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뇨증
2.유분증
- 각 증상의 특징 및 양상
- 증상의 원인 분석
- 평가 방법
- 증후군 검사 방법
- 치료선택
2.유분증
- 각 증상의 특징 및 양상
- 증상의 원인 분석
- 평가 방법
- 증후군 검사 방법
- 치료선택
본문내용
족하긴 하지만, FES의 시행은 가족역학의 통찰을 제공한다. 지나치게 허용적인 가족에서는 조직화 하위척도는 낮고, 독립성 하위척도는 높게 나타날 것이다. 반면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구속적인 가족에서는 갈등, 통제, 도덕성-종교성 강조, 성취근원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독립성은 낮게 나올 것이다. 특히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가족환경에 대한 아버지 보고와 어머니 보고가 차이점을 보이는 이유가 일관성 없는 부모양육과 미묘한 가족대립에서 오는 것이다.
2.특수증후군 검사(Syndrome-Specific Tests)
임상가가 실시하는 것. 유분증 행동의 척도로 인정되어진 것은 많지 않다. 그러나 임상가는 유분증의 특수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면접을 실시해야 한다. 면접 평가에 있어 주요한 핵심은 유분증 삽화의 정도, 출현시기, 화장실 훈련 history, 화장실 훈련에 대한 부모의 신념/태도, 유분증의 가족력, 아동의 화장실 훈련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 현 상태의 스트레스정도, 유분증의 선행사건과 행동의 결과이다.
□치료선택사항(TREATMENT OPTIONS)
1.개요(Overview)
의학적인 치료를 제외하고, 유분증을 위한 형식적인 치료는 한가지만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다(Table 4.8). 유분증을 위한 치료는 유분증과 관련된 행동을 기록하여야 한다. 기록은 일반적으로 유분증 사건이 일어난 시기, 대변의 형태, 유분증의 선행사건과 결과등을 포함한다. 이런 기록은 아동의 진행상태에 대한 경과를 모니터 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2.의학적 개입과 약물(Medication and Related Medical Interventions)
-참고자료..
TABLE 4.8 유분증의 치료선택 사항(Treatment Options for Encopresis)
1.의학적 처치
a.Cathartic medications
b.Dietary changes
2.행동개입
a.Self-monitoring
b.Reinforcement for toiletiong(RT)
c.Reinforcement for cleanliness(RC)
d.Underwear marking(UM)
e.Cleanliness training(CT)
f.Toileting schedule(TS)
g.Shaping/desensitization(SD)
h.Punishment techniques
I.Biofeedback
j.Multidimensional treatments
3.가족개입
a.가족치료
4.심리평가
a.놀이치료
b.인지-행동적 변화
3.행동개입(Behavioral Interventions)
유분증을 위한 행동치료는 일반적으로 관찰, 관리, 행동 형성의 강화 적합한 화장실 훈련의 조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의학치료와 함께 이루어진다. 보존형 유분증은 일반적으로 관장과 식이요법의 계획과 함께 사용되어지지만, 실제로 행동원리를 이용한 화장실 사용의 필요성에 대한 행동형성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행동기술은 다음과 같다.
Reinforcement for Toileting(RT) RT는 가장 일반적으로 초기개입에 간단하게 사용된다. 아동은 화장실에서의 배변활동을 통해 효과적인 강화나 보상을 받게 된다. RT개입을 사용하게 되면, 아동이 혼자서 화장실을 가는지, 아니면 부모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화장실을 가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아동이 혼자서 화장실을 가게 되면 더 큰 보상을 받게 된다(Cox et al., 1996 ; Kolko, 1989)
Reinforcement for Cleanliness(RC) 유분증을 위한 RC는 유뇨증을 위한 RD와 일치한다. RC는 1-4시간 간격으로 아동의 속옷을 체크한다. 보상과 처벌은 아동의 속옷이 깨끗하냐 더럽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칭찬과 STAR CHARTS는 강화제로 사용하며, 타임아웃과 행동제한은 일반적으로 처벌에 해당한다.
Underwear Marking(UM) RC와 함께 쓰여지는 UM은 보통 더러운 속옷을 숨기는 것을 예방하는데 있다. 속옷을 숨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해결책은 주간 유뇨증에서 쓰인 방법과 비슷하다 : 먼저, 아동의 속옷마다 날짜를 쓴 후 일주일에 7개의 속옷을 준다.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일어나면 아동은 자신이 바람직한 속옷을 입고 있는지 부모에게 보여야 한다. 속옷의 체크는 부모에 의해 기록되어진다. 아동이 속옷을 버렸을 경우에는 다른 번호가 적힌 속옷을 입게 된다. UM은 아동이 속옷을 숨기는 행동을 보일 때 처벌과 함께 이루어진다.
Cleanliness Training(CT) 유분증을 위한 CT는 유뇨증에서 쓰인 CT와 같다. 이것은 아동이 깨끗해야만 한다는 일차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과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Toileting Schedule(TS) TS는 유뇨증에서 쓰인 WS을 수정한 것이다. 전형적인 TS는 장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이다.
Shaping/Desensitization(SD) SD는 화장실 사용에 대해 걱정이 있는 아동을 위해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개입은 혼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표를 가지고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Punishment Techniques 참고자료..
Biofeedback 참고자료..
Multidimensional Treatments 참고자료..
4.가족개입(Family Interventions)
가족치료는 가끔 유분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지며 때때로 행동치료에 부가되어진다. 가족치료는 유분증으로 인한 심한 부정적인 작용이 있을 때, 가족의 역동, 가족 병리학에 의해 사용되어진다.
5.심리치료(Psychotherapy)
①놀이치료(Play Therapy)
놀이치료는 비록 실질적으로 이런 특별한 장애를 위한 효과성에 있어 증거자료와 연구가 있지는 않지만, 보통 유분증 치료를 위한 구성요소로 사용되어진다. Axline(1969)에 의해 기술되어진 비지시적 놀이치료는 어린아동에게 화장실 훈련과 관련된 두려움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것은 화장실 훈련을 너무 과도하게 이루어지거나 부모에 의한 강요에 반항하는 아동들에게는 특히 중요하게 사용된다.
2.특수증후군 검사(Syndrome-Specific Tests)
임상가가 실시하는 것. 유분증 행동의 척도로 인정되어진 것은 많지 않다. 그러나 임상가는 유분증의 특수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면접을 실시해야 한다. 면접 평가에 있어 주요한 핵심은 유분증 삽화의 정도, 출현시기, 화장실 훈련 history, 화장실 훈련에 대한 부모의 신념/태도, 유분증의 가족력, 아동의 화장실 훈련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 현 상태의 스트레스정도, 유분증의 선행사건과 행동의 결과이다.
□치료선택사항(TREATMENT OPTIONS)
1.개요(Overview)
의학적인 치료를 제외하고, 유분증을 위한 형식적인 치료는 한가지만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다(Table 4.8). 유분증을 위한 치료는 유분증과 관련된 행동을 기록하여야 한다. 기록은 일반적으로 유분증 사건이 일어난 시기, 대변의 형태, 유분증의 선행사건과 결과등을 포함한다. 이런 기록은 아동의 진행상태에 대한 경과를 모니터 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2.의학적 개입과 약물(Medication and Related Medical Interventions)
-참고자료..
TABLE 4.8 유분증의 치료선택 사항(Treatment Options for Encopresis)
1.의학적 처치
a.Cathartic medications
b.Dietary changes
2.행동개입
a.Self-monitoring
b.Reinforcement for toiletiong(RT)
c.Reinforcement for cleanliness(RC)
d.Underwear marking(UM)
e.Cleanliness training(CT)
f.Toileting schedule(TS)
g.Shaping/desensitization(SD)
h.Punishment techniques
I.Biofeedback
j.Multidimensional treatments
3.가족개입
a.가족치료
4.심리평가
a.놀이치료
b.인지-행동적 변화
3.행동개입(Behavioral Interventions)
유분증을 위한 행동치료는 일반적으로 관찰, 관리, 행동 형성의 강화 적합한 화장실 훈련의 조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의학치료와 함께 이루어진다. 보존형 유분증은 일반적으로 관장과 식이요법의 계획과 함께 사용되어지지만, 실제로 행동원리를 이용한 화장실 사용의 필요성에 대한 행동형성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행동기술은 다음과 같다.
Reinforcement for Toileting(RT) RT는 가장 일반적으로 초기개입에 간단하게 사용된다. 아동은 화장실에서의 배변활동을 통해 효과적인 강화나 보상을 받게 된다. RT개입을 사용하게 되면, 아동이 혼자서 화장실을 가는지, 아니면 부모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화장실을 가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아동이 혼자서 화장실을 가게 되면 더 큰 보상을 받게 된다(Cox et al., 1996 ; Kolko, 1989)
Reinforcement for Cleanliness(RC) 유분증을 위한 RC는 유뇨증을 위한 RD와 일치한다. RC는 1-4시간 간격으로 아동의 속옷을 체크한다. 보상과 처벌은 아동의 속옷이 깨끗하냐 더럽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칭찬과 STAR CHARTS는 강화제로 사용하며, 타임아웃과 행동제한은 일반적으로 처벌에 해당한다.
Underwear Marking(UM) RC와 함께 쓰여지는 UM은 보통 더러운 속옷을 숨기는 것을 예방하는데 있다. 속옷을 숨기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해결책은 주간 유뇨증에서 쓰인 방법과 비슷하다 : 먼저, 아동의 속옷마다 날짜를 쓴 후 일주일에 7개의 속옷을 준다.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일어나면 아동은 자신이 바람직한 속옷을 입고 있는지 부모에게 보여야 한다. 속옷의 체크는 부모에 의해 기록되어진다. 아동이 속옷을 버렸을 경우에는 다른 번호가 적힌 속옷을 입게 된다. UM은 아동이 속옷을 숨기는 행동을 보일 때 처벌과 함께 이루어진다.
Cleanliness Training(CT) 유분증을 위한 CT는 유뇨증에서 쓰인 CT와 같다. 이것은 아동이 깨끗해야만 한다는 일차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과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Toileting Schedule(TS) TS는 유뇨증에서 쓰인 WS을 수정한 것이다. 전형적인 TS는 장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이다.
Shaping/Desensitization(SD) SD는 화장실 사용에 대해 걱정이 있는 아동을 위해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개입은 혼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표를 가지고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Punishment Techniques 참고자료..
Biofeedback 참고자료..
Multidimensional Treatments 참고자료..
4.가족개입(Family Interventions)
가족치료는 가끔 유분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지며 때때로 행동치료에 부가되어진다. 가족치료는 유분증으로 인한 심한 부정적인 작용이 있을 때, 가족의 역동, 가족 병리학에 의해 사용되어진다.
5.심리치료(Psychotherapy)
①놀이치료(Play Therapy)
놀이치료는 비록 실질적으로 이런 특별한 장애를 위한 효과성에 있어 증거자료와 연구가 있지는 않지만, 보통 유분증 치료를 위한 구성요소로 사용되어진다. Axline(1969)에 의해 기술되어진 비지시적 놀이치료는 어린아동에게 화장실 훈련과 관련된 두려움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것은 화장실 훈련을 너무 과도하게 이루어지거나 부모에 의한 강요에 반항하는 아동들에게는 특히 중요하게 사용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