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과서 분석
Ⅲ. 단원분석
1. 제7차 교육과정 내용요소와의 연관성
2. 문제점 분석
(1) 편집체제상의 문제점
(2) 내용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1. 개선방안
2. 바람직한 교과서의 모습
Ⅱ. 교과서 분석
Ⅲ. 단원분석
1. 제7차 교육과정 내용요소와의 연관성
2. 문제점 분석
(1) 편집체제상의 문제점
(2) 내용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1. 개선방안
2. 바람직한 교과서의 모습
본문내용
였을까?
(2) 연극을 보면서 현이 어머니의 마음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정리해 보자.
① 연극이 시작되기 전 :
② 연극 초반부 (풀잎을 발견하기 전) :
③ 연극 중반 이후 (풀잎을 발견한 후) :
④ 연극이 끝나고 현이와 대화한 후 :
3. 글쓴이가 이 작품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 글쓴이는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지 글쓴이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자.
③ 학습 활동 내용이 파편화 되어 있다. 수필 ‘현이의 연극’의 대단원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단원은 문학작품을 읽는 것이 의사소통 행위와 같다는 것을 아는 것이 목표이다. 그런데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학습>은 학생이 달성하여야 할 목표와는 동떨어진 내용으로, 그저 작품 그 자체에 대한 이해 여부에만 초점이 놓여있다. 다시 말해 <내용학습>은 학습목표와 연관되어 있지 않고, <목표학습> 역시 학습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미약한 내용으로 너무나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④ <목표학습>의 내용이 부족하며, 그 수준이 낮다. <목표학습>의 현이와 현이 어머니의 마음을 생각하며 물음에 답하는 문제들은 단순히 제재를 읽고 그 내용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내용학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사고과정을 중시하는 교과서로서 실제적인 사고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입체적인 활동 내용이 부족하다. 이는 학습활동의 수준이 낮다는 문제점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⑤ <보충 심화>의 자기 점검 활동 중 두 번째 항목이 굉장히 추상적이다. 이 항목의 대답은 이 단원과 전혀 관련이 없는 여러 가지 답변이 나올 수 있는 것으로 너무 추상적이라 자기 점검의 기준이 되기에 모호하다.
⑥ <보충 심화> 활동의 하나인 ‘탈무드’ 우화를 통한 학습 활동은 적합하지 않다. 이 우화는 적절한 비유라고 하기 어렵다. 또 각 인물의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활동으로, 이 대상이 7학년이라고 보아 더욱 그러하다.
⑦ <보충 심화> 활동 에서의 두 문제가 중복된다. <보충 심화> 활동 에서 2번 문제와 3번 문제는 글의 주제를 묻고자 하는 것으로써, 사실상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⑧ <보충 심화>의 번 활동은 너무 막연하다. 이 단원에서 주로 다룬 바와 같이 ‘작자’의 의도에 중점을 두는 것뿐만 아니라, ‘독자’를 미리 설정하고 고려하여 글을 쓰도록 하는 점은 좋다. 그러나 ‘친구들을 독자로 설정하여 자유롭게 시를 한 편 쓰고…’라는 제시는 너무 막연하다.
Ⅳ. 개선방안
1. 개선방안
위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점
개선방안
편집체제상
<적용학습>의 부재
수필의 경우 글쓴이의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이 주관적으로 드러나므로 자신이라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했을까 생각해 보게 한다든지, 똑같은 경험을 했을 때 자신은 어떻게 글을 썼을까 써보게 하여 비교해보게 하면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에 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상
읽기 전 활동의 제재학습에의 무의미함
일상적으로 작가를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은 빼는 것이 좋겠다.
읽기 전 활동의 두 번째 활동만을 통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므로, 주인공이 분명히 드러나는 연극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어떤 배역을 맡고 싶은지, 왜 그 배역을 맡고 싶은지 이야기 하는 활동을 한다.
읽기 전 학습의 효율성 문제
제재를 읽기 이전에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읽기 전 학습의 활동 내용을 조금 줄이거나 간단한 내용으로 수정하여 가볍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학습 활동 내용의 파편화
<내용학습>은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 <목표학습> 역시 <내용학습>과 관련되는 내용으로써, 학습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탄탄하고 고차적인 사고 과정을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구성해야 함.
<목표학습>의 내용 부족과 수준 미달
현재 <목표학습>에 실린 문제들을 <내용학습>으로 옮기는 것이 나을 듯하다.
학습목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목표학습>은 이러한 학습목표 달성하기 위한 보다 고차적이고 입체적인 활동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자기 점검 활동의 추상성
자기점검의 두 번째 항목은 좀 더 구체화하여 단원의 학습 목표와 관련시킬 수 있는 항목으로 수정해야 한다.
<보충 심화> 활동 중 ‘탈무드’ 우화의 부적합성
인물의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은 쉽지 않으므로 빼는 것이 나을 듯하다.
보충 활동으로 적절한 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제시 할 필요가 있다.
<보충 심화> 활동 에서 의 문제 중복
같은 문제를 두 번 제시할 필요는 없으므로, 두 문제 중 하나를 삭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너무 막연한 <보충 심화> 활동
단순히 ‘친구를 독자로 하여…’라고 제시하는 것 보다, ‘친구들에 대한 마음을 나타내는 시’ 등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면 활동이 더 잘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
2. 개선을 통한 교과서의 새로운 모습
2
현이의 연극
소단원
읽기 전에
● 연극을 해 본적이 있는가? 만일 ‘콩쥐와 팥쥐’ 연극에 참여한다면, 다음 중 어떤 역할을 맡고 싶은지 선택하고 왜 그 배역을 맡고 싶은지 말해보자. 또 자신이 맡게 된 배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왜 그러한지 말해보자.
콩쥐
팥쥐
새엄마
장독대
두꺼비
선녀
참새 떼
소
내가 맡고 싶은 역할과 그 이유 :
자신의 배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현이의 연극’은 초등 학교 3학년인 딸의 연극을 보러 갔던 한 어머니의 경험담이다. 어머니의 심정을 헤아리며 이 글을 읽어 보자.
(2) 현이의 연극 91
현이의 연극
이경희 (李京嬉)
딸의 연극을 보러 가는 어머니의 마음은 어떠할까?
두 시까지 오라는 현이의 말대로 부랴부랴 시민 회관으로 갔다. 현이가 예술제에서 연극에 출연하기 때문이다. 현이가 출연하는 연극 ‘숲 속의 대장간’은 제 2부
(2) 연극을 보면서 현이 어머니의 마음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정리해 보자.
① 연극이 시작되기 전 :
② 연극 초반부 (풀잎을 발견하기 전) :
③ 연극 중반 이후 (풀잎을 발견한 후) :
④ 연극이 끝나고 현이와 대화한 후 :
3. 글쓴이가 이 작품을 쓴 이유는 무엇일까? 글쓴이는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지 글쓴이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자.
③ 학습 활동 내용이 파편화 되어 있다. 수필 ‘현이의 연극’의 대단원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단원은 문학작품을 읽는 것이 의사소통 행위와 같다는 것을 아는 것이 목표이다. 그런데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학습>은 학생이 달성하여야 할 목표와는 동떨어진 내용으로, 그저 작품 그 자체에 대한 이해 여부에만 초점이 놓여있다. 다시 말해 <내용학습>은 학습목표와 연관되어 있지 않고, <목표학습> 역시 학습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미약한 내용으로 너무나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④ <목표학습>의 내용이 부족하며, 그 수준이 낮다. <목표학습>의 현이와 현이 어머니의 마음을 생각하며 물음에 답하는 문제들은 단순히 제재를 읽고 그 내용을 잘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내용학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사고과정을 중시하는 교과서로서 실제적인 사고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입체적인 활동 내용이 부족하다. 이는 학습활동의 수준이 낮다는 문제점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⑤ <보충 심화>의 자기 점검 활동 중 두 번째 항목이 굉장히 추상적이다. 이 항목의 대답은 이 단원과 전혀 관련이 없는 여러 가지 답변이 나올 수 있는 것으로 너무 추상적이라 자기 점검의 기준이 되기에 모호하다.
⑥ <보충 심화> 활동의 하나인 ‘탈무드’ 우화를 통한 학습 활동은 적합하지 않다. 이 우화는 적절한 비유라고 하기 어렵다. 또 각 인물의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활동으로, 이 대상이 7학년이라고 보아 더욱 그러하다.
⑦ <보충 심화> 활동 에서의 두 문제가 중복된다. <보충 심화> 활동 에서 2번 문제와 3번 문제는 글의 주제를 묻고자 하는 것으로써, 사실상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⑧ <보충 심화>의 번 활동은 너무 막연하다. 이 단원에서 주로 다룬 바와 같이 ‘작자’의 의도에 중점을 두는 것뿐만 아니라, ‘독자’를 미리 설정하고 고려하여 글을 쓰도록 하는 점은 좋다. 그러나 ‘친구들을 독자로 설정하여 자유롭게 시를 한 편 쓰고…’라는 제시는 너무 막연하다.
Ⅳ. 개선방안
1. 개선방안
위에서 살펴본 문제점을 바탕으로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점
개선방안
편집체제상
<적용학습>의 부재
수필의 경우 글쓴이의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이 주관적으로 드러나므로 자신이라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했을까 생각해 보게 한다든지, 똑같은 경험을 했을 때 자신은 어떻게 글을 썼을까 써보게 하여 비교해보게 하면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에 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상
읽기 전 활동의 제재학습에의 무의미함
일상적으로 작가를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은 빼는 것이 좋겠다.
읽기 전 활동의 두 번째 활동만을 통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므로, 주인공이 분명히 드러나는 연극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어떤 배역을 맡고 싶은지, 왜 그 배역을 맡고 싶은지 이야기 하는 활동을 한다.
읽기 전 학습의 효율성 문제
제재를 읽기 이전에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읽기 전 학습의 활동 내용을 조금 줄이거나 간단한 내용으로 수정하여 가볍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학습 활동 내용의 파편화
<내용학습>은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 <목표학습> 역시 <내용학습>과 관련되는 내용으로써, 학습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탄탄하고 고차적인 사고 과정을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구성해야 함.
<목표학습>의 내용 부족과 수준 미달
현재 <목표학습>에 실린 문제들을 <내용학습>으로 옮기는 것이 나을 듯하다.
학습목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목표학습>은 이러한 학습목표 달성하기 위한 보다 고차적이고 입체적인 활동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자기 점검 활동의 추상성
자기점검의 두 번째 항목은 좀 더 구체화하여 단원의 학습 목표와 관련시킬 수 있는 항목으로 수정해야 한다.
<보충 심화> 활동 중 ‘탈무드’ 우화의 부적합성
인물의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작업은 쉽지 않으므로 빼는 것이 나을 듯하다.
보충 활동으로 적절한 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제시 할 필요가 있다.
<보충 심화> 활동 에서 의 문제 중복
같은 문제를 두 번 제시할 필요는 없으므로, 두 문제 중 하나를 삭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너무 막연한 <보충 심화> 활동
단순히 ‘친구를 독자로 하여…’라고 제시하는 것 보다, ‘친구들에 대한 마음을 나타내는 시’ 등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면 활동이 더 잘 진행 될 수 있을 것이다
2. 개선을 통한 교과서의 새로운 모습
2
현이의 연극
소단원
읽기 전에
● 연극을 해 본적이 있는가? 만일 ‘콩쥐와 팥쥐’ 연극에 참여한다면, 다음 중 어떤 역할을 맡고 싶은지 선택하고 왜 그 배역을 맡고 싶은지 말해보자. 또 자신이 맡게 된 배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왜 그러한지 말해보자.
콩쥐
팥쥐
새엄마
장독대
두꺼비
선녀
참새 떼
소
내가 맡고 싶은 역할과 그 이유 :
자신의 배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현이의 연극’은 초등 학교 3학년인 딸의 연극을 보러 갔던 한 어머니의 경험담이다. 어머니의 심정을 헤아리며 이 글을 읽어 보자.
(2) 현이의 연극 91
현이의 연극
이경희 (李京嬉)
딸의 연극을 보러 가는 어머니의 마음은 어떠할까?
두 시까지 오라는 현이의 말대로 부랴부랴 시민 회관으로 갔다. 현이가 예술제에서 연극에 출연하기 때문이다. 현이가 출연하는 연극 ‘숲 속의 대장간’은 제 2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