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염(tonsilitis)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부비동염
2)코골이
3)편도와 아데노이드

2. 간호과정
1)개인력
2)진단검사
3)투약
4)간호사정

본문내용

rmal chest
3) 간호력
ㆍ활력증후
혈압 : 110/60 체온 : 36.6 맥박 : 82회/min 호흡 : 20회/min
ㆍ병력 : 없음
ㆍ현재호흡양상/호흡음 : 규칙
ㆍ감각기능: 양호
ㆍ비뇨기계기능 : 양호
ㆍ의식상태: 지남력, 기억력, 판단력 있음
ㆍ배변배뇨
평상시 배변 양상 : 횟수 __2__/일
평상시 배뇨 양상 : 횟수 __6__/일
ㆍ영양대사
평상시 식이 : ___________________
식사시간 : _________________
제한식이 : _________________
수면습관
평상시 수면습관
□ 불면증 □수면도음방법 □ 문제없음
사회심리측면
직업 ____________ 학력 _____________ 종교 _______________
술 : □ 아니오 □ 예 : 양_____/회 담재 : □ 아니오 □ 예 : ______/일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_____________________
가족/사회적지지 ___________________
최근 생활 변경사항/스트레스 ___________________
환자의 정서상태 __________________
진단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 1
5/20
수술과 관련된 통증
<합리적 근거>
통증은 추상적인 개념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복잡한 개인적인 체험. 또한 조직의 손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동통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통은 신체위험에 대한 경고가 되고 있다. 같은 상황일지라도 동통의 경험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고 지각적, 감정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동통의 원인은 생물학적 원인, 화학적 원인, 물리적 원인, 심리적 원인이 있다.
동통의 기전으로 통각수용기는 조직내 신경의 자유종말로 동통 자극에 대해서 민간하게 반응을 보인다. 이 수용기가 조직의 손상이나 극도의 고열, 체내에서의 화학적 변화로 인해 생산되는 프로스타글라딘, 히스타민, 키닌 및 셀로토닌의 자극을 받는다.
통각 수용기에는 기계자극 감수성과 온도자극 감수성 그리고 화학자극 감수성이 있고 통각 수용기의 대부분은 한가지 이상의 자극에 대해서 반응을 보인다.
# 2
5/20
연하곤란과 관련된 잠재성 영양결핍
<합리적 근거>
영양이 균형을 이루려면 신체의 많은 기관들이 적절한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중추신경계는 음식물의 섭취를 조절하고, 소화기계는 영양소를 섭취하여 소화, 흡수하고 대사.배설한다. 순환기계는 영상소를 운반하며 간과 지방조직은 여분의 열량을 조절하고 저장한다.
사람의 필요로하는 영양소의 양은 신체의 요구도에 따라 다르다. 신체는 영양소를 생성하거나 합성할수 없기 때문에 균형있는 식사를 통하여 규칙적으로 영양소를 섭취할 필요사 있다. 영양공급이 저해되거나 과도한 요구가 생기는 상태가 되면 신체가 요구하는 것보다 영양소가 적어지기 때문에 영양상태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제2단계 : 간호과정
제 3단계 간호계획
진단번호
목표 :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 호 목 적
간 호 지 시
# 1
통증을 제거하거나 조절하기위한 방법을 찾아낸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과거에 통증을 경감하거나 조절한 방법을 응용하게 한다.
통증유발 식품을 피하도록 한다.
필요시 진통제 시럽을 투여한다.
수술 부위에 Ice Colar를 대준다.
휴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찬 음료수, 아이스크림을 먹도록 한다.
진단번호
목표 :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간 호 목 적
간 호 지 시
# 2
환자는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차고 부드러운 음식을 자주 먹이도록 한다.
찬미음을 자주 먹이도록 한다.
필요시 정맥으로 영양제를 공급한다.
소독수로 구강을 깨끗이 해준다.
체중을 매일 잰다.
탈수 증상에 대하여 사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제 4단계 간호중재
진단번호
날짜
중 재 내 용
# 1
5/20
통증정도를 사정한 결과 나이가 어려서오는 참을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안절부절 못하고 많이 아파하였다.
V/S상 110/70-88-22-37²로 체온이 높이져서 Ice colar를 목주의로 대주었다.
차가운 음료나 아이스크림을 먹게하였다.(단 알갱이가 있는 그리고 딸기 아이스크림이나 초쿄아이스크림은 출혈이 있을시 구별이 어려워 먹지 못하게 함)
가습기를 통하여 습기를 계속 제공하였다.
휴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호자(부모)만이 옆에 계시게 하였다.
통증을 경감키 위해 당분간 말하지 못하게 하였다.
# 2
5/20
영양상태는 음식섭취에 제한이 많은 상태로 체중이 다소 감소되었다.
식이로 찬미음이 나왔고 아이스크림은 하얀색으로 자주 먹게 하였다.
입안을 개운하게 하고자 가그린으로 구강을 자주 헹구어 내도록 하였다.
매일 체중을 재도록 하였다.
식욕저하가 생기지 않도록 자주 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빨대를 사용하는 것은 봉합선을 터트려 출혈을 일으킬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제 5단계 간호평가
진단번호
날짜
간 호 지 시
# 1
5/22
편도 절제술로 인한 통증은 사정당시에는 안절부절못하고 찡그린 얼굴표정이였다. 지금은 말도 잘하고 있으며 병실 주위를 왔다갔다하며 운동중이라며 밝게 웃고 있었다.
목에는 Ice colar를 여젼히 대고 있으며 병원와서 아이스크림은 너무 많이 먹게 되어 기분좋다는 얘기까지 하고있어 통증은 거의 감소되었다고 평가된다.
# 2
5/22
영양상태는 편도 절제술로 인하여 음식섭취량이 제한을 받아 감소하여 다소 체중이 줄다가 다시 자주 먹이도록하여 체중이 더 이상 감소되지 않았다.
가그린으로 구강을 깨끗하게 소독하여 식욕억제를 막아 음식거부없이 자주 잘먹고 있다.
아이스크림과 찬우유로 통증과 부종, 그리고 식이을 보충하고 있어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중재 -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인간호학 上(Ⅱ) 수문사 넷째판
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 현문사
www.ekims.con
yonseient.doctorangel.co.kr
entmd.com.me.kr
user.chollian.net
1. 문헌고찰
1)부비동염
2)코골이
3)편도와 아데노이드
2. 간호과정
1)개인력
2)진단검사
3)투약
4)간호사정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6.04
  • 저작시기200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