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TI 서비스 기술인 TPEG의 개요
1.1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의 정의
1.2 TPEG의 등장배경
1.3 TTI의 진화단계
2. TPEG의 구성요소 및 특징
2.1 TPEG의 구성요소
2.2 요소기술
2.3 TPEG의 장단점
2.4 TPEG의 계층모델
3. 표준 및 국내현황
3.1 표준
3.2 국내현황
4. TPEG의 문제점 및 전망
4.1 TPEG의 문제점
4.2 전망
1.1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의 정의
1.2 TPEG의 등장배경
1.3 TTI의 진화단계
2. TPEG의 구성요소 및 특징
2.1 TPEG의 구성요소
2.2 요소기술
2.3 TPEG의 장단점
2.4 TPEG의 계층모델
3. 표준 및 국내현황
3.1 표준
3.2 국내현황
4. TPEG의 문제점 및 전망
4.1 TPEG의 문제점
4.2 전망
본문내용
단말기 가격이 10만원 가량 비싼 선과금(이니셜차지, 단말기 가격에 요금을 추가)도 서비스 보급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현재는 KBS DMB 에서 2007.04 부터 적용하고 있으나 방송위원회의 판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 지상파 DMB의 광고시장도 충분하지 않아 수익모델을 찾기가 어렵다.
- 서비스 지역이 수도권, 일부 광역시로 제한적이다.
- 수신제한장치(CAS) 표준화가 업체간 이견으로 진행이 더뎌서 2006년 10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하지 못했다.
- CAS 를 TPEG 전체에 적용할지 응용서비스별로 할지 등 업체들이 각각 보안기술을 적용하려고 하는 등의 이견이 있다.
4.2 전망
- TTI 서비스의 시작이나 TPEG의 시작은 늦었으나 업계에서 빠르게 대처하여 국제표준화 작업에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 TPEG 서비스는 초기단계라 국내업체들이 현수준에서 일정한 경쟁력을 갖고있으나 국내에서부터의 신규응용서비스들에 대한 표준 마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유럽이 DAB기반의 TPEG을 준비중이나 우리는 DMB 기반으로 매체인프라에서부터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이러한 제반여건으로 서비스의 상용화시 교통체증비용의 감소등과 국민편익 증대 및 기술수출에 따른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해서는 업계이익을 앞세우기 보다는 서비스 표준(과금, CAS 등)을 시급히 정립하여서 수익을 창출할수 있는 부가서비스로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 유용한 부가서비스로 정착된다면 세계최초 지상파 DMB 기술에 부가된 TPEG은 국내 IT산업의 블루오션의 한분야가 될수 있을 것이다.
- 지상파 DMB의 광고시장도 충분하지 않아 수익모델을 찾기가 어렵다.
- 서비스 지역이 수도권, 일부 광역시로 제한적이다.
- 수신제한장치(CAS) 표준화가 업체간 이견으로 진행이 더뎌서 2006년 10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하지 못했다.
- CAS 를 TPEG 전체에 적용할지 응용서비스별로 할지 등 업체들이 각각 보안기술을 적용하려고 하는 등의 이견이 있다.
4.2 전망
- TTI 서비스의 시작이나 TPEG의 시작은 늦었으나 업계에서 빠르게 대처하여 국제표준화 작업에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 TPEG 서비스는 초기단계라 국내업체들이 현수준에서 일정한 경쟁력을 갖고있으나 국내에서부터의 신규응용서비스들에 대한 표준 마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유럽이 DAB기반의 TPEG을 준비중이나 우리는 DMB 기반으로 매체인프라에서부터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이러한 제반여건으로 서비스의 상용화시 교통체증비용의 감소등과 국민편익 증대 및 기술수출에 따른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해서는 업계이익을 앞세우기 보다는 서비스 표준(과금, CAS 등)을 시급히 정립하여서 수익을 창출할수 있는 부가서비스로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 유용한 부가서비스로 정착된다면 세계최초 지상파 DMB 기술에 부가된 TPEG은 국내 IT산업의 블루오션의 한분야가 될수 있을 것이다.