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요통의 원인과 운동처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요통의 원인과 운동처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요통(low back pain)의 개요

Ⅱ. 본 론
1. 요추의 구조
1) 척주(역주 : 척추 또는 등뼈라고도 함)의 구조
2) 요추의 구조
(1) 추간판
(2) 추간 관절
(3) 신 경
2. 요통(low back pain)의 원인
3. 요통(low back pain)을 일으키는 질환
1) 염 좌
(1) 급성 척추 염좌
(2)만성 척추 염좌
2) 요통증
3) 변형성 척추증
4) 요추 추간판 헤르니아
(1) 요통과 하지통
(2) 다리 저림
(3) 측만 변형
(4) 방광 직장 장애
5) 요추 분리 전방 전위증
6) 요부 척주관 협착증
(1) 마미 신경형
(2) 신경근형
(3) 혼합형
7) 관절염
(1) 골관절염
(2) 류머티스 관절염
(3) 강직성 척추염
(4) 외상성 관절염
4. 요통(low back pain)의 예방
1) 표준 체중
2) 자세와 동작
3) 요통 예방 체조
4) 생활 환경
5) 직장 환경
5. 요통(low back pain)의 운동 처방
1) 엎드려 눕기
2) 허리 펴서 엎드리기
3) 엎드려서 허리 펴기
4) 일어서서 허리 펴기
5) 누워서 허리 굽히기
6) 앉아서 허리 굽히기

Ⅲ. 결 론

본문내용

륜에 균열이 생기고, 이 균열에서부터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근을 압박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요추 추간판 헤르니아’라는 것이다(그림 5 참고). 헤르니아란 어떤 신체 조직이 그 막을 찢고 빠져나오는 것을 일컫는다.
<그림 5 요추 추간판 헤르니아>
수핵은 추간판의 어느 방향으로나 빠져나올 수 있지만, 뒤쪽으로 탈출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추간판의 뒷부분은 척주관에서 나오는 신경근이 위에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로 내려가거나 옆을 가로지르고 있는데, 수핵이 탈출되면 이 신경근을 압박하게 되고, 압박 당한 신경든에는 혈액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혈액이 부족되면(핍혈 상태) 에너지와 영야도 결핍되어 아프고 저리게 되는 것이다.
요추에는 5개의 추간판이 있는데, 요추 추간판 헤르니아의 약 95%는 아래쪽 2개의 추간판에서 발생한다. 아래쪽 2개의 추간판이란, 제 4 요추와 제 5 요추 사이에 제 4 요추 추간판, 제 5 요추와 선추 사이의 제 5 요추 추간판을 말한다. 이 두 개의 추간판이 위쪽의 다른 추간판보다 골반에 가깝고, 보다 많은 부담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탈출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요통뿐만 아니라 한쪽 다리가 아프고 저리는 추간판 헤르니아는 20~30대와 같이 비교적 젊은 층에서 많이 발견되며, 다음 증상이 나타난다.
(1) 요통과 하지통
헤르니아
부위
압통
저림
근력저하
보행상태
아킬레스건
반사
슬개건반사
방광직장장애
제 1,2 요추 추간판
있음
제 3 요추 추간판
대퇴부부터 정강이에 걸친 안쪽 부분
무릎을 펴는 근력 저하, 대퇴부의 근육 위축
저하, 소실
제 4 요추 추간판
정강이
발등부터 엄지발가락까지
발가락을 뒤로 젖히는 근력
발꿈치로만 걸으려고 해도 발끝이 바닥에 닿음.
제 5 요추 추간판
종아리
종아리부터 발의 외측까지
발의 발가락을 굽히는 근력
바닥을 차는 힘이 약하고, 발끝으로만 걸을 수 없음
저하, 소실
<표 1 헤르니아에 의한 하지의 증상>
추간판 헤르니아가 생기면 대부분의 경우 강한 통증과 함께 탈출된 쪽의 다리에 통증(하지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허리에서 둔부, 대퇴부 뒤쪽, 종아리, 발 끝에 이르기까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하다. 하지통은 탈출된 헤르니아가 좌골 신경을 압박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좌골 신경통이라고도 부른다. 사람에 따라서 요통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통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가만히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통증이 느껴지지 않다가도 몸을 움직이기만 하면 통증이 발생한다. 특히 몸을 앞으로 굽히는 것이 힘드며, 통증은 허리에서 다리 뒷부분까지 넓게 퍼진다. 재채기나 기침을 해도 일시적으로 신경근의 압박이 강해져서 통증이 강해진다.
(2) 다리 저림
신경근이 압박되어 마비 상태가 되거나 다리가 저린다.
(3) 측만 변형
헤르니아와 신경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몸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측만 변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몸을 한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신경근을 이완시키고 헤르니아에 의한 압박을 약하게 해서 통증을 완화시키려는 방어 자세이다.
(4) 방광 직장 장애
배뇨와 배변을 담당하는 신경근이 압박되면, 방광에 소변이 쌓여 있다는 것이 뇌로 전달되지 못하여 배뇨를 할 수가 없게 된다. 방광 직장 장애는 위쪽에 위치하는 요추의 추간판에 헤르니아가 발생한 경우나, 척주관 중앙부의 헤르니아인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추간판 헤르니아는 처음에는 허리를 삐끗했을 때와 같이 통증이 갑자기 발생한다. 통증이 강하게 느껴지는 시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2~3주일 또는 1개월 정도 지속되고 그 이후에는 만성화되다가 가끔 갑작스럽게 통증이 격해지기도 한다.
또한 하지의 일부에 저림이나 근력 저하가 계속 남아 있는 상태(후유증)에서 슬그머니 통증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으며, 탈출 된 헤르니아 덩어리가 자연적으로 흡수되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도 있다.
5) 요추 분리 전방 전위증
추골의 뒤쪽에는 상관절 돌기와 하관절 돌기가 좌우에 한 개씩 있다. 이 상하 관절 돌기의 가운데 부분이 끊어지는 경우(요추 분리)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분리된 부분에서 뼈가 증식되어 나와 신경근을 압박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리된 곳의 위쪽 추체가 조금씩 앞으로 미끄
<그림 6 분리 전방 전위증과 변성 전방 전위증>
러지듯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요추 분리 전방 전위증’ 이라고 한다(그림 6 참조).
요추 분리는 피로 골절(피로성 골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추정되고 있다. 피로 골절이란 성장기 어린이가 놀다가 무리한 동작을 하거나, 스포츠(특히 축구부나 야구부 등)를 할 때 과도한 훈련을 하다가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피로 골절이 원인이 되어 요추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확실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발병 당시에는 전혀 알아차리지 못한고 있다가 성인이 된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서 진료를 받는 사례가 많이 있다.
요추 분리 전방 전위증의 증상을 보면 요통이 가장 많지만, 다른 만성적인 요통과는 증상에 있어서 매우 다르다. 또한 환자들의 절반 정도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고 한다. 요통 이외의 증상으로는, 요추가 앞쪽으로 더 휘어져서 체형에 변화가 오기 때문에 둔부부터 대퇴부 뒤쪽이 당기면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요추 분리 전방 전위증은 대부분 제 5요추에서 발생하는데, 드물게 제 5 요추와 선추의 선천성 기형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추체가 앞으로 전위된느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고(척추하수증(脊椎下垂症)), 양족 하지에 마비가 생기기도 한다.
6) 요부 척주관 협착증
척주관이 좁아져서 신경근이 압박을 당하고 요통과 하지통이 발생하는 것을 요부 척주관 협착증이라고 한다. 이것은 선천적을 척주관이 좁은 사람에게 나타날 확률이 높지만, 대부분의 경우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병한다. 협착은 변성 전방 전위증이나 추관절의 변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것은 40대 후반부터 70대에 걸쳐 많이 나타나며, 특히 50~60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또한 요추 추간판 헤르니아의 수술이 원인이 되어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는 허리와 하지의 통증이 거의 없다. 통증이 잇더

키워드

요통,   허리,   요추,   디스크,   운동처방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8.05.1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