명과 사회의 변화
디지털경제의 정의
디지털경제의 개념
디지털경제의 범위
The Twelve Themes of the New Economy: Don Tapscott
New Rules for the New Economy: Kevin Kelly
디지털경제의 새로운 법칙
가치창출 주요수단의 변화
생산요소, 기술 및 능력의 변화
Digital 경제의 평가
인류사의 3대 혁명
경기순환(Business Cycle)
재고투자의 형태 변화
설비투자의 형태 변화
디지털경제와 경기변동
Frictionless Economy
디지털 경제와 경제성장
디지털경제의 경제적 의미(1)
디지털경제의 특징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Digital 시대의 고용환경 변화
고용의 디지털 격차 발생 흐름
소비의 형태 변화
디지털 경제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혁명이 소비부문에 미치는 영향(1)
디지털 경제와 산업구조(1)
기업조직 및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1)
디지털경제와 사회적 변화
사이버 파워 (Cyber Power)
디지털 경제의 쌍봉형 소득분포
디지털 격차와 부의 순환
디지털경제의 특징: 타 기술혁명과 유사한 특징
디지털경제의 특징: 타 기술혁명과 상이한 특징
디지털경제와 경제성과
참고문헌
경제시스템과 거시경제의 순환
표류중인 한국형 발전모델
노사관계 변화
기업조직 변화
기업구조 변화와 설비투자
산업구조의 변화와 수출
표류중인 한국형 발전모델
Korean Economy in Transition
한국경제의 급속한 디지털화
‘기업가정신’이 재배하는 디지털 시대
경제운용 패러다임 변화
기술혁명과 사회의 변화
디지털경제의 정의
디지털경제의 개념
디지털경제의 범위
The Twelve Themes of the New Economy: Don Tapscott
New Rules for the New Economy: Kevin Kelly
디지털경제의 새로운 법칙
가치창출 주요수단의 변화
생산요소, 기술 및 능력의 변화
Digital 경제의 평가
인류사의 3대 혁명
경기순환(Business Cycle)
재고투자의 형태 변화
설비투자의 형태 변화
디지털경제와 경기변동
Frictionless Economy
디지털 경제와 경제성장
디지털경제의 경제적 의미(1)
디지털경제의 특징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Digital 시대의 고용환경 변화
고용의 디지털 격차 발생 흐름
소비의 형태 변화
디지털 경제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혁명이 소비부문에 미치는 영향(1)
디지털 경제와 산업구조(1)
기업조직 및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1)
디지털경제와 사회적 변화
사이버 파워 (Cyber Power)
디지털 경제의 쌍봉형 소득분포
디지털 격차와 부의 순환
디지털경제의 특징: 타 기술혁명과 유사한 특징
디지털경제의 특징: 타 기술혁명과 상이한 특징
디지털경제와 경제성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치의 민주화
박정희 모델로 상징되는 국가발전주의 모델의 부분적 해체
노조와 시민단체의 전면 등장으로 경제의 작동 system 변화
경제의 자유화
냉전체제 종식(1990년대 초반), WTO체제출범(1995), OECD가입(1996)
국경과 정부의 보호막에서 Global 경쟁에 노출
경제시스템과 거시경제의 순환
1987-1997 : 거시경제적 안정성과 경제제도의 비효율성이 공존한 혼돈의 시기이자 후발 산업화 모델의 쇠퇴기
내수 주도형 경제성장 또는 수출과 내수의 조화로운 성장가능성이 짧게나마 실현된 시기
그러나 거시경제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경제제도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취약
산업화 모델을 대체하기 위해 필수적인 금융. 노동 등의 점진적 개혁이 이익집단의 반발과 정부의 조정능력 부재로 실패
경제 살리기 100일 작전, 경쟁력 10% 높이기 운동 등과 같은 임기응변적인 구호성 조치가 반복
개혁의 조급증은 개방을 통한 충격요법(shock therapy)에 의존하게 만드는 단초를 제공
□ ’97-현재 : 외환위기의 상흔과 새로운 대안의 부재
외환위기 이후 구조개혁은 단기 위기관리에 치중하여 중,장기 성장역량에 대한 고려가 부족
경제주체들은 외환위기의 상흔(trauma) 및 개혁의 관성(inertia)에 억눌려 불확실성(fundamental uncertainty)에 민감하게 반응
수익성 위주의 위험회피적 기업경영(저투자), 소비위축, 미래불안 등 경제활력이 저하
→1987년 이후 제기된 새로운 발전모델 구축의 과제는 그대로 남아 있음
거시경제적 안정성과 더불어 이를 지탱해 줄 경제제도의 upgrading이 필요
경제적 자유화와 정치적 민주화를 조화시킬 수 있는 제3의 모델?
* 한국형 후발산업화 모델의 공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
* 이념적 논쟁이 아닌 실용적 대안으로 복귀
□ 1980년대 중반 이후 설비투자 재원 조달상의 변화가 시작
- 기업의 내부자금 조달 비중이 증가 : 23.8%(1972~1979년) → 40.1%(1980~1989년)
정부 주도 중화학 공업화 정책에서 탈피하여 기업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한 투자가 본격화
기존업체와 신규진입업체 사이의 경쟁이 심화
□ 외환위기 이후 1980년 이래 가장 낮은 설비투자율이 지속
설비투자율 : 14%(1990 ~ 96년) → 10.1%(1998 ~ 2005년)
내수부진으로 비 제조업 부문 설비투자증가율(2000 ~ 2004년)이 -1.1%
제조업 내에서는 IT부문이 전체 설비투자의 40%이상을 차지
□ 한국 경제에서 수출은 산업구조 변화와 경제성장의 동인
- 유치산업 보호에 입각한 수출주도형 공업화 전략의 20C 성공사례
강한 성장지향성, 자립지향성, 정부주도 등 한국 경제의 원형(prototype)이 수출을 통해 형성
박정희 모델로 상징되는 국가발전주의 모델의 부분적 해체
노조와 시민단체의 전면 등장으로 경제의 작동 system 변화
경제의 자유화
냉전체제 종식(1990년대 초반), WTO체제출범(1995), OECD가입(1996)
국경과 정부의 보호막에서 Global 경쟁에 노출
경제시스템과 거시경제의 순환
1987-1997 : 거시경제적 안정성과 경제제도의 비효율성이 공존한 혼돈의 시기이자 후발 산업화 모델의 쇠퇴기
내수 주도형 경제성장 또는 수출과 내수의 조화로운 성장가능성이 짧게나마 실현된 시기
그러나 거시경제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경제제도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취약
산업화 모델을 대체하기 위해 필수적인 금융. 노동 등의 점진적 개혁이 이익집단의 반발과 정부의 조정능력 부재로 실패
경제 살리기 100일 작전, 경쟁력 10% 높이기 운동 등과 같은 임기응변적인 구호성 조치가 반복
개혁의 조급증은 개방을 통한 충격요법(shock therapy)에 의존하게 만드는 단초를 제공
□ ’97-현재 : 외환위기의 상흔과 새로운 대안의 부재
외환위기 이후 구조개혁은 단기 위기관리에 치중하여 중,장기 성장역량에 대한 고려가 부족
경제주체들은 외환위기의 상흔(trauma) 및 개혁의 관성(inertia)에 억눌려 불확실성(fundamental uncertainty)에 민감하게 반응
수익성 위주의 위험회피적 기업경영(저투자), 소비위축, 미래불안 등 경제활력이 저하
→1987년 이후 제기된 새로운 발전모델 구축의 과제는 그대로 남아 있음
거시경제적 안정성과 더불어 이를 지탱해 줄 경제제도의 upgrading이 필요
경제적 자유화와 정치적 민주화를 조화시킬 수 있는 제3의 모델?
* 한국형 후발산업화 모델의 공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
* 이념적 논쟁이 아닌 실용적 대안으로 복귀
□ 1980년대 중반 이후 설비투자 재원 조달상의 변화가 시작
- 기업의 내부자금 조달 비중이 증가 : 23.8%(1972~1979년) → 40.1%(1980~1989년)
정부 주도 중화학 공업화 정책에서 탈피하여 기업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한 투자가 본격화
기존업체와 신규진입업체 사이의 경쟁이 심화
□ 외환위기 이후 1980년 이래 가장 낮은 설비투자율이 지속
설비투자율 : 14%(1990 ~ 96년) → 10.1%(1998 ~ 2005년)
내수부진으로 비 제조업 부문 설비투자증가율(2000 ~ 2004년)이 -1.1%
제조업 내에서는 IT부문이 전체 설비투자의 40%이상을 차지
□ 한국 경제에서 수출은 산업구조 변화와 경제성장의 동인
- 유치산업 보호에 입각한 수출주도형 공업화 전략의 20C 성공사례
강한 성장지향성, 자립지향성, 정부주도 등 한국 경제의 원형(prototype)이 수출을 통해 형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